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1. 견인환자 간병 및 간호
2. 구강위생 간병과 간호
3. 기관절개 환자의 간병과 간호
4. 보행과 간병
5. 눈 세척
6. 더운 것과 찬 것의 이용법
7. 드레싱(외과적)과 간병
8. 등 마사지
9. 모발 간병과 머리 감기
10. 목발 걸음 걷기
11. 목욕, 청결 목적의 간병
12. 목욕, 치료 목적의 간병
13. 발사
14. 발 간병
15. 변기 대주기의 방법
16. 복막 투석 환자의 간병
17. 붕대법
18. 사후 처치법
19. 섭취량과 배설량의 기록
20. 손 닦기
21. 수술 전 간호와 간병
22. 수술 후 간호와 간병
23. 신경학적 증상(Neurological sign)
24.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25. 실금 환자의 간호와 간병(Incontinent patients, care of)
26. 심폐 소생법(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losed chest))
27. 오후 및 저녁 간호(P.M. care)와 간병
28. 욕창 예방과 치료(Decubitus ulcer, preventation and treatment)의
간병
29. 억제법
30. 위 관 삽입(Gastric intubation (decompression, irrigation, lavage
and gavage)
31. 인공 배뇨법(Catheterization, urethral)
32. 인공항문 간호와 간병
33. 정체배뇨의 간호와 간병
34. 질세척
35. 체온 하강을 위한 목욕(Sponging(to reduce temperature))
36. 체위변경
37. 침상 만들기
38. 캐스트 환자 간병
39. 퇴원환자의 간호와 간병
40. 활력 증상의 검사 방법
41. 회음부 세척
42. 휠체어와 보행기 사용 시 간호와 간병
43. 흡인, 구강과 비강에 대한 간호와 간병
44. 흡인요법
45. 기저귀 대주기
46. 모유수유
47. 신생아의 인공 영양법
48. 신생아의 입원
49. 신생아의 첫 목욕
50. 신생아의 체중측정
51. 아기 목욕
52. 아기 싸는 법(분만직후)
53. 우유 준비법
54. 유방 간호와 간병
55. 제대 간호와 간병
2. 구강위생 간병과 간호
3. 기관절개 환자의 간병과 간호
4. 보행과 간병
5. 눈 세척
6. 더운 것과 찬 것의 이용법
7. 드레싱(외과적)과 간병
8. 등 마사지
9. 모발 간병과 머리 감기
10. 목발 걸음 걷기
11. 목욕, 청결 목적의 간병
12. 목욕, 치료 목적의 간병
13. 발사
14. 발 간병
15. 변기 대주기의 방법
16. 복막 투석 환자의 간병
17. 붕대법
18. 사후 처치법
19. 섭취량과 배설량의 기록
20. 손 닦기
21. 수술 전 간호와 간병
22. 수술 후 간호와 간병
23. 신경학적 증상(Neurological sign)
24.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25. 실금 환자의 간호와 간병(Incontinent patients, care of)
26. 심폐 소생법(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losed chest))
27. 오후 및 저녁 간호(P.M. care)와 간병
28. 욕창 예방과 치료(Decubitus ulcer, preventation and treatment)의
간병
29. 억제법
30. 위 관 삽입(Gastric intubation (decompression, irrigation, lavage
and gavage)
31. 인공 배뇨법(Catheterization, urethral)
32. 인공항문 간호와 간병
33. 정체배뇨의 간호와 간병
34. 질세척
35. 체온 하강을 위한 목욕(Sponging(to reduce temperature))
36. 체위변경
37. 침상 만들기
38. 캐스트 환자 간병
39. 퇴원환자의 간호와 간병
40. 활력 증상의 검사 방법
41. 회음부 세척
42. 휠체어와 보행기 사용 시 간호와 간병
43. 흡인, 구강과 비강에 대한 간호와 간병
44. 흡인요법
45. 기저귀 대주기
46. 모유수유
47. 신생아의 인공 영양법
48. 신생아의 입원
49. 신생아의 첫 목욕
50. 신생아의 체중측정
51. 아기 목욕
52. 아기 싸는 법(분만직후)
53. 우유 준비법
54. 유방 간호와 간병
55. 제대 간호와 간병
본문내용
의 안쪽에서 밖으로 닦아 누관의 자극을 피하고 얼굴을 부드럽게 닦아준다.
4) 청결을 유지하고 유가(cradle cap)가 생기지 않도록 머리를 감긴다. 아기를 축구공처럼 들어 간병사의 팔과 고관절 사이에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깨끗이 헹구고 타올로 말려준다.
5) 아기는 위에서 아래 부분으로 씻긴다. 비누를 사용하면 피부의 손상도 막고 깨끗이 할 수 있다. 비누에 과민 반응이 있는 아기인 경우에는 간병사 손바닥에 거품을 내어 턱밑 목, 겨드랑이, 가슴, 다리 순서로 씻긴다. 같은 순서로 헹구고 말린다. 제대 부위는 습기 없이하고 방법대로 간호한다.
6) 모든 아기들의 외음부는 앞에서 뒤쪽으로 씻긴다.
(1) 여아 : 대음순을 벌리고 위에서 아래로 씻긴다.
(2) 남아(포경수술아) : “포경 수술시 간호” 참조할 것.
7) 통 목욕이나 침상 목욕이나 방법은 같다. 침상 목욕은 보육기나 아기 침상 옆 가까이에 물 담은 대야를 갖다 놓고 씻긴다. 포경 수술 아기는 완전히 치유될 때까지 통 목욕을 피한다. 제대가 떨어질 때까지도 물에 담그지 않는다. 목욕시키는 동안 방을 따뜻하게 유지시킨다.
8) 기저귀를 채워주고 옷을 입힌 후 정돈한 침상에 아기를 편안하게 눕힌다.
52. 아기 싸는 법(분만 직후)
1) 태아는 따뜻하고 변동 없는 안온한 환경에 있다가 분만하게 되면 갑자기 변화된 온도와 다양한 환경에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기를 담요에 안전하게 싼다.
2) 담요를 펴 놓고 아기 등이 담요 가운데 놓이도록 눕힌다. 담요의 왼쪽 자락을 앞으로 여미고 아랫부분을 접어 올려 겹치는 부분은 안으로 집어넣는다. 오른쪽 자락은 가운데로 여미어 아기가 단단히 느낄 만큼 꼭 싸맨다. 아기가 팔이나 다리를 약간 움직일 수 있는 만큼의 여유는 있도록 한다. 아기를 오른쪽으로 눕히고자 할 때는 오른쪽부터 싸맨다.
3) 아기를 옆으로 눕힐 경우는 기저귀를 말아서 등을 괴어준다.
53. 우유 준비법
1) 우유는 탄수화물이 부족하므로 아기가 충분히 소화시키기 위해 알맞게 희석한다. 의사 처방에 의하되 정상 신생아는 하루에 체중 450g당 50㎈를 필요로 한다.
2) 신생아는 감염에 예민하므로 2달까지는 우유 준비를 반드시 소독적으로 한다.
(1) 중탕법(Terminal heat method)
① 모든 젖병, 젖꼭지는 솔을 사용하여 연한 청정제로 닦고 따뜻한 물로 3번 정도 헹군다.
② 계량 컵, 주전자, 거품기 등을 씻는다.
③ 정확한 양의 분유나 농축 우유를 측정하여 물에 섞는다.
④ 6개의 젖병에 나누어 담고 2개의 빈 젖병은 물을 담아 놓는다.
⑤ 젖꼭지를 젖병에 나누어 담고 뚜껑을 헐겁게 하여 증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⑥ 젖병은 큰 들통이나 소독기에 8~10㎝ 간격으로 세워 놓는다.
⑦ 센 불로 끓이다가 약한 불로 25분간 끓인 후 꺼내어 식힌다.
⑧ 뚜껑을 꼭 막은 뒤 젖병을 냉장고에 보관한다.
(2) 소독법(Aseptic method)
① 모든 기구는 청정제로 닦은 뒤 3번 정도 헹군다.
② 젖병은 물에 잠기게 하여 10분간 끓이고 젖꼭지는 3분간만 끓인다.
③ 농축된 우유나 분유에 섞을 물을 10분간 끓인다.
④ 표면을 잡고 병을 꺼낸다.
⑤ 우유를 젖병에 담고 젖꼭지는 젖병 안에 거꾸로 집게로 집어넣고 뚜껑을 꽉 막아 냉장고에 넣는다.
3) 수유 1시간 전에 냉장고에서 꺼내놓아 따뜻하게 한다.
4) 따뜻하고 달콤한 우유에서 세균 번식이 잘 될 수 있으므로 우유는 매일 신선하게 만들어 냉장고에 보관한다. 먹다 남은 우유는 버린다.
54. 유방 간호와 간병
1) 수유하지 않으려면 산후 2~3시간 이내에 젖 분비를 억제하기 위한 투약을 하여 젖이 붓지 않도록 한다. 일단 젖 분비가 시작된 다음에는 투약해도 소용없다.
2) 피부나 손에 있는 병원균이 유방 조직 내로 감염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방에 손을 대기 전에 산부 자신은 손을 철저히 씻도록 한다. 유방을 따뜻한 물과 비누로 닦는데 유두에서부터 밖으로 둥글둥글하게 문지르면서 닦는다.
3) 건조하면 균이 번식하지 못하므로 유방을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4) 산후 산부에게 유방을 내측 상부로 지지해주는 특별한 브레지어를 대주어 유방 울혈이 있을 때 동통을 덜 느끼게 해준다. 이 같이 지지하면 유방이 정상 근력을 찾게 된다. 잘 맞는 브레지어를 착용하거나 유방을 유방 바인더로 묶어줌으로서 지지해줄 수 있다.
5) 습하고 더러운 환경에서 병원균이 번식한다. 젖이 흐를 경우는 패드를 대어 습기 차지 않고 불결하지 않게 해주며 자주 갈아준다.
6) 동통이 있고 갈라진 유두는 노출시키어 치유되게 하며 투약한다.
7) 울혈된 유방은 우선 울혈을 억제하여 편안하게 해 준다. 가슴을 꼭 맞게 감아준다. 유방 바인더는 앞, 뒤, 겨드랑 밑으로 감아 핀으로 조심스럽게 꼽는다. 유방에 찬찜질을 하거나 투약을 하여 동통을 제거할 수 있다.
55. 제대 간호와 간병
1) 제대로부터의 삼출액이나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실이나 크램프, 밴드로 꼭 묶어준다.
2) 습하고 따뜻한 곳에서는 균의 성장이 용이 하므로 제대는 건조시키고 공기 중에 노출시킨다. 이 때 알코올로 닦아주어 건조를 촉진한다. 제대를 닦을 때에는 제대와 제대 주위랄 닦는다.
3) 제대는 생후 5~8일 후면 저절로 말라 떨어지게 되므로 압박을 가하거나 제거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4) 신생아의 RH 인자가 부적합한 경우에는 태아적아구증(erythroblastosis fetalis)으로 고생하게 된다. 이 때 제대 정맥을 통해 교환 수혈을 하게 된다. 제대는 길게 자르고 습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자주 식염수로 적셔준다. 그 위에 소독 거즈를 대어준다. 교환 수혈이 끝난 뒤에도 2차 수혈을 대비하여 습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참고문헌
응급실 복통환자의 간호진단과 간호중재의 분석
연세대 간호대학원 ㆍ 오현식
문제중심 간호기록 방법에 대한 문헌적 연구
마산간호전문대학 ㆍ 김옥숙
간호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분류연계
중앙대 대학원 ㆍ 지미경
임상교육표준안에 기초한 간호학생 임상교육
인제대학교 ㆍ 정영지
간호 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마산간호전문대학 ㆍ 김옥숙
4) 청결을 유지하고 유가(cradle cap)가 생기지 않도록 머리를 감긴다. 아기를 축구공처럼 들어 간병사의 팔과 고관절 사이에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깨끗이 헹구고 타올로 말려준다.
5) 아기는 위에서 아래 부분으로 씻긴다. 비누를 사용하면 피부의 손상도 막고 깨끗이 할 수 있다. 비누에 과민 반응이 있는 아기인 경우에는 간병사 손바닥에 거품을 내어 턱밑 목, 겨드랑이, 가슴, 다리 순서로 씻긴다. 같은 순서로 헹구고 말린다. 제대 부위는 습기 없이하고 방법대로 간호한다.
6) 모든 아기들의 외음부는 앞에서 뒤쪽으로 씻긴다.
(1) 여아 : 대음순을 벌리고 위에서 아래로 씻긴다.
(2) 남아(포경수술아) : “포경 수술시 간호” 참조할 것.
7) 통 목욕이나 침상 목욕이나 방법은 같다. 침상 목욕은 보육기나 아기 침상 옆 가까이에 물 담은 대야를 갖다 놓고 씻긴다. 포경 수술 아기는 완전히 치유될 때까지 통 목욕을 피한다. 제대가 떨어질 때까지도 물에 담그지 않는다. 목욕시키는 동안 방을 따뜻하게 유지시킨다.
8) 기저귀를 채워주고 옷을 입힌 후 정돈한 침상에 아기를 편안하게 눕힌다.
52. 아기 싸는 법(분만 직후)
1) 태아는 따뜻하고 변동 없는 안온한 환경에 있다가 분만하게 되면 갑자기 변화된 온도와 다양한 환경에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기를 담요에 안전하게 싼다.
2) 담요를 펴 놓고 아기 등이 담요 가운데 놓이도록 눕힌다. 담요의 왼쪽 자락을 앞으로 여미고 아랫부분을 접어 올려 겹치는 부분은 안으로 집어넣는다. 오른쪽 자락은 가운데로 여미어 아기가 단단히 느낄 만큼 꼭 싸맨다. 아기가 팔이나 다리를 약간 움직일 수 있는 만큼의 여유는 있도록 한다. 아기를 오른쪽으로 눕히고자 할 때는 오른쪽부터 싸맨다.
3) 아기를 옆으로 눕힐 경우는 기저귀를 말아서 등을 괴어준다.
53. 우유 준비법
1) 우유는 탄수화물이 부족하므로 아기가 충분히 소화시키기 위해 알맞게 희석한다. 의사 처방에 의하되 정상 신생아는 하루에 체중 450g당 50㎈를 필요로 한다.
2) 신생아는 감염에 예민하므로 2달까지는 우유 준비를 반드시 소독적으로 한다.
(1) 중탕법(Terminal heat method)
① 모든 젖병, 젖꼭지는 솔을 사용하여 연한 청정제로 닦고 따뜻한 물로 3번 정도 헹군다.
② 계량 컵, 주전자, 거품기 등을 씻는다.
③ 정확한 양의 분유나 농축 우유를 측정하여 물에 섞는다.
④ 6개의 젖병에 나누어 담고 2개의 빈 젖병은 물을 담아 놓는다.
⑤ 젖꼭지를 젖병에 나누어 담고 뚜껑을 헐겁게 하여 증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⑥ 젖병은 큰 들통이나 소독기에 8~10㎝ 간격으로 세워 놓는다.
⑦ 센 불로 끓이다가 약한 불로 25분간 끓인 후 꺼내어 식힌다.
⑧ 뚜껑을 꼭 막은 뒤 젖병을 냉장고에 보관한다.
(2) 소독법(Aseptic method)
① 모든 기구는 청정제로 닦은 뒤 3번 정도 헹군다.
② 젖병은 물에 잠기게 하여 10분간 끓이고 젖꼭지는 3분간만 끓인다.
③ 농축된 우유나 분유에 섞을 물을 10분간 끓인다.
④ 표면을 잡고 병을 꺼낸다.
⑤ 우유를 젖병에 담고 젖꼭지는 젖병 안에 거꾸로 집게로 집어넣고 뚜껑을 꽉 막아 냉장고에 넣는다.
3) 수유 1시간 전에 냉장고에서 꺼내놓아 따뜻하게 한다.
4) 따뜻하고 달콤한 우유에서 세균 번식이 잘 될 수 있으므로 우유는 매일 신선하게 만들어 냉장고에 보관한다. 먹다 남은 우유는 버린다.
54. 유방 간호와 간병
1) 수유하지 않으려면 산후 2~3시간 이내에 젖 분비를 억제하기 위한 투약을 하여 젖이 붓지 않도록 한다. 일단 젖 분비가 시작된 다음에는 투약해도 소용없다.
2) 피부나 손에 있는 병원균이 유방 조직 내로 감염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방에 손을 대기 전에 산부 자신은 손을 철저히 씻도록 한다. 유방을 따뜻한 물과 비누로 닦는데 유두에서부터 밖으로 둥글둥글하게 문지르면서 닦는다.
3) 건조하면 균이 번식하지 못하므로 유방을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4) 산후 산부에게 유방을 내측 상부로 지지해주는 특별한 브레지어를 대주어 유방 울혈이 있을 때 동통을 덜 느끼게 해준다. 이 같이 지지하면 유방이 정상 근력을 찾게 된다. 잘 맞는 브레지어를 착용하거나 유방을 유방 바인더로 묶어줌으로서 지지해줄 수 있다.
5) 습하고 더러운 환경에서 병원균이 번식한다. 젖이 흐를 경우는 패드를 대어 습기 차지 않고 불결하지 않게 해주며 자주 갈아준다.
6) 동통이 있고 갈라진 유두는 노출시키어 치유되게 하며 투약한다.
7) 울혈된 유방은 우선 울혈을 억제하여 편안하게 해 준다. 가슴을 꼭 맞게 감아준다. 유방 바인더는 앞, 뒤, 겨드랑 밑으로 감아 핀으로 조심스럽게 꼽는다. 유방에 찬찜질을 하거나 투약을 하여 동통을 제거할 수 있다.
55. 제대 간호와 간병
1) 제대로부터의 삼출액이나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실이나 크램프, 밴드로 꼭 묶어준다.
2) 습하고 따뜻한 곳에서는 균의 성장이 용이 하므로 제대는 건조시키고 공기 중에 노출시킨다. 이 때 알코올로 닦아주어 건조를 촉진한다. 제대를 닦을 때에는 제대와 제대 주위랄 닦는다.
3) 제대는 생후 5~8일 후면 저절로 말라 떨어지게 되므로 압박을 가하거나 제거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4) 신생아의 RH 인자가 부적합한 경우에는 태아적아구증(erythroblastosis fetalis)으로 고생하게 된다. 이 때 제대 정맥을 통해 교환 수혈을 하게 된다. 제대는 길게 자르고 습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자주 식염수로 적셔준다. 그 위에 소독 거즈를 대어준다. 교환 수혈이 끝난 뒤에도 2차 수혈을 대비하여 습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참고문헌
응급실 복통환자의 간호진단과 간호중재의 분석
연세대 간호대학원 ㆍ 오현식
문제중심 간호기록 방법에 대한 문헌적 연구
마산간호전문대학 ㆍ 김옥숙
간호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분류연계
중앙대 대학원 ㆍ 지미경
임상교육표준안에 기초한 간호학생 임상교육
인제대학교 ㆍ 정영지
간호 학생의 효과적인 학습
마산간호전문대학 ㆍ 김옥숙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요약정리
노인간호 케이스스터디-치매(AD) 케이스
현대간호의 최근동향과 발전방향
가정간호제도와 의료보험수가 적용방법
[정신간호학 실습] 알코올중독(Alcholism) 케이스 스터디
정신질환치료와 간호의 역사 -악령을 쫓아내고 뇌의 영향을 알아내기까지!
간호이론을 적용한 지역사회위기중재 방안
정신간호
간호이론 - 존슨의 7가지 행동체계 적용에 관하여
정신건강과간호] 교재65쪽 스트레스인식일지 이용하여 자신 스트레스 기록, 스트레스 종류 사...
[간호이론 D형] 킹의 6개 개인체계와 5개 대인관계체계 적용 1) 주어진 이론에 대해 간략히 ...
지역사회간호학) 문화적차이와 건강문제_A+
간호윤리와 법 - 법윤리 상황극 보고서 ( 서론, 본론, 관련 법 조항, 관련 사례, 해결방안, ...
지역사회 간호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