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우리나라 출판산업 발전의 장해요인
2.1 제도시장으로서 도서관계의 낙후성
2.2 미디어환경과 독서문화의 퇴조
3. 출판업계와 도서관계의 관계
3.1 출판업계와 도서관계의 상호의존성
3.2 출판계와 도서관계의 현실적 반목
4. 출판업계와 도서관계의 협력현황
4.1 상호협력의 필요성
4.2 한국의 협력상황
5. 출판업계와 도서관계의 협력을 저해하는 요인
5.1 현실적 요인
5.2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에 대한 이견
6. 도서관계와 출판업계의 상호 협력방안
6.1 도서관의 양적 확충과 질적 내실화
6.2 공통 유통서지DB의 구축
6.3 학술출판의 진흥
6.4 상설 출판 및 도서관 협력위원회 운영
7. 출판문화 정책의 방향
7.1 출판정책의 기본 방향
7.2 출판 관련 예산 및 기금의 확충
7.3 법 제도의 개선
8. 결론적 논의
참고문헌
2. 우리나라 출판산업 발전의 장해요인
2.1 제도시장으로서 도서관계의 낙후성
2.2 미디어환경과 독서문화의 퇴조
3. 출판업계와 도서관계의 관계
3.1 출판업계와 도서관계의 상호의존성
3.2 출판계와 도서관계의 현실적 반목
4. 출판업계와 도서관계의 협력현황
4.1 상호협력의 필요성
4.2 한국의 협력상황
5. 출판업계와 도서관계의 협력을 저해하는 요인
5.1 현실적 요인
5.2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에 대한 이견
6. 도서관계와 출판업계의 상호 협력방안
6.1 도서관의 양적 확충과 질적 내실화
6.2 공통 유통서지DB의 구축
6.3 학술출판의 진흥
6.4 상설 출판 및 도서관 협력위원회 운영
7. 출판문화 정책의 방향
7.1 출판정책의 기본 방향
7.2 출판 관련 예산 및 기금의 확충
7.3 법 제도의 개선
8. 결론적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 9000종) 우수 도서(학술도서 포함)를 1000부씩 구입하여 공공도서관이나 마을문고 등에 비치할 수 있고, 그러면 국민 문화 향수의 기회는 대폭 늘어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인 출판진흥책이 될 뿐만 아니라 독서 진흥책이기도 하다.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구 한국출판금고)의 기금을 5년 이내에 1000억 원 이상으로 대폭 확충하는 방안도 대안 중의 하나이다.
또한 도서관의 예산을 혁명적으로 확충하지 않고는 결코 문화입국이 될 수 없다. 문화입국, 정보복지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도서구입비는 연간 최소 700억 원 정도(1관당 평균 1억 5천만 원)는 확보되어야 한다.
7.3 법 제도의 개선
'출판및인쇄진흥법'의 체계적인 실천이 요구되고 실질적인 예산이 집행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보완되어야 한다.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함에 따라 e-book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책들이 출현하고 있다. 따라서 출판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출판의 개념의 새로운 정의가 담기고, 지식·정보시대에 걸맞는 미래지향적이고도 출판문화산업에 대한 구체적인 진흥책이 명시된 법 개정이 요구된다.
아울러 도서대여권을 신설 등 출판업계 요구의 실현과 디지털 환경에 걸맞는 내용을 담은저작권법으로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실질적이고도 구체체적인 독서 진흥과 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및독서진흥법의 개정은 매우 절실하다.
8. 결론적 논의
MBC의 "느낌표"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한 독서운동을 독서문화정착에 기여도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동안 "느낌표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문화적 편식이 심하고 특정 도서의 판매만을 촉진시킬 뿐 다른 출판물의 판매는 부진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어왔다. 그러나 그보다는 이 같은 독서운동은 즉시적 효과를 노린 '극약처방'과 같은 것이어서 그 후유증이 심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는 마치 우리나라가 항생제를 남용하여 세계제일의 항생제 면역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앞으로 문화운동차원의 지역사회 독서운동들은 국민들에게는 초라한 '이벤트' 여겨질 것이고 호응도 기대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미 이 같은 극약처방의 후유증은 벌써부터 나타나고 있습니다. 느낌표에서 채택된 도서의 판매도 초창기의 '붐'과 같은 반응을 이미 보이지 않고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문화 인프라로서 지역사회의 도서관확충, 학교도서관의 확충, 입시제도의 개선, 마을문고, 진중문고, 경찰문고, 기업체문고 등 지역과 직장의 소규모 도서관확충 을 위한 재정적, 법적, 세제(稅制)적 지원을 통하여 지역사회와 학교 그리고 직장을 중심으로 독서의 생활화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문화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나날이 서점이 사라져 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서유통 체계는 실로 원시적이라고 표현해야 할 만큼 통합된 도서유통정보도 없고 아직 유통도서 DB 구축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통도서 DB 구축에 이어 도서유통 현대화 사업을 달성하지 않으면 우리나라 출판문화는 만년위기를 면치 못할 것이다. 또한 도서관의 확충과 도서구입비의 대폭확대,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독서운동의 전개, 학술출판의 육성을 위한 출판진흥기금의 적극적인 활용, 서점의 육성보호를 위한 획기적 정책수립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것이 바로 출판산업계와 도서관계가 힘을 합해서 숙의하고 목소리를 합해야 하는 이유이다.
참고문헌
김병익 역(1999), 1984년(George Orwell), 문예출판사.
김정숙(1998), 출판매체의 수용가치에 대한 계량경제적 WTP 분석연구,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광무(2002), "시론: 출판산업 중흥의 길목에서", <출판문화> '02년 4월.
배상호(1996), 두뇌프라이밍, 두레시대.
이덕형 역(1998), 멋진 신세계(Huxley A., Brave New World), 문예출판사.
이정춘/이종국(1988), 독서와 출판문화론, 범우사.
이정춘(2000), "닐 포스트만의 경고", <출판문화>, '01년 6월.
이정춘(2002), "정보화시대의 독서환경과 출판인프라정책", <출판문화> '02년 3월.
이정춘(2002-a), 미디어교육으로서 독서교육에 관한 연구, -어린이의 '책 읽어주기'를 중심으로-, <韓國出版學硏究> 통권 제44호, 한국출판학회, 2002. p.389-419.
이용훈(2003),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출판계와 도서관계가 함께 만들어 가야 할 미래의 청사진", <출판문화>, '03년 4월.
서해성(2002), "민간 책 읽기 운동에 관하여, -책읽는 사회만들기 국민운동을 중심으로",<출판문화>, '02년 11월
세이치 히구치(2003), "2003년 일본 도서시장 전망", <출판문화>, '03년 3월.
신현택(2001), "도서관과 출판계, 함께 가는 길", <출판문화> '01년 7월호.
홍윤경(1998), 출판계와 도서관계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화관광부 도서관박물관과(2003.3), 2002년 전국공공도서관 현황(2001. 12. 31 기준)
문화관광부(2003, 5), 출판산업의 8대 주요정책과제 세부내용.
Adoni, H.(1995), "Literacy and Reading in a Multimedia Environment",Vol.45(2), Spring '9.
Klemer J.(1999), 1001 Ways to Market Your Books.
Postman, N.(1995),"Die Bedrohung des Lesens durch die elektronischen Medien- und was die Verleger dagegen tun koennen, In: Franzmann, B. u..A.(eds.), Auf den Schultern von Gutenberg, Medienoekologische Perspektiven der Fernsehengesellschaft, Berlin-Muenchen, 1995.
Wember, B., Wie informiert das Fernsehen?, Munchen 1983.
또한 도서관의 예산을 혁명적으로 확충하지 않고는 결코 문화입국이 될 수 없다. 문화입국, 정보복지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도서구입비는 연간 최소 700억 원 정도(1관당 평균 1억 5천만 원)는 확보되어야 한다.
7.3 법 제도의 개선
'출판및인쇄진흥법'의 체계적인 실천이 요구되고 실질적인 예산이 집행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보완되어야 한다.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함에 따라 e-book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책들이 출현하고 있다. 따라서 출판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출판의 개념의 새로운 정의가 담기고, 지식·정보시대에 걸맞는 미래지향적이고도 출판문화산업에 대한 구체적인 진흥책이 명시된 법 개정이 요구된다.
아울러 도서대여권을 신설 등 출판업계 요구의 실현과 디지털 환경에 걸맞는 내용을 담은저작권법으로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실질적이고도 구체체적인 독서 진흥과 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및독서진흥법의 개정은 매우 절실하다.
8. 결론적 논의
MBC의 "느낌표"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한 독서운동을 독서문화정착에 기여도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동안 "느낌표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문화적 편식이 심하고 특정 도서의 판매만을 촉진시킬 뿐 다른 출판물의 판매는 부진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어왔다. 그러나 그보다는 이 같은 독서운동은 즉시적 효과를 노린 '극약처방'과 같은 것이어서 그 후유증이 심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는 마치 우리나라가 항생제를 남용하여 세계제일의 항생제 면역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앞으로 문화운동차원의 지역사회 독서운동들은 국민들에게는 초라한 '이벤트' 여겨질 것이고 호응도 기대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미 이 같은 극약처방의 후유증은 벌써부터 나타나고 있습니다. 느낌표에서 채택된 도서의 판매도 초창기의 '붐'과 같은 반응을 이미 보이지 않고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문화 인프라로서 지역사회의 도서관확충, 학교도서관의 확충, 입시제도의 개선, 마을문고, 진중문고, 경찰문고, 기업체문고 등 지역과 직장의 소규모 도서관확충 을 위한 재정적, 법적, 세제(稅制)적 지원을 통하여 지역사회와 학교 그리고 직장을 중심으로 독서의 생활화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문화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나날이 서점이 사라져 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서유통 체계는 실로 원시적이라고 표현해야 할 만큼 통합된 도서유통정보도 없고 아직 유통도서 DB 구축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통도서 DB 구축에 이어 도서유통 현대화 사업을 달성하지 않으면 우리나라 출판문화는 만년위기를 면치 못할 것이다. 또한 도서관의 확충과 도서구입비의 대폭확대,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독서운동의 전개, 학술출판의 육성을 위한 출판진흥기금의 적극적인 활용, 서점의 육성보호를 위한 획기적 정책수립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것이 바로 출판산업계와 도서관계가 힘을 합해서 숙의하고 목소리를 합해야 하는 이유이다.
참고문헌
김병익 역(1999), 1984년(George Orwell), 문예출판사.
김정숙(1998), 출판매체의 수용가치에 대한 계량경제적 WTP 분석연구,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광무(2002), "시론: 출판산업 중흥의 길목에서", <출판문화> '02년 4월.
배상호(1996), 두뇌프라이밍, 두레시대.
이덕형 역(1998), 멋진 신세계(Huxley A., Brave New World), 문예출판사.
이정춘/이종국(1988), 독서와 출판문화론, 범우사.
이정춘(2000), "닐 포스트만의 경고", <출판문화>, '01년 6월.
이정춘(2002), "정보화시대의 독서환경과 출판인프라정책", <출판문화> '02년 3월.
이정춘(2002-a), 미디어교육으로서 독서교육에 관한 연구, -어린이의 '책 읽어주기'를 중심으로-, <韓國出版學硏究> 통권 제44호, 한국출판학회, 2002. p.389-419.
이용훈(2003),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출판계와 도서관계가 함께 만들어 가야 할 미래의 청사진", <출판문화>, '03년 4월.
서해성(2002), "민간 책 읽기 운동에 관하여, -책읽는 사회만들기 국민운동을 중심으로",<출판문화>, '02년 11월
세이치 히구치(2003), "2003년 일본 도서시장 전망", <출판문화>, '03년 3월.
신현택(2001), "도서관과 출판계, 함께 가는 길", <출판문화> '01년 7월호.
홍윤경(1998), 출판계와 도서관계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화관광부 도서관박물관과(2003.3), 2002년 전국공공도서관 현황(2001. 12. 31 기준)
문화관광부(2003, 5), 출판산업의 8대 주요정책과제 세부내용.
Adoni, H.(1995), "Literacy and Reading in a Multimedia Environment",
Klemer J.(1999), 1001 Ways to Market Your Books.
Postman, N.(1995),"Die Bedrohung des Lesens durch die elektronischen Medien- und was die Verleger dagegen tun koennen, In: Franzmann, B. u..A.(eds.), Auf den Schultern von Gutenberg, Medienoekologische Perspektiven der Fernsehengesellschaft, Berlin-Muenchen, 1995.
Wember, B., Wie informiert das Fernsehen?, Munchen 1983.
추천자료
우리나라 영화산업 문제점과 해결방안 ,대중매체 대중문화 영상
문화산업
게임산업구조와 발전방향 및 문제점
뉴미디어 시대의 특수방송의 발전전망
잡지에 관한 통계 표 설문 참고자료
디지털 기술 발전에 의한 문화컨텐츠 제작구조의 변화
한국정치발전의 저해 요인과 과제
닌텐도 DS의 성공요인 분석 및 앞으로의 발전방안
[경영과의사결정]닌텐도DS의 성공요인 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A+리포트)
디지털시대 인쇄매체의 변화
(A+자료) 20세기 한국 경제의 특징과 역사발전 및 성공요인 과 성공전략 총체적 조사분석
[고객만족][CS][고객]고객만족(CS)의 연혁, 고객만족(CS)의 필요성, 고객만족(CS)의 결정요인...
교촌치킨의 성공요인은 무엇이고 앞으로 발전방향은 어떤것이 있는가 (교촌치킨 소개, 교촌치...
21세기 문화트랜드 읽기, 스포츠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