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7차 교육과정의 개정
7차 교육과정의 특징
7차 교육과정의 패러다임
7차 교육과정의 의미
7차 교육과정에서 파생되는 문제점

본문내용


학습자의 수준을 측정하여 심화, 보충하기 위한 평가로 쓰이기보다는, 학습의 재 이수자가 나오지 않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전수 평가가 도입되어 학생, 학교, 지역간의 서열과가 현실화되었다.
문제지 시장의 전면적 부활과 사교육의 재 시작을 부추기는데 일조하게 되었다.
3. 결론
제 7차 교육과정은 책임감 있는 자율적인 교육과 학습을 중시한다는 원칙 아래, 교육을 수혜 받는 사람들의 능력을 핑계로 차별적 교육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방법의 하나가 바로 수준별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사교육과 공교육의 차이보다 더 심각한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는 문제이다. 원래의 취지는 학생의 능력과 관심 등에 따라 차별적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 내용과 방법의 다양성을 제고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의 경우 창의적 학교 재량 시간이 있기는 하지만,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선택 교과도 없고 또 재량으로 교과를 신설할 수 있는 권한도 없다. 그러므로 수준별 교육과정은 오로지 학생의 능력에 따라 결정이 될 수밖에 없다. 그것이 교과의 교육과정이 단계형 이던 혹은 심화 보충형이던 관계없이 아동의 능력 특히 학습 능력에 따라 결정이 된다. 이런 종료의 수준별 교육과정은 결국 준마에 채찍질하여 준마는 더욱 잘 달리게 만드는 것이 된다.
그런데 어떤 과정에 있던 동질적인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개인간의 ‘다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차별’이 된다. 그 차별은 결국 나중에 어떤 노동 시장에 학생이 편입되게 되는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결국 차이는 어떤 것으로도 좁힐 수 없는 것이 되며, 의식에서 도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 결국 수준별 교육과정은 우리 사회에서 팽배해 있는 차별을 정당화시켜주는 강력한 방편이 될 수 있다. 이런 지경에 사교육의 정당화는 교육 질의 격차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 것이며, 결국에는 학교 교육의 무용론과 맥을 같이 할 수 있다.
결국 수준별 교육과정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다양성을 보장함으로써 교육 질의 차별적 공급을 정당화하여 창의력과 융통성 있는 사고력을 지닌 소수의 사람을 생산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신자유주의에서 추구하는 노동력의 유연화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물론 대다수의 사람들의 희생 속에서 가능해지며, 이 이데올로기의 정당화를 전파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키워드

7차,   문제,   교육 과정,   교육 평가,   교직,   조사,   분석,   견해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8.2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