리더-참여리더십의 본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더-참여리더십의 본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참여리더십의 본질
⊙ 참여리더십이란?
⊙ 참여적 관점 : 참여로서의 의사결정
⊙ 참여적 관점 : 참여로서의 의사결정

2) 참여의 결과
⊙ 참여의 잠재적 이익
⊙ 참여가 주는 잠재적 이익 4가지
⊙ 결정의 질
⊙ 결정과정에 대한 만족
⊙ 서로 다른 참여자에 대한 목표

3) 참여리더십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참여효과
⊙ 참여 연구의 한계

4) 규범적 결정 모형
⊙ 탄벤바움 (Tannenbaum)과 슈미트 (Schmidt) (1958)
⊙ 브룸과 예튼(Victor H. Vroom and Phillip W. Yetton)의 규범적 의사결정 모형
⊙ 결정의 수용
⊙ 결정의 질
⊙ 결정 규칙들

본문내용

?
이상과 같은 일곱 가지 질문에 대해서 예, 아니오 의 경로를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답해 나가면 해당 상황에 적절한 의사결정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결정의 수용
정의 - 내려진 결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개입하는 정도
결정의 수용의 경우 ( 독단적 결정 < 협의 < 공동결정 )
결정의 질
정의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의 객관적 측면을 지칭
최적 대안 선택 시, 결정의 질은 높아짐
(효율성이 높은 업무절차, 도전할만한 수행목표 선택)
중요한 과제결정의 예
- 목표와 우선순위 결정
- 기술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부하들에게 과제 할당
- 복잡한 과제의 업무절차 결정
- 전문기술이 필요한 문제의 해결방법 결정
결정 규칙들
시간투자 형 모형 (모형 B) 당장에 직면한 결정의 효과성에 절대적 비중
시간효율성 모형 (모형 A) 시간에 제약을 두지 않고 참여를 통해 부하를 개발하는데
절대적 비중
* 의사결정 선택 규칙
의사결정 유형의 선택에 활용되는 질문은 의사결정 선택을 위한 규칙에 기초하고 있다. 이 규칙은 의사결정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규칙과 의사결정의 수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칙으로 구분된다.
(1) 질을 보장하기 위한 규칙
① '정보' 규칙(information rule) : 만일 의사결정의 질이 중요한 데도 행정가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와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면, 행정가에 의한 일방적인 결정(AⅠ)은 부적절하므로 피해야 한다.
② '목적 일치' 규칙(goal congruence rule) : 만일 의사결정의 질이 중요한데도 구성원들이 문제 해결 노력을 기울여 조직의 목적을 추구할 것 같지 않으면 집단합의를 통한 의사결정(GⅡ)은 부적절함으로 피해야 한다.
③ '문제의 비구조성' 규칙(unstructured problem rule) : 의사결정의 질이 중요한 상황에서, 만일 행정가 자신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와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고, 또 문제마저 구조화되어 있지 못하다면, 그 문제에 관해서 적절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구성원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켜야 한다. 따라서 AⅠ, AⅡ, CⅠ은 피해야 한다.
(2) 수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칙
① '수용성' 규칙(acceptance rule) : 의사결정의 효과적 수행을 위하여 의사결정에 대한 구성원들의 수용이 매우 중요하고, 행정가에 의한 독단적인 의사결정이 수용되지 않을 것이 확실하다면, 구성원들의 상황에 대한 이해와 참여는 필수적이다. AⅠ,AⅡ를 피해야 한다.
② '갈등' 규칙(conflict rule) : 의사결정에 대한 구성원들의 수용여부가 매우 중요하고, 행정가에 의한 독단적인 의사결정이 수용되지 않을 것이 확실하며, 또 해결책에 대하여 구성원들 간에 의견의 불일치가 노정될 가능성이 있다면, 그 문제에 관한 충분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의견차를 좁힐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허용하지 않은 AⅠ, AⅡ, CⅠ은 피해야 한다.
③ '공정성' 규칙(fairness rule) : 의사결정의 질은 중요하지 않지만 그 결정에 대한 구성원의 수용성이 중요하면 구성원의 수용성에 초점을 둔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호작용을 통해 의견의 차이가 공정하게 해소될 수 있는 집단 결정이 필요하다. AⅠ, AⅡ, CⅠ, CⅡ는 피해야 한다.
④ '수용성 우선' 규칙(acceptance priority rule) : 의사결정에 대한 구성원들의 수용이 중요하고, 독단적 결정이 수용되기 어려우며, 구성원들이 조직목표에 기초하여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는 확신이 선다면, 집단 의사결정만이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AⅠ, AⅡ, CⅠ, CⅡ는 피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8.13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