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 작자소개
2. 작품의 줄거리
3. 작품의 성격
마무리
1. 작자소개
2. 작품의 줄거리
3. 작품의 성격
마무리
본문내용
각한국학연구원(한국문화), 1993. 4p
, 소설속의 여성들을 문자 그대로 곧이 곧대로 해석하기보다는 그가 여기서 이야기하는 여성을 ‘일정 불변의 인륜’을 상징화한 것이라는 것이라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데, 스스로도 그 의견에 찬성한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칠언고시인 ‘’독반첩여매비고사감이부지‘에서 군신의 정이나 남녀의 정이나 다 같이 이륜, 즉 일정 불변의 인륜에서 나왔음을 이야기하기도 하였기에. 위의 책, 9p
그렇게 해석해야 바른 이해일 것이다. 그런데 어치해서 구지 그 상징이 여성의 모습으로 구현되어졌느냐고 한다면 그것은 그의 삶 대부분의 차지하고 있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그렇게 되어진 것이라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식으로 생각해 보자면, 그가 자신의 소설 ’구운몽‘에서 그려낸 8명의 여성과의 관계는 유교적인 세계에서의 여러 가치들을 얻음을 이야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실제로 극중에서, 주인공 양소유는 자신과 관계를 가진 여성들을 내치지 않고 모두 데리고 살고, 그들 모두가 서로 다투지 아니하고 서로 화목하게 지내는 것에서 이러한 관계들이 모두 상징적인 표현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모든 것을 쥐고 있다고 해도, 결국 이와 같은 것은 허망해지고 언젠가는 스러질 것이라는 것을 두 번의 유배를 통하여서 느꼈던 것이리라. 그래서, 스스로 이러한 유교적이고 세속적인 것을 벗어나 보다 초월적인 경지로 나아가고 싶다는 것을 어머니에게 간접적으로 이야기해본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마무리
어찌 보자면 이 작품 ‘구운몽’은 그의 극과 극을 달리는, 그리고 불행하게 끝나고 만 그의 인생 속에서 느낀 허무감과 회한을 표현해 낸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그 표현히 심히 상징적이고 우회적으로 묘사된 탓에 세간에는 단지 여러 명의 여성과 관계를 맺는 호색적인 주인공이 등장하는 불교적인 주제의 몽환소설로써만 인식되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만, 작품을 이해할 때에 단지 작품만을 보고 논하기보다는 그 작품을 쓴 작가 또한 같이 논하여야 비로소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인터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www.encykorea.com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
eyetalker, 프랑스 고교철학 I. (인간학, 철학, 형이상학중, 제6장. 죽음), http://blog.daum.net/eyetalker/11141363
도베르만, ‘남가일몽’, 2007.3.11, http://blog.naver.com/honor730618?Redirect=Log&logNo=10015084317
고서
국악연려기술
조선왕조실록
서포집
서적
박성의, ‘한국고대소설사’, 일신사, 1964
현창하, ‘구운몽연구’, 현대문학, 1962
김병국 옮김, ‘현대역 구운몽’,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1
김병국,‘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 대학교 출판부, 2001
설성경, ‘구운몽 연구’, 국학자료원, 1999
김진규, ‘문효공휘만중행장'
김병국/최재남/정운채 역주, ‘서포연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논문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시세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문화), 1993.
남기택, ‘「구운몽」의 판타지적 욕망’, 한국비평문학회, 2006
사재동, ‘한국사상(문학) : 서포(西浦) 김만중의 문화사적 위상’, 한국사상문화학회
강상순, ‘[특집/『구운몽』] 『구운몽』의 형식과 주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
, 소설속의 여성들을 문자 그대로 곧이 곧대로 해석하기보다는 그가 여기서 이야기하는 여성을 ‘일정 불변의 인륜’을 상징화한 것이라는 것이라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데, 스스로도 그 의견에 찬성한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칠언고시인 ‘’독반첩여매비고사감이부지‘에서 군신의 정이나 남녀의 정이나 다 같이 이륜, 즉 일정 불변의 인륜에서 나왔음을 이야기하기도 하였기에. 위의 책, 9p
그렇게 해석해야 바른 이해일 것이다. 그런데 어치해서 구지 그 상징이 여성의 모습으로 구현되어졌느냐고 한다면 그것은 그의 삶 대부분의 차지하고 있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그렇게 되어진 것이라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식으로 생각해 보자면, 그가 자신의 소설 ’구운몽‘에서 그려낸 8명의 여성과의 관계는 유교적인 세계에서의 여러 가치들을 얻음을 이야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실제로 극중에서, 주인공 양소유는 자신과 관계를 가진 여성들을 내치지 않고 모두 데리고 살고, 그들 모두가 서로 다투지 아니하고 서로 화목하게 지내는 것에서 이러한 관계들이 모두 상징적인 표현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모든 것을 쥐고 있다고 해도, 결국 이와 같은 것은 허망해지고 언젠가는 스러질 것이라는 것을 두 번의 유배를 통하여서 느꼈던 것이리라. 그래서, 스스로 이러한 유교적이고 세속적인 것을 벗어나 보다 초월적인 경지로 나아가고 싶다는 것을 어머니에게 간접적으로 이야기해본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마무리
어찌 보자면 이 작품 ‘구운몽’은 그의 극과 극을 달리는, 그리고 불행하게 끝나고 만 그의 인생 속에서 느낀 허무감과 회한을 표현해 낸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그 표현히 심히 상징적이고 우회적으로 묘사된 탓에 세간에는 단지 여러 명의 여성과 관계를 맺는 호색적인 주인공이 등장하는 불교적인 주제의 몽환소설로써만 인식되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만, 작품을 이해할 때에 단지 작품만을 보고 논하기보다는 그 작품을 쓴 작가 또한 같이 논하여야 비로소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인터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www.encykorea.com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
eyetalker, 프랑스 고교철학 I. (인간학, 철학, 형이상학중, 제6장. 죽음), http://blog.daum.net/eyetalker/11141363
도베르만, ‘남가일몽’, 2007.3.11, http://blog.naver.com/honor730618?Redirect=Log&logNo=10015084317
고서
국악연려기술
조선왕조실록
서포집
서적
박성의, ‘한국고대소설사’, 일신사, 1964
현창하, ‘구운몽연구’, 현대문학, 1962
김병국 옮김, ‘현대역 구운몽’,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1
김병국,‘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 대학교 출판부, 2001
설성경, ‘구운몽 연구’, 국학자료원, 1999
김진규, ‘문효공휘만중행장'
김병국/최재남/정운채 역주, ‘서포연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논문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시세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문화), 1993.
남기택, ‘「구운몽」의 판타지적 욕망’, 한국비평문학회, 2006
사재동, ‘한국사상(문학) : 서포(西浦) 김만중의 문화사적 위상’, 한국사상문화학회
강상순, ‘[특집/『구운몽』] 『구운몽』의 형식과 주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