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경제사 핵심정리 서브노트
1. 경제사의 인식방법
2. 원시시대의 경제와 사회
(1) 경제생활
(2) 사회조직
(3) Morgan의 발전구분
(4) 원시시대(원시공동체)
3. 고대 동양사회의 경제 특성
(1) 문화적 특질
(2) 논쟁
(3) 사회경제적 성격
4. 희랍시대의 경제적 성격
(1) 도시국가의 형성
(2) 경제적 성격
5. 로마시대의 경제 특성
(1) 로마의 국가형성
(2) 외정의 사회경제적 영향
(3) 제정기 로마경제의 성격
6. 중세사회의 성립과 봉건제
(1) 봉건제의 성립
(2) 장원제의 성립
7. 장원의 구조
(1) 장원의 존재형태
(2) 장원의 구조
(3) 농업제도
(4) 농촌의 외연적 확대
1. 경제사의 인식방법
2. 원시시대의 경제와 사회
(1) 경제생활
(2) 사회조직
(3) Morgan의 발전구분
(4) 원시시대(원시공동체)
3. 고대 동양사회의 경제 특성
(1) 문화적 특질
(2) 논쟁
(3) 사회경제적 성격
4. 희랍시대의 경제적 성격
(1) 도시국가의 형성
(2) 경제적 성격
5. 로마시대의 경제 특성
(1) 로마의 국가형성
(2) 외정의 사회경제적 영향
(3) 제정기 로마경제의 성격
6. 중세사회의 성립과 봉건제
(1) 봉건제의 성립
(2) 장원제의 성립
7. 장원의 구조
(1) 장원의 존재형태
(2) 장원의 구조
(3) 농업제도
(4) 농촌의 외연적 확대
본문내용
소작인에게 분할 대여되어 콜로나투스제로 변질되었다.
6. 중세사회의 성립과 봉건제
(1) 봉건제의 성립
① 봉건제의 개념
- 법제적 정치적 개념으로서 봉건제는 주종제와 은대제와의 결합에 의해 성립된 통일적 제도로 인식
가신이 주군에 대해서 충성의 서약에 의한 복종과 봉사, 특히 군사적 봉사의 의무를 지는 반면에 주군은 가신에 대해 보호와 부양의 의무를 지는 제관계를 내용으로 하고있다. 토지재산을 봉으로서 부여. 불수불입의 특권을 가지게 된다.
물적 관계의 결합으로서의 봉건제는 바로 렌제이다.
- 사회적 측면을 중시하여 봉건제를 일정한 사회유형으로 인식하는 입장
곧 피라밋형 사회계층제의 특징을 지닌다. 주군과 신하와의 주종관계는 신분적인 자유를 기초로 한 명예로운 관계인데 비해 영주-농민관계는 신분적 지배, 예속의 관계이다.
- 사회 경제적 관점으로 봉건제의 본질을 농노제 또는 영주-농민관계에서 인식하는 입장
- 둘째의 개념은 첫 번째 개념을 포함한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포괄적 개념. 봉건사회의 상부구조로서 정치적 사회적 구조를 의미
셋째의 개념은 봉건사회의 하부구조로서 경제구조를 의미
② 봉건사회의 특질과 경제윤리
- 하부구조는 생산관계로서 그 속에서의 영주-농민관계는 신분적인 지배, 예속관계임과 동시에 경제적인 계급관계. 자유촌락공동체는 영주의 지배체제에 편입됨으로써 종속촌락공동체로 성격적인 전환을 하였다.
-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바탕 : 공정가격이 요구. 개인의 영리추구는 배타적. 판매인의 관습적 지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가격(공정가격)이며, 영리목적의 가격은 부당한 가격이었다.
- 봉건사회를 안정적,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깨뜨릴 수 있을 요소를 배제한다는 시대적 요구. 봉건사회의 경제윤리는 사회질서의 고정화, 안정화를 지양한 가치기준으로서의 전통주의였다.
③ 봉건제의 성립과정
- 지역에 따라 시대를 달리하여 나타났다. 유럽의 봉건제는 8c 후반~ 9c 초기에 나타난 프랑크왕국에서 성립하여 13세기에 각국에서 가장 발달하고 그 후 점차적으로 해체
- 기원 : 古게르만의 종사제는 게르만의 독특한 귀족주의와 결합된 자유민 상호간의 충성을 서약을 통해서 이룩된 인적 결합체(주종제) + 로마의 프레카리움(은대제) ⇒ 봉건제
- 프랑스에서는 전형적인 분권적 봉건제가 성립(영주의 지위 강화)
독일에서는 중간적
영국에서는 왕권 중심
(2) 장원제의 성립
① 장원의 의의
- 장원제는 유럽봉건제의 경제적 기초. 장원은 영토의 농민에 대한 지배영역. 영주에 의해 통할 지배되는 기구를 가진 구체적인 소영 (매너;manor)를 가르킴.
- 장원은 영주권의 지배하에 있는 대토지이며 구체적으로는 촌락이므로 영주의 장원지배, 즉 영주권은 장원토지에 대한 경제적 지배 (토지영주권으로서 봉건적 토지소유에 기인하는 토지의 급부와 봉건지대의 수취관계)와 장원의 농민에 대한 경제외적 지배(영주의 농민에 대한 인신지배권)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② 장원제의 성립
- 장원의 로마기원설 : 제정로마 말기에 라티푼디움이 그 주요노동력인 노예의 공급부족으로 말미암아 노예에게 분할 대여됨으로써 노예가 농노로 전환되고 자유로운 소토지 소유농민이 토지에 계박되어 농노로 전락함으로써 장원생성
- 게르만기원설 : 민족이동이후 많은 게르만의 자유민(=전사)들이 토지를 상실하고 영주의 세력하에 흡수되어 농노화 하고 그것이 농노로 상승한 노예 등과 함께 중세의 농노가 형성, 봉건제가 보급됨에 따라 자유농민의 예속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성직자와 세속귀족이 지배하는 대장원이 성립
- 고대 게르만 기원 : 古게르만시대부터 이미 토지소유의 불평등이 존재하여 장원제가 사실상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
7. 장원의 구조
(1) 장원의 존재형태
- 고전학설 : 1개내지 몇 개의 촌락을 일원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고 주장.
비판 : 고전장원제가 카로링시대에 배타적으로 지배적이었던 것이 아닌 고대장원이 아닌 장원도 다수 존재하고 있었으며, 왕영지를 비롯 성, 세귀족의 어느 소영에도 통일적인 중앙 집중적 관리기구는 존재하지 않았고, 장원은 일원적으로 통합되어 있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분산 소유되어 동일 촌락에 몇몇 장원영주의 토지가 착종되어 있었다는 것
- 장원의 형태 : 촌락토지가 그에 속하고 있는 단일장원의 형태, 장원의 전 토지가 한 촌락에 존재하나 다른 장원에 속하는 토지도 병존할 수 있는 형태, 장원토지가 2~3개 주변촌락에 존재하고 거기에는 다른 장원의 토지도 존재할 수 있는 형태, 장원토지가 다수촌락에 분산되어 각 촌락에는 그 장원토지가 소수만 있는 형태
(2) 장원의 구조
① 장원의 관리기구
- 장원은 장원령을 통해 관리(장원령: 장원의 중심에 있는 영주의 저택 및 수도원과 창고, 작업장 등을 포함한 부속건물군으로 구성)
장원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각 장원령 마다 영주의 대리인인 장원관리인이 있었고, 집사를 두어 장원관리인을 감독하였다.
② 장원의 토지구성
- 영주의 직영지와 농민보유지(단위는 망스) 그리고 공동지로 구성.
- 망스 : 농민보유지의 표준적 단위, 농민의 택지와 채원, 공동경지의 보유분과 그에 대응한 공동지 이용권을 포함한 농가의 생계유지의 기본단위이며 표준적 농민으로서의 권리의무의 기초로서의 통합적 개념
③ 영주권의 내용
- 재판권, 세금강요, 각종 세금 징수 등
- 이윤추구가 목적이 아닌 자가수요의 충족을 목적으로 하는 자급자족적 장원경제에서 영주는 필요이상의 잉여물의 획득을 추구할 적극적인 유인을 갖지 않았다. 장원경제는 전통과 관습의 기반위에서 운영되었던 것이다.
(3) 농업제도
① 경작방법
- 이포농법과 삼포농법이 이용 : 토지를 2년 또는 3년에 한번씩 휴한하는 제도
- 토지의 생산성이 낮은 단계에서 인구증가에 따라 경지의 확대가 필요. 중세의 인구증가기에 개간 및 간척사업이 진척, 한계지까지 경지로 편입, 식민활동 등이 전개.
(4) 농촌의 외연적 확대
- 서유럽의 인구는 10c 중엽 ~ 14c 초에 이르기까지 2배로 증가. 흑사병을 계기로 격감. 이에 경지의 축소, 촌락의 수축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노동력인 농노가 감소, 농민 보유지의 생산력은 발전, 영주의 직영지의 생산성은 하락되었다.
6. 중세사회의 성립과 봉건제
(1) 봉건제의 성립
① 봉건제의 개념
- 법제적 정치적 개념으로서 봉건제는 주종제와 은대제와의 결합에 의해 성립된 통일적 제도로 인식
가신이 주군에 대해서 충성의 서약에 의한 복종과 봉사, 특히 군사적 봉사의 의무를 지는 반면에 주군은 가신에 대해 보호와 부양의 의무를 지는 제관계를 내용으로 하고있다. 토지재산을 봉으로서 부여. 불수불입의 특권을 가지게 된다.
물적 관계의 결합으로서의 봉건제는 바로 렌제이다.
- 사회적 측면을 중시하여 봉건제를 일정한 사회유형으로 인식하는 입장
곧 피라밋형 사회계층제의 특징을 지닌다. 주군과 신하와의 주종관계는 신분적인 자유를 기초로 한 명예로운 관계인데 비해 영주-농민관계는 신분적 지배, 예속의 관계이다.
- 사회 경제적 관점으로 봉건제의 본질을 농노제 또는 영주-농민관계에서 인식하는 입장
- 둘째의 개념은 첫 번째 개념을 포함한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포괄적 개념. 봉건사회의 상부구조로서 정치적 사회적 구조를 의미
셋째의 개념은 봉건사회의 하부구조로서 경제구조를 의미
② 봉건사회의 특질과 경제윤리
- 하부구조는 생산관계로서 그 속에서의 영주-농민관계는 신분적인 지배, 예속관계임과 동시에 경제적인 계급관계. 자유촌락공동체는 영주의 지배체제에 편입됨으로써 종속촌락공동체로 성격적인 전환을 하였다.
-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바탕 : 공정가격이 요구. 개인의 영리추구는 배타적. 판매인의 관습적 지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가격(공정가격)이며, 영리목적의 가격은 부당한 가격이었다.
- 봉건사회를 안정적,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깨뜨릴 수 있을 요소를 배제한다는 시대적 요구. 봉건사회의 경제윤리는 사회질서의 고정화, 안정화를 지양한 가치기준으로서의 전통주의였다.
③ 봉건제의 성립과정
- 지역에 따라 시대를 달리하여 나타났다. 유럽의 봉건제는 8c 후반~ 9c 초기에 나타난 프랑크왕국에서 성립하여 13세기에 각국에서 가장 발달하고 그 후 점차적으로 해체
- 기원 : 古게르만의 종사제는 게르만의 독특한 귀족주의와 결합된 자유민 상호간의 충성을 서약을 통해서 이룩된 인적 결합체(주종제) + 로마의 프레카리움(은대제) ⇒ 봉건제
- 프랑스에서는 전형적인 분권적 봉건제가 성립(영주의 지위 강화)
독일에서는 중간적
영국에서는 왕권 중심
(2) 장원제의 성립
① 장원의 의의
- 장원제는 유럽봉건제의 경제적 기초. 장원은 영토의 농민에 대한 지배영역. 영주에 의해 통할 지배되는 기구를 가진 구체적인 소영 (매너;manor)를 가르킴.
- 장원은 영주권의 지배하에 있는 대토지이며 구체적으로는 촌락이므로 영주의 장원지배, 즉 영주권은 장원토지에 대한 경제적 지배 (토지영주권으로서 봉건적 토지소유에 기인하는 토지의 급부와 봉건지대의 수취관계)와 장원의 농민에 대한 경제외적 지배(영주의 농민에 대한 인신지배권)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② 장원제의 성립
- 장원의 로마기원설 : 제정로마 말기에 라티푼디움이 그 주요노동력인 노예의 공급부족으로 말미암아 노예에게 분할 대여됨으로써 노예가 농노로 전환되고 자유로운 소토지 소유농민이 토지에 계박되어 농노로 전락함으로써 장원생성
- 게르만기원설 : 민족이동이후 많은 게르만의 자유민(=전사)들이 토지를 상실하고 영주의 세력하에 흡수되어 농노화 하고 그것이 농노로 상승한 노예 등과 함께 중세의 농노가 형성, 봉건제가 보급됨에 따라 자유농민의 예속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성직자와 세속귀족이 지배하는 대장원이 성립
- 고대 게르만 기원 : 古게르만시대부터 이미 토지소유의 불평등이 존재하여 장원제가 사실상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
7. 장원의 구조
(1) 장원의 존재형태
- 고전학설 : 1개내지 몇 개의 촌락을 일원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고 주장.
비판 : 고전장원제가 카로링시대에 배타적으로 지배적이었던 것이 아닌 고대장원이 아닌 장원도 다수 존재하고 있었으며, 왕영지를 비롯 성, 세귀족의 어느 소영에도 통일적인 중앙 집중적 관리기구는 존재하지 않았고, 장원은 일원적으로 통합되어 있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분산 소유되어 동일 촌락에 몇몇 장원영주의 토지가 착종되어 있었다는 것
- 장원의 형태 : 촌락토지가 그에 속하고 있는 단일장원의 형태, 장원의 전 토지가 한 촌락에 존재하나 다른 장원에 속하는 토지도 병존할 수 있는 형태, 장원토지가 2~3개 주변촌락에 존재하고 거기에는 다른 장원의 토지도 존재할 수 있는 형태, 장원토지가 다수촌락에 분산되어 각 촌락에는 그 장원토지가 소수만 있는 형태
(2) 장원의 구조
① 장원의 관리기구
- 장원은 장원령을 통해 관리(장원령: 장원의 중심에 있는 영주의 저택 및 수도원과 창고, 작업장 등을 포함한 부속건물군으로 구성)
장원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각 장원령 마다 영주의 대리인인 장원관리인이 있었고, 집사를 두어 장원관리인을 감독하였다.
② 장원의 토지구성
- 영주의 직영지와 농민보유지(단위는 망스) 그리고 공동지로 구성.
- 망스 : 농민보유지의 표준적 단위, 농민의 택지와 채원, 공동경지의 보유분과 그에 대응한 공동지 이용권을 포함한 농가의 생계유지의 기본단위이며 표준적 농민으로서의 권리의무의 기초로서의 통합적 개념
③ 영주권의 내용
- 재판권, 세금강요, 각종 세금 징수 등
- 이윤추구가 목적이 아닌 자가수요의 충족을 목적으로 하는 자급자족적 장원경제에서 영주는 필요이상의 잉여물의 획득을 추구할 적극적인 유인을 갖지 않았다. 장원경제는 전통과 관습의 기반위에서 운영되었던 것이다.
(3) 농업제도
① 경작방법
- 이포농법과 삼포농법이 이용 : 토지를 2년 또는 3년에 한번씩 휴한하는 제도
- 토지의 생산성이 낮은 단계에서 인구증가에 따라 경지의 확대가 필요. 중세의 인구증가기에 개간 및 간척사업이 진척, 한계지까지 경지로 편입, 식민활동 등이 전개.
(4) 농촌의 외연적 확대
- 서유럽의 인구는 10c 중엽 ~ 14c 초에 이르기까지 2배로 증가. 흑사병을 계기로 격감. 이에 경지의 축소, 촌락의 수축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노동력인 농노가 감소, 농민 보유지의 생산력은 발전, 영주의 직영지의 생산성은 하락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