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프랑스영화의 역사
Ⅲ. 프랑스영화의 현황
Ⅳ. 프랑스영화의 시장 점유율
Ⅴ. 프랑스영화산업의 지원정책
참고문헌
Ⅱ. 프랑스영화의 역사
Ⅲ. 프랑스영화의 현황
Ⅳ. 프랑스영화의 시장 점유율
Ⅴ. 프랑스영화산업의 지원정책
참고문헌
본문내용
969년 영화인들과 CNC에 의해 창설된 비영리 기구로서 신인 감독의 발굴을 위해 그들의 첫 영화 혹은 연구 영화의 제작을 지원한다. 필름과 비디오 등의 매체와 픽션,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의 장르를 불문하고 저예산으로 5~15분 가량의 영화를 자유롭게 만들어 볼 것을 장려하는데 1년에 약 20편의 작품이 이 기구의 지원 덕분으로 만들어진다. 1999년 편당 지원금은 최고 7만 프랑이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휴 영화 장비회사의 기자재 대여까지 지원하고 특히 국립영화학교(FEMIS)의 후반 작업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입후보자는 제작자가 없는 감독 희망자여야 하며 어떤 여타 지원도 받지 않은 상태여야 한다. 1년에 약 400편 넘게 들어오는 지원 신청 서류를 각 6명으로 구성된 4개의 분과위원회가 1년에 4회에 걸쳐 심사하는데 심사에서 선정된 후보자는 GREC이 보내주는 할인 예산 항목명세서를 보고 자신이 필요한 기자재와 기타 항목들을 작성하여 필요한 예산을 산출해 낸다. 이를 바탕으로 지원금액과 지불 양식, 초벌 프린트 배달 시기, 배급과 판매 방식 등을 명기하고 기본적으로 감독과 GREC 사이에서 50/50의 권리 배분을 공식으로 한 계약서가 작성된다. 영상, 사운드 필름의 청구서는 직접 GREC의 명의로 신청되고 현상소, 공중등기소 (RPCA) 등록, 촬영 시의 의무사항인 민간 책임 보험 비용을 GREC이 직접 지불한다. 기타 제작비는 촬영 개시 15일 전 감독과의 계약서 서명시에 지급되고 모든 지출은 차후 증빙서류를 갖추어 보고되어야 한다. GREC은 제작자가 없는 신인 감독을 지탱하며 제작 단계마다 최대한의 협조를 베풀어 진정한 교육적 아틀리에의 구실을 해내고 있으며, 그룹 창설 이래 이 지원을 통해 만들어진 첫 작품은 600편이 넘는다. GREC이 CNC로부터 지원 받는 예산은 290만 프랑이었다.
참고문헌
1. 강현국(1997). 프랑스영화. 우리시대 마지막 사랑의 詩. 서울:시와 반시사.
2. 안병섭(1980). 누벨바그의 硏究:그 背景과 작家를 中心으로. 서울:중앙대학교.
3. 안병섭(1981). 누벨바그의 연구: 그 배경 작가를 중심으로. 서울:중앙대학교.
4. 이창순(2002). 송기형 외. 프랑스 연극과 영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5. 이창순(2002). 프랑스 문화의 이해. 서울:학문사.
6. 조병옥(1998). 프랑스 문화와 문화 정책. 공주대학교 출판부.
입후보자는 제작자가 없는 감독 희망자여야 하며 어떤 여타 지원도 받지 않은 상태여야 한다. 1년에 약 400편 넘게 들어오는 지원 신청 서류를 각 6명으로 구성된 4개의 분과위원회가 1년에 4회에 걸쳐 심사하는데 심사에서 선정된 후보자는 GREC이 보내주는 할인 예산 항목명세서를 보고 자신이 필요한 기자재와 기타 항목들을 작성하여 필요한 예산을 산출해 낸다. 이를 바탕으로 지원금액과 지불 양식, 초벌 프린트 배달 시기, 배급과 판매 방식 등을 명기하고 기본적으로 감독과 GREC 사이에서 50/50의 권리 배분을 공식으로 한 계약서가 작성된다. 영상, 사운드 필름의 청구서는 직접 GREC의 명의로 신청되고 현상소, 공중등기소 (RPCA) 등록, 촬영 시의 의무사항인 민간 책임 보험 비용을 GREC이 직접 지불한다. 기타 제작비는 촬영 개시 15일 전 감독과의 계약서 서명시에 지급되고 모든 지출은 차후 증빙서류를 갖추어 보고되어야 한다. GREC은 제작자가 없는 신인 감독을 지탱하며 제작 단계마다 최대한의 협조를 베풀어 진정한 교육적 아틀리에의 구실을 해내고 있으며, 그룹 창설 이래 이 지원을 통해 만들어진 첫 작품은 600편이 넘는다. GREC이 CNC로부터 지원 받는 예산은 290만 프랑이었다.
참고문헌
1. 강현국(1997). 프랑스영화. 우리시대 마지막 사랑의 詩. 서울:시와 반시사.
2. 안병섭(1980). 누벨바그의 硏究:그 背景과 작家를 中心으로. 서울:중앙대학교.
3. 안병섭(1981). 누벨바그의 연구: 그 배경 작가를 중심으로. 서울:중앙대학교.
4. 이창순(2002). 송기형 외. 프랑스 연극과 영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5. 이창순(2002). 프랑스 문화의 이해. 서울:학문사.
6. 조병옥(1998). 프랑스 문화와 문화 정책. 공주대학교 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