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인식의 전환과 삶의 여유
3. 우리들은 스스로 신이 되길 원하는가?
4. 현대와 현대인에 대한 문명비판서
5. 맺음말
2. 인식의 전환과 삶의 여유
3. 우리들은 스스로 신이 되길 원하는가?
4. 현대와 현대인에 대한 문명비판서
5. 맺음말
본문내용
져 온다.
번역의 내용이 원전의 내용을 100%는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전달하고 있는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일부나마 전달받으면서 우리들의 삶의 모습이 최상의 모습인지 되돌아보게 한다. 서양의 문물, 서양의 문화가 최고라고 교육받고 전달해 온 우리들의 삶을 미개하다고 치부되어 왔던 원주민 추장의 시각과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아둔함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는 기회를 갖게 한다.
5. 맺음말
책은 읽을 때마다 느끼는 감정이 다르다고 했던가. 지난번에는 빠빠라기의 언어와 생각과 우리가 가지는 사물의 개념의 차이를 보면서 다른 세계와의 만남으로 많이 봤다. 하지만 이번에는 좀더 익숙한 언어들...
빠빠라기라는 책 속에는 현대 문명을 바라보는 남태평양 추장의 선명한 눈빛이 들어있다. 우리가 문명이라고 자랑스러워하며 즐거워하는 것들을 투이아비 추장은 한낱 거추장스럽고 쓸모 없는 것으로 밖에 보지 않는다. 문명에 자부심을 갖고 즐거워하는 빠빠라기들의 모습 속의 진실을 추장은 정확히 뚫어보고 있다. 순수하고 놀라운 그 이야기는 우리가 문명이라는 보이지 않고 쓸모 없는 옷을 걸친 벌거벗은 임금님이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그래서 좀더 문명 비판적으로 더 볼 수 있었다. 우리가 소중하다고 느끼는 가치가 다른 세계, 투이아비 추장에게는 가치가 없어보였을 것이다.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 돈과 물질이 추장에게는 큰 가치가 아니었을 것이다. 문화상대주의를 떠나 이 책은 과연 인생에서 인생의 즐거움과 여유 없이 시간에 쫓기며 좀더 더 소비하고 소유하고 돈을 벌기 위해 반복되는 직업을 가지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생각해볼 시간을 준다.
번역의 내용이 원전의 내용을 100%는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전달하고 있는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일부나마 전달받으면서 우리들의 삶의 모습이 최상의 모습인지 되돌아보게 한다. 서양의 문물, 서양의 문화가 최고라고 교육받고 전달해 온 우리들의 삶을 미개하다고 치부되어 왔던 원주민 추장의 시각과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아둔함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는 기회를 갖게 한다.
5. 맺음말
책은 읽을 때마다 느끼는 감정이 다르다고 했던가. 지난번에는 빠빠라기의 언어와 생각과 우리가 가지는 사물의 개념의 차이를 보면서 다른 세계와의 만남으로 많이 봤다. 하지만 이번에는 좀더 익숙한 언어들...
빠빠라기라는 책 속에는 현대 문명을 바라보는 남태평양 추장의 선명한 눈빛이 들어있다. 우리가 문명이라고 자랑스러워하며 즐거워하는 것들을 투이아비 추장은 한낱 거추장스럽고 쓸모 없는 것으로 밖에 보지 않는다. 문명에 자부심을 갖고 즐거워하는 빠빠라기들의 모습 속의 진실을 추장은 정확히 뚫어보고 있다. 순수하고 놀라운 그 이야기는 우리가 문명이라는 보이지 않고 쓸모 없는 옷을 걸친 벌거벗은 임금님이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그래서 좀더 문명 비판적으로 더 볼 수 있었다. 우리가 소중하다고 느끼는 가치가 다른 세계, 투이아비 추장에게는 가치가 없어보였을 것이다.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 돈과 물질이 추장에게는 큰 가치가 아니었을 것이다. 문화상대주의를 떠나 이 책은 과연 인생에서 인생의 즐거움과 여유 없이 시간에 쫓기며 좀더 더 소비하고 소유하고 돈을 벌기 위해 반복되는 직업을 가지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생각해볼 시간을 준다.
추천자료
문화와 종교에 관한 책읽고 쓰신 감상문 구합니다
[감상문]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독서 감상문] 신국원의 문화 이야기
[독후감/감상문/서평]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세계문화의 이해를 읽고 나서 요약정리 및 감상문
일본 문화에 대하여 나의 소감 및 감상문 과 느낀점 총체적 조사분석
일본인과 일본문화 줄거리 분석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소감
리차드 니버의 그리스도 문화 감상문
[독서감상문,독후감] 대중문화의 겉과속 _ 강중만 저
한국 민속과 전통문화 감상문 리포트 - 뮤지컬 『서편제 (西便制)』 (판소리)
[독서 감상문] 대중문화의 겉과 속
대중 문화의 겉과 속 3권 독서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