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랭크 대러본트 감독
2. 작품 줄거리
3. 꿈과 희망의 이중주
4. 영화와 원작과의 비교분석
5. 완전하게 잘 짜여진 관객을 위한 영화
6. 탈출영화 빠삐용과의 비교분석
7. 쇼생크탈출의 현대적 의미
8. 맺음말
2. 작품 줄거리
3. 꿈과 희망의 이중주
4. 영화와 원작과의 비교분석
5. 완전하게 잘 짜여진 관객을 위한 영화
6. 탈출영화 빠삐용과의 비교분석
7. 쇼생크탈출의 현대적 의미
8. 맺음말
본문내용
그 대신 최근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그 구성의 탄탄함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었다. 대조적으로, 빠삐용은 확실히 오래된 영화라 약간은 어설픈 느낌을 받았지만 현실성을 잘 살리고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내세울 수 있을 것 같았다.
7. 쇼생크탈출의 현대적 의미
대러본트는 스탠리 큐브릭과 같이 '안티 휴머니즘'의 주제들로 관객들을 당혹시켜 시선을 집중시키려 들지도 않았고, 로버트 알트만처럼 멀티 플롯의 형식으로 관객들에게 '새로운 형식의 접근'을 강요하지도 않았다. 쇼생크 탈출이 갖는 의미 또한 여기에 있다. 그는 '휴머니즘'에 근거하는 구닥다리 이야기를 다분히 전통적이며 보편적인 형식으로 소화해 내었다. 그러나 "쇼생크 탈출"이 주목받아야 할 이유는, 그러한 구식의 이야기를 도가 지나침이 없이 제대로 답습하여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예를 들자면, 씨스터 액트 2와 같은 계몽 영화의 차원으로부터는 상당히 발전되어 있으며, 우리의 이성적인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고서 감성적인 면을 끄집어내는 데 성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봤자 결국은 진부한 교도소 영화에 불과하지 않느냐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빈축을 살만한 소지를 이 영화는 분명히 갖고 있다. 그러나,'진부'하다고 해서 뭐가 어떻단 말인가? 영화는 늘 도전적이고 새로워야만 하는 것인가?
"쇼생크 탈출"과 같은 영화들은 안정된 도덕적 가치관에 기반을 둔 권선징악의 테마를 이용하여, 현대 사회의 모순 속에서 흔들리던 우리의 가치관을 바로 잡아주고, 삶의 의미에 대한 번민들을 일시나마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맡는다. 진부한 이야기 즉, 안정된 관점을 지닌 전형적인 구조의 영화들에 싫증을 느껴, 삶에 대한 다소 이질적이고도 편파적인 관점을 지닌 실험적인 영화들에 심취하게 되더라도, 결국 그 파괴적인 성향에 지쳐 우리는 이러한 진부한 이야기로 돌아와 잠시라도 안정을 취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펄프 픽션"과 같은 잔인무도한 코미디나, 키에슬롭스키의 난해한 삼색 연작들이 격찬받는 시대에서라면, "쇼생크 탈출"과 같은 영화들이 담당해야 할 몫도 분명히 남아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8. 맺음말
이 영화는 폭력이나 액션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도 2시간 10분 가량의 영화를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고 아슬아슬하게 이끌고간 미국 영화로는 보기 드물게 '드라마적 요소'를 가지고 성공한 케이스다. 그리고 모든 관객은 이러한 제작진의 의도에 고스란히 넘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영화는 5000원을 지불하고 시간을 빼앗겨가며 먼 극장을 찾아온 관객들에게는 하나의 즐거움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보면서 '희생'을 필요로 하거나 괜히 돈버리고 시간 버렸다는 생각이 들어서는 실패한 것이다. 물론 '아트' 나 '예술'이라는 이름을 걸고 '칸느'니 '베니스'니 하는 영화제에 출품되는 영화들과는 이 영화는 '맥'을 달리한다. 그러나 '재미는 있지만 황당한 오락물'이라거나 '작품성은 있지만 재미가 떨어지는 영화'라는 필수적인 둘 중의 하나 선택을 이 작품은 모두 거부하고 작품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돈과 시간을 투자한 관객에게 '찍소리'를 못하도록 세밀하고 완벽하게 (제작진의 뜻에 맞추어) 만들었으며 그래서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자신있게 '쇼생크 탈출'을 보라하고 권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런 점이 헐리웃 영화의 저력이면서 세계 영화계를 주도하는 힘이 아닐까? 헐리웃은 소수의 평론가나 특정인이 아니고 '다수의 관객'을 대상으로 영화를 만들며 또 성공을 위하여 그만큼 철저히 투자하고 준비하는 것이다. 우리 영화계도 요즘의 성공에 취해 생각없이 같은 영화들을 되풀이해서 찍어내기보단 이런 점들을 깊이있게 공부해서 배워나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7. 쇼생크탈출의 현대적 의미
대러본트는 스탠리 큐브릭과 같이 '안티 휴머니즘'의 주제들로 관객들을 당혹시켜 시선을 집중시키려 들지도 않았고, 로버트 알트만처럼 멀티 플롯의 형식으로 관객들에게 '새로운 형식의 접근'을 강요하지도 않았다. 쇼생크 탈출이 갖는 의미 또한 여기에 있다. 그는 '휴머니즘'에 근거하는 구닥다리 이야기를 다분히 전통적이며 보편적인 형식으로 소화해 내었다. 그러나 "쇼생크 탈출"이 주목받아야 할 이유는, 그러한 구식의 이야기를 도가 지나침이 없이 제대로 답습하여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예를 들자면, 씨스터 액트 2와 같은 계몽 영화의 차원으로부터는 상당히 발전되어 있으며, 우리의 이성적인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고서 감성적인 면을 끄집어내는 데 성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봤자 결국은 진부한 교도소 영화에 불과하지 않느냐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빈축을 살만한 소지를 이 영화는 분명히 갖고 있다. 그러나,'진부'하다고 해서 뭐가 어떻단 말인가? 영화는 늘 도전적이고 새로워야만 하는 것인가?
"쇼생크 탈출"과 같은 영화들은 안정된 도덕적 가치관에 기반을 둔 권선징악의 테마를 이용하여, 현대 사회의 모순 속에서 흔들리던 우리의 가치관을 바로 잡아주고, 삶의 의미에 대한 번민들을 일시나마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맡는다. 진부한 이야기 즉, 안정된 관점을 지닌 전형적인 구조의 영화들에 싫증을 느껴, 삶에 대한 다소 이질적이고도 편파적인 관점을 지닌 실험적인 영화들에 심취하게 되더라도, 결국 그 파괴적인 성향에 지쳐 우리는 이러한 진부한 이야기로 돌아와 잠시라도 안정을 취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펄프 픽션"과 같은 잔인무도한 코미디나, 키에슬롭스키의 난해한 삼색 연작들이 격찬받는 시대에서라면, "쇼생크 탈출"과 같은 영화들이 담당해야 할 몫도 분명히 남아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8. 맺음말
이 영화는 폭력이나 액션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도 2시간 10분 가량의 영화를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고 아슬아슬하게 이끌고간 미국 영화로는 보기 드물게 '드라마적 요소'를 가지고 성공한 케이스다. 그리고 모든 관객은 이러한 제작진의 의도에 고스란히 넘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영화는 5000원을 지불하고 시간을 빼앗겨가며 먼 극장을 찾아온 관객들에게는 하나의 즐거움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보면서 '희생'을 필요로 하거나 괜히 돈버리고 시간 버렸다는 생각이 들어서는 실패한 것이다. 물론 '아트' 나 '예술'이라는 이름을 걸고 '칸느'니 '베니스'니 하는 영화제에 출품되는 영화들과는 이 영화는 '맥'을 달리한다. 그러나 '재미는 있지만 황당한 오락물'이라거나 '작품성은 있지만 재미가 떨어지는 영화'라는 필수적인 둘 중의 하나 선택을 이 작품은 모두 거부하고 작품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돈과 시간을 투자한 관객에게 '찍소리'를 못하도록 세밀하고 완벽하게 (제작진의 뜻에 맞추어) 만들었으며 그래서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자신있게 '쇼생크 탈출'을 보라하고 권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런 점이 헐리웃 영화의 저력이면서 세계 영화계를 주도하는 힘이 아닐까? 헐리웃은 소수의 평론가나 특정인이 아니고 '다수의 관객'을 대상으로 영화를 만들며 또 성공을 위하여 그만큼 철저히 투자하고 준비하는 것이다. 우리 영화계도 요즘의 성공에 취해 생각없이 같은 영화들을 되풀이해서 찍어내기보단 이런 점들을 깊이있게 공부해서 배워나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추천자료
HIVD,요추 추간판 탈출증
경영혁신을 통한 벽산의 위기탈출
연예의 기술,데이트 전략/솔로 탈출
[사회복지 프로포절]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비만 탈출 보고서 '나의 건강 다이어리'
<광장> 죽음을 통한 탈출 줄거리 및 감상문
스포츠 선수의 추간판 탈출증의 이해 및 손상,치료,재활
T,G,I Fridays - 불황탈출! (T,G,I Fridays,TGI마케팅전략,티지아이마케팅전략,패밀리레스토...
목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성인간호학] 추간판 탈출증 Conference 진단명 : L3~4 HNP, L4~5 spinal stenosis with HNP
행동수정 계획서 - Y양의 커피중독 탈출기
인간의 끝없는 욕망 '혹성탈출'영화감상문(14년도 2학기)
[이동 거리극 감상문] 아름다운 탈출 - 비상구
[고전문학개론] 민속극 - 봉산탈출 꼭두각시놀음과 그의 실용화 방안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