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선 치료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약물>
① 팔로델 (Bromocriptine )
팔로델은 스위스 노바티스사가 개발한 Prolactin관련 치료제이다.
팔로델은 시상하부의 prolactin 분비억제인자를 활성화시켜 과도하게 상승된 혈중 prolactin 농도를 정상수준으로 저하시키므로 유루증, 무월경, 월경이상, 불임증, 월경곤란증, 남성의 성기능부진 등을 원인적으로 치료해 준다.
효능, 효과
- 유즙 분비의 예방 및 억제
- 고프로락틴혈증에 기인하는 남성, 여성의 성선기능저하증 및 유루증
- 불임증
- 주기적인 양성유방질환 및 주기적인 유방통
- 월경불순의 여러 증상(특히, 유방에 나타나는 증상), 월경직전의 두통, 기분변화 및 부종 등과 같은 증상의 완화
- 말단 비대증 환자 치료시 수술 또는 방사선 요법과 병행하여 혈중 성장호르몬 저하 목적
- 파킨슨병
② 산도스타틴 (octreotide 0.1mg/ml)
효과, 효능 : 말단비대증, 위.장.췌장계 내분비성 종양의 증상경감
용법, 용량 : 초기 0.05mg 씩 1일 1~2회 피하주사, 임상반응에 따라 1회 0.2 mg 씩 1일 3회 까지 점증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검사>
(1) 성장호르몬 방사성 면역분석법
혈청내 성장호르몬의 과잉이나 부족상태가 의심될 때 시행하는 검사이다. 혈청 GH는 뇌하수체의 기능을 사정하기 위해 측정 GH의 정상치는 3ng/ml이하 이거나 측정되지 않을수 있으므로 GH치가 상승하는 이른 아침에 검사물을 채취하여야 한다. 혈청 GH RIA검사를 취해서는 8시간 전부터 금식하고 운동으로 GH의 상승을 피하기 위해 채혈30분 전 반드시 안정을 취한다.
(2) 방사선 검사
뇌하수체 기능부전은 뇌하수체 종양과 관련이 있고, 그 크기를 사정하기 위해 두부 촬영을 한다. 그 크기를 사정하기 위해 두부 촬영함. 터어키 안의 종양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과 자기공명영상술(MRI)을 실시한다. 뇌종양을 더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시야 검사를 포함하여 완전한 신경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3) 성장호르몬 억제검사법
GH억제검사법은 말단비대증이나 거인증이 의심될 때 시행하는데 혈관내 포도당을 주입하면 혈청내 성장 호르몬의 농도는 감소한다 검사를 위해 자정부터 금식하고 침상 안정을 취한다. 기본적인 GH치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GH치를 측정한 후 구강으로 포도당 100g을 투여하고 60분 후 혈청 GH치를 다시 측정함한다.
5) 뇌하수체 기능저하증(hypopotuitarism)
정의 :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hypopotuitarism)이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결핍으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증상 : 피곤하고 무력감을 느낀다. 추위를 타며 흥미가 떨어지고, 체중감소, 복통, 저혈압, 두통, 시력장애, 불임, 성적흥미가 떨어지는 증상이 있다.
원인 : 뇌하수체의 성장호르몬, 생식선 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갑상선 자극호르몬, 젖분비 호르몬, 자궁수축 호르몬들이 뇌의 외상, 선천적 기형, 암, 방사선, 수술, 질병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생긴다.
치료 : 종양에 의한 것은 제거하고, 부족한 호르몬을 공급해 주는 치료법이 있다. 비교적 장기적 치료를 해야 한다.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약물>
① Prednisone (Deltasone) → 부신피질호르몬제
용법, 용량 - 구강(5mg/정) 성인 : 상용량 5∼250mg을 1일 1∼4회 소아 : 35∼500㎍/kg씩 1일 4회
금기 : 전신적 진균 감염증
주의사항
-장기 사용할 때 백내장, 녹내장, 진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2차 안과 감염증이 생길 수 있다.
- 임신중의 사용은 치료의 유익성이 우위일 때 사용한다.
-결핵환자의 사용은 활동성으로 격렬하게 진행중이거나 전염성 결핵치료에 한정된다.
-비특이성 궤양성대장염, 농양, 화농성 질환, 활성 또는 잠재성 위궤양, 신기능부전, 고혈 압, 골다공증, 중증근무력증 환자는 주의한다.
② Levothyroxine (신지로이드) →T4제제(갑상선호르몬제)
초기용량 : Levothyroxine 50ug/day(synthyroid 1/2T)qd daily (젊거나 다른 질환이 없는 경우 처음부터 유지용량(full dosage)을 투여하여도 무방하다)
추적검사 : 4~6주 후에 T4, TSH 추적검사후 TSH 농도에 따라 25ug씩 증량
반감기 : 정상인에서는 6일이고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는 8~11일이므로 하루 1회 투여로 충분하며, 투여한 T4가 혈중에서 평형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약 4~6주가 걸린다.
요구량 : 정상적인 갑상선에서는 T4생산량이 1일 80~100ug이다. 그리고 T4 제제를 경구투여하였을 때 (특히 소장)에서 투여량의 75~85% 정도 흡수된다. 따라서 T4의 필요량(유지용량)은 1일 100~125ug정도 되며 이는 1.6~1.8ug/kg에 해당된다.
유지용량 : Levothyroxine 100~150ug/day(synthyroid 1T) qd daily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검사>
(1) 인슐린 내인검사(성장호르몬 자극검사)
성장호르몬 자극검사로 성장호르몬 유즙분비 호르몬(prolactin)의 결핍이나 부신 시상하부 뇌하수체전엽의 연쇄관계 부전을 검사한다.인슐린으로 인한 저혈당증은 cortisol, prolactin, GH 분비를 자극하므로 인슐린을 투여한후 이런 호르몬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검사하며 인슐린 glucagon, tobutamide, vasopressin, L-dopa외에 등의 자극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응을 최대화하기 위해 다른 물질들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방사선 검사
뇌하수체 기능부전은 뇌하수체 종양과 관련이 있고, 그 크기를 사정하기 위해 두부 촬영을 한다. 그 크기를 사정하기 위해 두부 촬영함. 터어키 안의 종양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과 자기공명영상술(MRI)을 실시한다. 뇌종양을 더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시야 검사를 포함하여 완전한 신경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약물>
① 팔로델 (Bromocriptine )
팔로델은 스위스 노바티스사가 개발한 Prolactin관련 치료제이다.
팔로델은 시상하부의 prolactin 분비억제인자를 활성화시켜 과도하게 상승된 혈중 prolactin 농도를 정상수준으로 저하시키므로 유루증, 무월경, 월경이상, 불임증, 월경곤란증, 남성의 성기능부진 등을 원인적으로 치료해 준다.
효능, 효과
- 유즙 분비의 예방 및 억제
- 고프로락틴혈증에 기인하는 남성, 여성의 성선기능저하증 및 유루증
- 불임증
- 주기적인 양성유방질환 및 주기적인 유방통
- 월경불순의 여러 증상(특히, 유방에 나타나는 증상), 월경직전의 두통, 기분변화 및 부종 등과 같은 증상의 완화
- 말단 비대증 환자 치료시 수술 또는 방사선 요법과 병행하여 혈중 성장호르몬 저하 목적
- 파킨슨병
② 산도스타틴 (octreotide 0.1mg/ml)
효과, 효능 : 말단비대증, 위.장.췌장계 내분비성 종양의 증상경감
용법, 용량 : 초기 0.05mg 씩 1일 1~2회 피하주사, 임상반응에 따라 1회 0.2 mg 씩 1일 3회 까지 점증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검사>
(1) 성장호르몬 방사성 면역분석법
혈청내 성장호르몬의 과잉이나 부족상태가 의심될 때 시행하는 검사이다. 혈청 GH는 뇌하수체의 기능을 사정하기 위해 측정 GH의 정상치는 3ng/ml이하 이거나 측정되지 않을수 있으므로 GH치가 상승하는 이른 아침에 검사물을 채취하여야 한다. 혈청 GH RIA검사를 취해서는 8시간 전부터 금식하고 운동으로 GH의 상승을 피하기 위해 채혈30분 전 반드시 안정을 취한다.
(2) 방사선 검사
뇌하수체 기능부전은 뇌하수체 종양과 관련이 있고, 그 크기를 사정하기 위해 두부 촬영을 한다. 그 크기를 사정하기 위해 두부 촬영함. 터어키 안의 종양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과 자기공명영상술(MRI)을 실시한다. 뇌종양을 더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시야 검사를 포함하여 완전한 신경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3) 성장호르몬 억제검사법
GH억제검사법은 말단비대증이나 거인증이 의심될 때 시행하는데 혈관내 포도당을 주입하면 혈청내 성장 호르몬의 농도는 감소한다 검사를 위해 자정부터 금식하고 침상 안정을 취한다. 기본적인 GH치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GH치를 측정한 후 구강으로 포도당 100g을 투여하고 60분 후 혈청 GH치를 다시 측정함한다.
5) 뇌하수체 기능저하증(hypopotuitarism)
정의 :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hypopotuitarism)이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결핍으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증상 : 피곤하고 무력감을 느낀다. 추위를 타며 흥미가 떨어지고, 체중감소, 복통, 저혈압, 두통, 시력장애, 불임, 성적흥미가 떨어지는 증상이 있다.
원인 : 뇌하수체의 성장호르몬, 생식선 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갑상선 자극호르몬, 젖분비 호르몬, 자궁수축 호르몬들이 뇌의 외상, 선천적 기형, 암, 방사선, 수술, 질병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생긴다.
치료 : 종양에 의한 것은 제거하고, 부족한 호르몬을 공급해 주는 치료법이 있다. 비교적 장기적 치료를 해야 한다.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약물>
① Prednisone (Deltasone) → 부신피질호르몬제
용법, 용량 - 구강(5mg/정) 성인 : 상용량 5∼250mg을 1일 1∼4회 소아 : 35∼500㎍/kg씩 1일 4회
금기 : 전신적 진균 감염증
주의사항
-장기 사용할 때 백내장, 녹내장, 진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2차 안과 감염증이 생길 수 있다.
- 임신중의 사용은 치료의 유익성이 우위일 때 사용한다.
-결핵환자의 사용은 활동성으로 격렬하게 진행중이거나 전염성 결핵치료에 한정된다.
-비특이성 궤양성대장염, 농양, 화농성 질환, 활성 또는 잠재성 위궤양, 신기능부전, 고혈 압, 골다공증, 중증근무력증 환자는 주의한다.
② Levothyroxine (신지로이드) →T4제제(갑상선호르몬제)
초기용량 : Levothyroxine 50ug/day(synthyroid 1/2T)qd daily (젊거나 다른 질환이 없는 경우 처음부터 유지용량(full dosage)을 투여하여도 무방하다)
추적검사 : 4~6주 후에 T4, TSH 추적검사후 TSH 농도에 따라 25ug씩 증량
반감기 : 정상인에서는 6일이고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는 8~11일이므로 하루 1회 투여로 충분하며, 투여한 T4가 혈중에서 평형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약 4~6주가 걸린다.
요구량 : 정상적인 갑상선에서는 T4생산량이 1일 80~100ug이다. 그리고 T4 제제를 경구투여하였을 때 (특히 소장)에서 투여량의 75~85% 정도 흡수된다. 따라서 T4의 필요량(유지용량)은 1일 100~125ug정도 되며 이는 1.6~1.8ug/kg에 해당된다.
유지용량 : Levothyroxine 100~150ug/day(synthyroid 1T) qd daily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검사>
(1) 인슐린 내인검사(성장호르몬 자극검사)
성장호르몬 자극검사로 성장호르몬 유즙분비 호르몬(prolactin)의 결핍이나 부신 시상하부 뇌하수체전엽의 연쇄관계 부전을 검사한다.인슐린으로 인한 저혈당증은 cortisol, prolactin, GH 분비를 자극하므로 인슐린을 투여한후 이런 호르몬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검사하며 인슐린 glucagon, tobutamide, vasopressin, L-dopa외에 등의 자극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응을 최대화하기 위해 다른 물질들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방사선 검사
뇌하수체 기능부전은 뇌하수체 종양과 관련이 있고, 그 크기를 사정하기 위해 두부 촬영을 한다. 그 크기를 사정하기 위해 두부 촬영함. 터어키 안의 종양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과 자기공명영상술(MRI)을 실시한다. 뇌종양을 더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시야 검사를 포함하여 완전한 신경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추천자료
내분비계의 노화 특징과 질환 및 당뇨병
[성인병]성인병의 특성과 성인병의 발병 원인 및 성인병 예시1(고지혈증), 성인병 예시2(자궁...
[성기능장애][재활중재][흡연][성기능장애 사례][운동요법][성기능장애 예방법]성기능장애의 ...
[의료사회사업론] 질병(당뇨병)과 기관방문
[케이스스터디]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천식, 당뇨병 케이스...
안호배 Package part 2. 당뇨병. Blood Sugar Test. 인슐린 (BST 혈당검사)
간호,성인 간호학, case study, 당뇨병
[생활과 건강] 1)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2)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생활과건강] 1)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2) 제2형 당뇨병 환자를 ...
[2017년 생활과건강]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당뇨합병증 급성 만성...
생활과건강 2017년>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생활과건강4공통 제2형 ...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장점 단점) 비교 설명, 영양지원방법 ...
[성인간호학 공통] 1 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각각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