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공생적 결합(symbiotic tie)
○어머니가 장애인 내의 자아 내에 생동하고 내재화되는 존재이다.
○어머니의 요구가 충족됨으로서 장애인은 독립적인 성격으로 성장발달하지 못함.
2)정서적 이혼(emotional divorce)
○양 부모간의 정서적 거리가 있으며 자녀의 감정이나 욕구에 대하여 무감각함.
○정서적 이혼은 적개심과 갈등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고 가능한 견딜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함
○이 경우 한쪽 부모는(모) 장애인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아버지는 모자 둘의 관계 주변에 머무르게 됨
3)왜곡된 부부관계(marital schism)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부부관계
○독재적이고 적개심이 많은 부인과 수동적이고 자녀에게 영향력이 적은 남편으로 구성된 결혼 관계
○폭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남편과 겁이 많고 유순하며 무기력한 부인의 관계
○상호 배타적이고 불신하는 관계에서 자녀들을 편애하며 고립된 생활을 자녀에게 의지하는 경우
4)가상 상호성(pseudomutuality)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돕고 상대방에 맞추려고 하여 실제 관계가 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구성원들이 독립성을 갖는 것을 두려워하여 개인의 주체성 확립에 장애가 됨
5)이중구속
언어적 수준의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수준의 의사소통의 불일치
10.건강한 가족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4가지 측면
1)자기가치 :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느낌을 받도록 개인차를 인정하고 실수를 용납하며 의사소통이 자유로운 가정이 되도록 한다.
2)의사소통
3)규칙
4)사회와의 연결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지원 인프라 현황
1.서울특별시
일반시민의 정신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정신질환으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며, 정신질환이 있다는 이유로 차별 받지 아니하고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목표: ①일반시민에게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도록 합니다.
②정신질환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환경을 조성합니다.③정신질환자의 편견해소를 위한 계몽활동을 실시합니다. ④정신보건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2.서울시광역정신보건센터
서울시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인식개선사업을 실시하고, 우울증 및 자살 등 위기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하고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연계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①정신건강증진사업: 홍보 및 기획/캠페인/기념행사/학술대회/조사연구
②위기관리사업: 위기상담/정신보건관련기관 및 관련시설연계/사례관리
③연계사업: 정신보건관련기관 연계/주거시설지원/노숙인 지원
3.지역정신보건센터
정신질환자의 사회적응과 재활뿐만 아니라 일반시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내에서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 임상심리사가 활동하고 있습니다.
①정신질환자 방문관리: 약물복용관리/일상생활관리/위기개입
②재활프로그램: 사회적응훈련/스트레스대처훈련/일상생활훈련/여가활용
③응급서비스: 응급진료 및 응급상담/처치서비스
④홍보 및 계몽활동: 홍보물 제작 및 배포/캠페인/정신건강강좌
4.사회복귀시설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를 위해 지역 내에서 주거, 직업,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훈련을 실시하는 기관입니다.
①생활훈련시설: 위생관리/식사관리/약물관리/여가활동
②작업훈련시설: 보호 작업/취업준비 및 취업알선/취업장 관리/작업능력평가
③주거시설: 일정기간거주/일상생활/위생관리/여가활동/요리/금전관리
5.보건소의 정신보건사업
각 구 보건소는 가정방문과 지역주민의 편견해소, 응급서비스 등으로 정신질환자가 지역에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①정신질환자 방문관리: 약물관리/일상생활관리/지역사회자원연계
②재활프로그램: 사회적응훈련/예술치료/정신건강교육/여가활동
③의뢰 및 연계서비스: 정신보건관련기관과의 의뢰 및 연계서비스
④민원처리: 행정지원/정신보건과 관련한 갈등이나 문제해결
6.정신보건관련단체
대한신경정신의학회: http://www.knpa.or.kr
대한정신보건가족협회: http://www.kfamh.or.kr
사회복귀시설협회: http://kpr.or.kr
대한간호협회 정신간호사회: http://www.pmhnp.or.kr/index.php
한국정신요양협회: http://www.kmental.or.kr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http://www.kamhsw.or.kr
대한스트레스학회: http://www.stressfree.or.kr
한국치매협회: http://www.siverweb.or.kr
11.끝맺음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다 잃는다는 말은 누구나 아파본적이 있는 사람은 다 알 수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그 만큼 사람에게 있어 건강의 중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말입니다.
더욱이 정신건강의 중요성은 강조하면 할수록 지나침이 없는 것 같습니다. 육체의 병은 의사가 필요하고 그 사람 혼자 아파한다면, 정신보건은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의 아니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의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최근 사회가 살기 어려워지고 개인화, 이기주의화 되어 가는 가치들 속에서 정신적으로 아픈 사람들이 엄청난 범죄를 저지르며 사회를 두려움에 떨게 합니다.
육체적인 질병에는 의술과 예방이 중요하지만, 우리들의 정신건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치료할 수 있습니다. 바로 더욱 우리들의 사랑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더욱 예방이 가능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신건강, 우리의 최우선 가치입니다.
▶한번 체크해 보세요.
★스트레스 자가 검진★
1.가슴이 두근거리고 점점 빨리 뛰는 것 같다.
2.식은땀이 난다.
3.어지럽다.
4.숨이 가빠지고 숨쉬기가 어렵다.
5.질식할 것 같은 느낌
6.가슴이 아프고 답답하다.
7.메스껍고 속이 불편하다.
8.어지러우며 금방 쓰러질 것 같다.
9.비현실감, 꿈속을 거니는 느낌을 경험한다.
10.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할 것 같은 생각, 미쳐버릴 것 같은 생각이 든다.
11.이러다가 죽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12.손발의 감각이 이상해지는 것 같다.
13.열감을 느낀다. 얼굴이 확 달아오르는 느낌
3점 이하: 정상
4점 이상: 불안장애, 전문가상담 필요
○어머니가 장애인 내의 자아 내에 생동하고 내재화되는 존재이다.
○어머니의 요구가 충족됨으로서 장애인은 독립적인 성격으로 성장발달하지 못함.
2)정서적 이혼(emotional divorce)
○양 부모간의 정서적 거리가 있으며 자녀의 감정이나 욕구에 대하여 무감각함.
○정서적 이혼은 적개심과 갈등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고 가능한 견딜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함
○이 경우 한쪽 부모는(모) 장애인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아버지는 모자 둘의 관계 주변에 머무르게 됨
3)왜곡된 부부관계(marital schism)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부부관계
○독재적이고 적개심이 많은 부인과 수동적이고 자녀에게 영향력이 적은 남편으로 구성된 결혼 관계
○폭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남편과 겁이 많고 유순하며 무기력한 부인의 관계
○상호 배타적이고 불신하는 관계에서 자녀들을 편애하며 고립된 생활을 자녀에게 의지하는 경우
4)가상 상호성(pseudomutuality)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돕고 상대방에 맞추려고 하여 실제 관계가 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구성원들이 독립성을 갖는 것을 두려워하여 개인의 주체성 확립에 장애가 됨
5)이중구속
언어적 수준의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수준의 의사소통의 불일치
10.건강한 가족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4가지 측면
1)자기가치 :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느낌을 받도록 개인차를 인정하고 실수를 용납하며 의사소통이 자유로운 가정이 되도록 한다.
2)의사소통
3)규칙
4)사회와의 연결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지원 인프라 현황
1.서울특별시
일반시민의 정신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정신질환으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며, 정신질환이 있다는 이유로 차별 받지 아니하고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목표: ①일반시민에게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도록 합니다.
②정신질환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환경을 조성합니다.③정신질환자의 편견해소를 위한 계몽활동을 실시합니다. ④정신보건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2.서울시광역정신보건센터
서울시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인식개선사업을 실시하고, 우울증 및 자살 등 위기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하고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연계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①정신건강증진사업: 홍보 및 기획/캠페인/기념행사/학술대회/조사연구
②위기관리사업: 위기상담/정신보건관련기관 및 관련시설연계/사례관리
③연계사업: 정신보건관련기관 연계/주거시설지원/노숙인 지원
3.지역정신보건센터
정신질환자의 사회적응과 재활뿐만 아니라 일반시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내에서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 임상심리사가 활동하고 있습니다.
①정신질환자 방문관리: 약물복용관리/일상생활관리/위기개입
②재활프로그램: 사회적응훈련/스트레스대처훈련/일상생활훈련/여가활용
③응급서비스: 응급진료 및 응급상담/처치서비스
④홍보 및 계몽활동: 홍보물 제작 및 배포/캠페인/정신건강강좌
4.사회복귀시설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를 위해 지역 내에서 주거, 직업,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훈련을 실시하는 기관입니다.
①생활훈련시설: 위생관리/식사관리/약물관리/여가활동
②작업훈련시설: 보호 작업/취업준비 및 취업알선/취업장 관리/작업능력평가
③주거시설: 일정기간거주/일상생활/위생관리/여가활동/요리/금전관리
5.보건소의 정신보건사업
각 구 보건소는 가정방문과 지역주민의 편견해소, 응급서비스 등으로 정신질환자가 지역에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①정신질환자 방문관리: 약물관리/일상생활관리/지역사회자원연계
②재활프로그램: 사회적응훈련/예술치료/정신건강교육/여가활동
③의뢰 및 연계서비스: 정신보건관련기관과의 의뢰 및 연계서비스
④민원처리: 행정지원/정신보건과 관련한 갈등이나 문제해결
6.정신보건관련단체
대한신경정신의학회: http://www.knpa.or.kr
대한정신보건가족협회: http://www.kfamh.or.kr
사회복귀시설협회: http://kpr.or.kr
대한간호협회 정신간호사회: http://www.pmhnp.or.kr/index.php
한국정신요양협회: http://www.kmental.or.kr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http://www.kamhsw.or.kr
대한스트레스학회: http://www.stressfree.or.kr
한국치매협회: http://www.siverweb.or.kr
11.끝맺음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다 잃는다는 말은 누구나 아파본적이 있는 사람은 다 알 수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그 만큼 사람에게 있어 건강의 중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말입니다.
더욱이 정신건강의 중요성은 강조하면 할수록 지나침이 없는 것 같습니다. 육체의 병은 의사가 필요하고 그 사람 혼자 아파한다면, 정신보건은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의 아니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의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최근 사회가 살기 어려워지고 개인화, 이기주의화 되어 가는 가치들 속에서 정신적으로 아픈 사람들이 엄청난 범죄를 저지르며 사회를 두려움에 떨게 합니다.
육체적인 질병에는 의술과 예방이 중요하지만, 우리들의 정신건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치료할 수 있습니다. 바로 더욱 우리들의 사랑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더욱 예방이 가능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신건강, 우리의 최우선 가치입니다.
▶한번 체크해 보세요.
★스트레스 자가 검진★
1.가슴이 두근거리고 점점 빨리 뛰는 것 같다.
2.식은땀이 난다.
3.어지럽다.
4.숨이 가빠지고 숨쉬기가 어렵다.
5.질식할 것 같은 느낌
6.가슴이 아프고 답답하다.
7.메스껍고 속이 불편하다.
8.어지러우며 금방 쓰러질 것 같다.
9.비현실감, 꿈속을 거니는 느낌을 경험한다.
10.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할 것 같은 생각, 미쳐버릴 것 같은 생각이 든다.
11.이러다가 죽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12.손발의 감각이 이상해지는 것 같다.
13.열감을 느낀다. 얼굴이 확 달아오르는 느낌
3점 이하: 정상
4점 이상: 불안장애, 전문가상담 필요
추천자료
지역사회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사회복지학]정신보건복지론-마음을 앓는 사람들 독후감
나의꿈 실천계획안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나의 롤 모델과 단체
[정신보건사회복지론A+]뻐꾸기 둥지위로 날아간 새 영화 속에 나타난 인권침해
[정신보건사회복지론] 9장 정신사회재활 요약
정신보건서비스 영역에서 정신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의료사회사업과 정신보건사회복지
생태체계이론과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에 대해 기술.
정신보건사회복지 장애 분류
정신보건사회복지-심리사회적사정 양식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요약보고서] 02부. 정신장애의 이해 (정신의학의 역사, 정신분열병, 기...
정신보건사회복지론 - 도박중독에 대해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업무와 역할 [정신보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