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액순환설의 등장
2. 하비의 일생과 연구과정
3. 하비의 혈액순환설
4. 하비의 혈액순환설의 한계
5. 혈액순환설이 17세기에 미친 영향
2. 하비의 일생과 연구과정
3. 하비의 혈액순환설
4. 하비의 혈액순환설의 한계
5. 혈액순환설이 17세기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나는 정량적 서술 및 실험적 관찰구도에 초점을 맞추어 하비를 이해했다. 그리하여 피의 순환이론이나 체내 기관들의 기능에 대한 하비의 설명들은 다음 세대 동료들의 입자철학, 기계철학의 여과를 거치면서 많은 그대 생리학적 질문들 또는 연구과제들을 제공해주었다. 물론 하비 자신은 데카르트가 자기 자신의 심장 박동을 설명하면서 생기론적 심장 박동력을 기계론적 설명으로 바꾸어 버린것 - 데카르는 심장의 뜨거운 열 때문에 심장의 혈액이 팽창하여 박동이 시작된다고 기술했다 - 을 못마땅하게 생각했다. 베이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베이컨의 자연철학 이론들을 하비는 신통치 않게 보았다. 하비는 베이컨의 철학하는 방식이 대법관 나으리의 방식답다고 비웃듯이 이야기 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하비의 업적이 기계론적 세계관과 경험철학의 기치 아래 17세기 과학혁명의 일부로 간주됨을 아이러니라고 이야기 하기도 한다. 그러나 하비 자신의 생기론적 생명관과 베이컨류의 신과학에 대한 그의 냉소에도 불구하고 그의 피의 순환이론은 기계론적 요소를 담고 있었으며 그의 생체실험과 비교해부의 방법은 베이컨적 자연철학의 면모를 지니도 있었음도 사실이다. 다만 하비 자신이 자신의 작업에 스며들어 있는 기계적 세계관, 그리고 자신의 작업과 베이컨류의 경험과학의 성격을 느끼지 못했을 뿐인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과학사총설. 오진곤. 1996. 전파과학사
주일우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2005년 6월호(통권 제234호),p. 172 ~ 174
김기윤 범양사, 과학사상 제21호, 1997. 5, pp. 139 ~ 148
과학의 역사적 이해, 대구대출판사
참고문헌
과학사총설. 오진곤. 1996. 전파과학사
주일우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2005년 6월호(통권 제234호),p. 172 ~ 174
김기윤 범양사, 과학사상 제21호, 1997. 5, pp. 139 ~ 148
과학의 역사적 이해, 대구대출판사
추천자료
림프계와 림프순환
순환기내과 진단명에 대한 원인, 증상, 치료
순환기내과 간호중재
[동맥경화증][암][AIDS][심장질환][간경화][대상포진][치매]동맥경화증, 암, 후천성면역결핍...
[임신중 태아][임신중 태아 순환계][임신중 태아 출생시기][임신중 태아와 산모한 관리]임신...
심순환기질환식사요법
순환계 Circulation Chapter 33 Circulatory System
순환기계 (Cardiovascular system)
근대 경기순환이론.
순환기계검사
순환기계 대상자의 간호사정
순환계검사
1. 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고, 4가지 과민반응별로 발생기전과 사례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