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순환설의 한계와 17세기 과학혁명에 미친 영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순환설의 한계와 17세기 과학혁명에 미친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혈액순환설의 등장
2. 하비의 일생과 연구과정
3. 하비의 혈액순환설
4. 하비의 혈액순환설의 한계
5. 혈액순환설이 17세기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나는 정량적 서술 및 실험적 관찰구도에 초점을 맞추어 하비를 이해했다. 그리하여 피의 순환이론이나 체내 기관들의 기능에 대한 하비의 설명들은 다음 세대 동료들의 입자철학, 기계철학의 여과를 거치면서 많은 그대 생리학적 질문들 또는 연구과제들을 제공해주었다. 물론 하비 자신은 데카르트가 자기 자신의 심장 박동을 설명하면서 생기론적 심장 박동력을 기계론적 설명으로 바꾸어 버린것 - 데카르는 심장의 뜨거운 열 때문에 심장의 혈액이 팽창하여 박동이 시작된다고 기술했다 - 을 못마땅하게 생각했다. 베이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베이컨의 자연철학 이론들을 하비는 신통치 않게 보았다. 하비는 베이컨의 철학하는 방식이 대법관 나으리의 방식답다고 비웃듯이 이야기 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하비의 업적이 기계론적 세계관과 경험철학의 기치 아래 17세기 과학혁명의 일부로 간주됨을 아이러니라고 이야기 하기도 한다. 그러나 하비 자신의 생기론적 생명관과 베이컨류의 신과학에 대한 그의 냉소에도 불구하고 그의 피의 순환이론은 기계론적 요소를 담고 있었으며 그의 생체실험과 비교해부의 방법은 베이컨적 자연철학의 면모를 지니도 있었음도 사실이다. 다만 하비 자신이 자신의 작업에 스며들어 있는 기계적 세계관, 그리고 자신의 작업과 베이컨류의 경험과학의 성격을 느끼지 못했을 뿐인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과학사총설. 오진곤. 1996. 전파과학사
주일우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2005년 6월호(통권 제234호),p. 172 ~ 174
김기윤 범양사, 과학사상 제21호, 1997. 5, pp. 139 ~ 148
과학의 역사적 이해, 대구대출판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8.19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