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이탈리아 반도의 세력균형과 국제관계
Ⅲ. 마키아벨리 군주론의 숨은 핵심
1. 군주론의 주요 논점
2. 군주의 외적 요건
3. 군주의 인물됨
4. 군주에 대한 조언
Ⅳ. 『강론』에서의 시민적 자유와 갈등의 문제
Ⅴ. 마키아벨리의 의미
Ⅵ. 마키아벨리의 평가
참고문헌
Ⅱ. 이탈리아 반도의 세력균형과 국제관계
Ⅲ. 마키아벨리 군주론의 숨은 핵심
1. 군주론의 주요 논점
2. 군주의 외적 요건
3. 군주의 인물됨
4. 군주에 대한 조언
Ⅳ. 『강론』에서의 시민적 자유와 갈등의 문제
Ⅴ. 마키아벨리의 의미
Ⅵ. 마키아벨리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민이자 좋은 아버지였다. 그는 1501년 후반 마리에타 코르시니와 결혼했고 5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가 남편으로서 충실했다고는 말하기 어렵지만 가정에는 늘 다사로움이 넘쳐흘렀다. 자신의 영혼보다도 피렌체를 사랑했던 그는 너그럽고 정열적이며 기본적으로 신앙심이 깊은 사람이었다.
마키아벨리가 필요 이상으로 사악하게 비쳐진 이유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충격을 주고자 했던 그의 의도 때문이었다. 이러한 태도는 거침없는 경구들과 더불어 가톨릭 반동세력의 표적이 되었고 사탄의 화신 정도의 평판을 불러일으켰다. 프랑스인들은 이탈리아적인 것이라면 무엇이든 부정하려는 경향으로부터 '마키아벨리즘'이라는 경멸적인 표현을 창출해냈다. 위대한 재능을 갖추고 있었던 그는 불행한 삶을 살았음으로 해서 희생양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마키아벨리는 역사철학의 창시자로서 그때까지 누구도 시도해본 적이 없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음을 실감하고 있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원칙으로부터 역사순환론을 이끌어낸 최초의 인물이었으며 인간에 대한 인식을 정치학의 토대로 정립한 최초의 인물이기도 했다.
마키아벨리는 위대한 사상가였고 따라서 위대한 작가일 수 있었다. 그의 시는 운문보다도 산문의 형식을 취한 것이 많지만 이탈리아 문학사상 비견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것들이다. 마키아벨리의 재능은 역사기술·정치논문·단편소설·희극 등 시도한 모든 장르로부터 빛을 발하고 있다.
참고문헌
Machiavelli Niccol , eds. The Prince, Skinner Quentin and Price Russel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997.
-----------------, Discourses on the First Decade of Titus Livius, trans. Gilbert Allan, Machiavelli : The Chief Works and Others Vol.1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1989.
퀘틴 스키너, 신현승 옮김, 『마키아벨리』, 서울: 시공사, 2001.
Althusser Louis., Machiavelli and Us (London: Verso), 1999; 2000.
Bondanella Peter and Musa Mark., "Introduction," in The Portable Machiavelli (New York: Penguin Books), 1979.
Brucker. Gene A., Renaissance Florenc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1983.
Cassirer Ernst, "Implications of the New Theory of the State," in ed. Adams. Robert M., The Prince (W.W. Norton & Company), 1977; 1992.
Coser. Lewis A., The Functions of Social Conflict (New York: The Free Press), 1956.
Crick Bernard, ed. The Discourses (New York: Penguin), 1970; 1988.
Gilbert Felix, "Fortune, Necessity, Virtu," in ed. Adams. Robert M., The Prince (W.W. Norton & Company), 1977; 1992.
Mansfield. Harvey C., and Tarcov Nathan, trans. Discourses on Liv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Martines Lauro., Power and Imagination: City-States in Renaissance Italy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9; 1988.
Meinecke Friedrich., Machiavellism : The Doctrine of Raison d'Etat and Its Place in Modern History (Somerset, NJ: Transaction Publishers), 1998.
Quentin Skinner, "The Italian City-Republics," in ed. Dunn John, Democracy: The Unfinished Journey, 508 BC to AD 1993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Rice Eugene. Jr. and Grafton. Anthony, The Foundations of Early Modern Europe, 1460-1559, 2nd ed. (New York: W.W. Norton and Company Inc.), 1970; 1994.
Skinner Quentin and Viroli Maurizio, eds. Machiavelli and Republican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993.
Thucydides, The Peloponnesian War, with an introduction of T.E. Wick (New York: Random House, Inc.), 1982.
Viroli Maurizio, Machiavelli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Wolin Sheldon S., "The Economy of Violence," in ed. Adams. Robert M., The Prince (W.W. Norton & Company), 1977; 1992.
Wootton David, ed. and trans. "Introduction," in Machiavelli : Selected Political Writings (Indianapolis, IN: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1994.
마키아벨리가 필요 이상으로 사악하게 비쳐진 이유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충격을 주고자 했던 그의 의도 때문이었다. 이러한 태도는 거침없는 경구들과 더불어 가톨릭 반동세력의 표적이 되었고 사탄의 화신 정도의 평판을 불러일으켰다. 프랑스인들은 이탈리아적인 것이라면 무엇이든 부정하려는 경향으로부터 '마키아벨리즘'이라는 경멸적인 표현을 창출해냈다. 위대한 재능을 갖추고 있었던 그는 불행한 삶을 살았음으로 해서 희생양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마키아벨리는 역사철학의 창시자로서 그때까지 누구도 시도해본 적이 없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음을 실감하고 있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원칙으로부터 역사순환론을 이끌어낸 최초의 인물이었으며 인간에 대한 인식을 정치학의 토대로 정립한 최초의 인물이기도 했다.
마키아벨리는 위대한 사상가였고 따라서 위대한 작가일 수 있었다. 그의 시는 운문보다도 산문의 형식을 취한 것이 많지만 이탈리아 문학사상 비견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것들이다. 마키아벨리의 재능은 역사기술·정치논문·단편소설·희극 등 시도한 모든 장르로부터 빛을 발하고 있다.
참고문헌
Machiavelli Niccol , eds. The Prince, Skinner Quentin and Price Russel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997.
-----------------, Discourses on the First Decade of Titus Livius, trans. Gilbert Allan, Machiavelli : The Chief Works and Others Vol.1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1989.
퀘틴 스키너, 신현승 옮김, 『마키아벨리』, 서울: 시공사, 2001.
Althusser Louis., Machiavelli and Us (London: Verso), 1999; 2000.
Bondanella Peter and Musa Mark., "Introduction," in The Portable Machiavelli (New York: Penguin Books), 1979.
Brucker. Gene A., Renaissance Florenc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1983.
Cassirer Ernst, "Implications of the New Theory of the State," in ed. Adams. Robert M., The Prince (W.W. Norton & Company), 1977; 1992.
Coser. Lewis A., The Functions of Social Conflict (New York: The Free Press), 1956.
Crick Bernard, ed. The Discourses (New York: Penguin), 1970; 1988.
Gilbert Felix, "Fortune, Necessity, Virtu," in ed. Adams. Robert M., The Prince (W.W. Norton & Company), 1977; 1992.
Mansfield. Harvey C., and Tarcov Nathan, trans. Discourses on Liv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Martines Lauro., Power and Imagination: City-States in Renaissance Italy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9; 1988.
Meinecke Friedrich., Machiavellism : The Doctrine of Raison d'Etat and Its Place in Modern History (Somerset, NJ: Transaction Publishers), 1998.
Quentin Skinner, "The Italian City-Republics," in ed. Dunn John, Democracy: The Unfinished Journey, 508 BC to AD 1993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Rice Eugene. Jr. and Grafton. Anthony, The Foundations of Early Modern Europe, 1460-1559, 2nd ed. (New York: W.W. Norton and Company Inc.), 1970; 1994.
Skinner Quentin and Viroli Maurizio, eds. Machiavelli and Republican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993.
Thucydides, The Peloponnesian War, with an introduction of T.E. Wick (New York: Random House, Inc.), 1982.
Viroli Maurizio, Machiavelli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Wolin Sheldon S., "The Economy of Violence," in ed. Adams. Robert M., The Prince (W.W. Norton & Company), 1977; 1992.
Wootton David, ed. and trans. "Introduction," in Machiavelli : Selected Political Writings (Indianapolis, IN: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