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론
송의 건국과 멸망
II.본론
1. 당송사회의 변혁
2. 농업생산력과 농촌사회의 변화
3. 송대 상업혁명과 상인층
4. 송대 도시의 구조적 변화
5. 화폐경제의 발달
III.결론
1.문화
2.과학기술
송의 건국과 멸망
II.본론
1. 당송사회의 변혁
2. 농업생산력과 농촌사회의 변화
3. 송대 상업혁명과 상인층
4. 송대 도시의 구조적 변화
5. 화폐경제의 발달
III.결론
1.문화
2.과학기술
본문내용
족문화의 서민층에 대한 침투와 아울러, 서민문화가 귀족층에 끼친 영향도 찾아볼 수 있다. 도읍에는 구란·와자라는 오락시설이 있어서 잡극·재담·요술 따위 연희가 서민들을 관객으로 하여 번창하였다. 잡극은 뒤에 더욱 발전하여 원곡이 되고 사대부들도 그것을 창작하게 된다.
또한 속어가 시문에 사용되는 경향이 뚜렷해지는데, 이것 역시 서민문화의 영향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처럼 귀족층이나 서민층의 문화가 발전할 수 있었던 이면에는 송대에 이르러 서적 인쇄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누구나 책을 손쉽게 구할 수 있었다는 점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초기에는 [사대서](四大書)라 총칭하는 대부분의 서책 편찬이 차례로 이루어졌다. 송나라에 이르러 문학은 당나라 중기의 고문운동(古文運動)을 물려받았다. 이 흐름에는 구양수에 의한 송문학의 주류가 되어, 당송팔대가라 불리는 명문가가 활약했다. 팔대가이외로는 황정견, 범중암, 사마광등의 이름이 열거된다. 한시(漢詩)에서는 당나라대까지의 서정시에 비해 매우 일상적이고 평이한 서사시(事詩)가 나오게 되었다. 또 당나라말기에 서서히 늘어나기 시작한 사(詞)의 분야도 이 시기에 융성을 맞이했다. 역사분야에서는 신당서,신오대사, 그리고 사마광에 의해 편년체로 기술된 자치통감이 있다.
자치통감
먼저 사마 광이 《통지(通志)》 8권을 찬진(撰進)하자 영종(英宗)이 편찬국(編纂局)을 개설하고 사마 광의 주재하에 유반(劉)이 전 ·후한(前後漢)을, 유서(劉恕)가 삼국(三國)으로부터 남북조(南北朝)까지를, 범조우(范祖禹)가 당(唐)나라 및 5대를 각각 분담하여 기술하였다. 정사(正史)는 물론 실록(實錄) ·야사(野史) ·소설(小說) ·묘지류(墓誌類) 등 322종의 각종 자료를 참고로 하여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서법(書法)에 따라 완성하여 신종(神宗)이 《자치통감》이라 이름을 붙이고 자서(自序)를 지었다.
자치통감이라 함은 치도(治道)에 자료가 되고 역대를 통하여 거울이 된다는 뜻으로, 곧 역대 사실(史實)을 밝혀 정치의 규범으로 삼으며, 또한 왕조 흥망의 원인과 대의명분을 밝히려 한 데 그 뜻이 있었다. 따라서 사실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지 않고 독특한 사관(史觀)에 의하여 기사를 선택하고, 정치나 인물의 득실(得失)을 평론하여 감계(鑑戒)가 될 만한 사적을 많이 습록(拾錄)하였다. 편년에 있어서도 3국의 경우에는 위(魏)나라의 연호를, 남북조의 경우에는 남조의 연호를 각각 써서 그것이 정통(正統)임을 명시하였다.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기사에는 ‘신광왈(臣光曰)’이라고 하여 사마 광 자신의 평론을 가하고 있어 그의 사관을 엿볼 수 있다. 이 책의 사실의 진부에 대해서는 사마 광이 따로 《통감고이(通鑑考異)》 30권을 지어 사실의 고증에 참고가 되게 하였으며, 《통감목록(通鑑目錄)》 30권과 《통감석례(通鑑釋例)》 1권에서는 각각 목록 및 범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 사마 광은 《계고록(稽古錄)》 20권을 지어 이 책 내용의 부족을 보충하였다.
송나라 시대는 수묵화, 산수화 분야의 발흥기라 할수 있어 다수의 작품이 그려졌다. 송나라 시대의 화단에는 2종류의 흐름이 있어 조정이 만든 한림도화원이라 불리는 국립미술 아카데미 속에서 태어난 원체화(院)와 민간의 사대부에 의해 생긴 문인화(文人)등 2개가 바로 그것이다. 또 책의 분야에서는 송나라의 4대가라 일컫어지는 소동파, 미원장, 황정견, 채양 4사람을 열거하는데, 휘종과 그의 재상이던 채경도 포함될 수 있다. 휘종은 금체라고 불리는 필체을 만들기도 했다. 도자기 분야에서는 현재도 도자기 마을로 유명한 경덕진이 청백자의 생산을 계기로 일대 생산지가 되었던 시기였다.
2.과학기술
송대에는 경제발달과 함께 각종 실용기술도 발전하여 방위자석이 발명되었다. 또 화약, 인쇄기술도 본격적으로 운용되어 사회 각 방면에서 이용되었다. 제지, 인쇄기술의 향상과 시민경제의 발흥으로 인해 이때까지 일부 관료, 귀족이 독점하던 문학, 사상등이 시민들 사이에도 퍼져나가게 되었다.
화력혁명. 즉 석탄사용의 보급에 따라 동·철 등의 제련 기술이 발달하여 다량의 동·철이 생산되었다. 동의 생산 증가는 동전의 대량 주조를 가능케 하여 상업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철의 생산 증대는 병기의 발달을 가져와 국방에 크게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농기구 제조는 농산물의 생산력 증대에도 박차를 가하였다. 이와 같은 화력혁명은 생산력 증대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도자기의 발달에도 크게 영향을 끼쳤다.
또한 속어가 시문에 사용되는 경향이 뚜렷해지는데, 이것 역시 서민문화의 영향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처럼 귀족층이나 서민층의 문화가 발전할 수 있었던 이면에는 송대에 이르러 서적 인쇄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누구나 책을 손쉽게 구할 수 있었다는 점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초기에는 [사대서](四大書)라 총칭하는 대부분의 서책 편찬이 차례로 이루어졌다. 송나라에 이르러 문학은 당나라 중기의 고문운동(古文運動)을 물려받았다. 이 흐름에는 구양수에 의한 송문학의 주류가 되어, 당송팔대가라 불리는 명문가가 활약했다. 팔대가이외로는 황정견, 범중암, 사마광등의 이름이 열거된다. 한시(漢詩)에서는 당나라대까지의 서정시에 비해 매우 일상적이고 평이한 서사시(事詩)가 나오게 되었다. 또 당나라말기에 서서히 늘어나기 시작한 사(詞)의 분야도 이 시기에 융성을 맞이했다. 역사분야에서는 신당서,신오대사, 그리고 사마광에 의해 편년체로 기술된 자치통감이 있다.
자치통감
먼저 사마 광이 《통지(通志)》 8권을 찬진(撰進)하자 영종(英宗)이 편찬국(編纂局)을 개설하고 사마 광의 주재하에 유반(劉)이 전 ·후한(前後漢)을, 유서(劉恕)가 삼국(三國)으로부터 남북조(南北朝)까지를, 범조우(范祖禹)가 당(唐)나라 및 5대를 각각 분담하여 기술하였다. 정사(正史)는 물론 실록(實錄) ·야사(野史) ·소설(小說) ·묘지류(墓誌類) 등 322종의 각종 자료를 참고로 하여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서법(書法)에 따라 완성하여 신종(神宗)이 《자치통감》이라 이름을 붙이고 자서(自序)를 지었다.
자치통감이라 함은 치도(治道)에 자료가 되고 역대를 통하여 거울이 된다는 뜻으로, 곧 역대 사실(史實)을 밝혀 정치의 규범으로 삼으며, 또한 왕조 흥망의 원인과 대의명분을 밝히려 한 데 그 뜻이 있었다. 따라서 사실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지 않고 독특한 사관(史觀)에 의하여 기사를 선택하고, 정치나 인물의 득실(得失)을 평론하여 감계(鑑戒)가 될 만한 사적을 많이 습록(拾錄)하였다. 편년에 있어서도 3국의 경우에는 위(魏)나라의 연호를, 남북조의 경우에는 남조의 연호를 각각 써서 그것이 정통(正統)임을 명시하였다.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기사에는 ‘신광왈(臣光曰)’이라고 하여 사마 광 자신의 평론을 가하고 있어 그의 사관을 엿볼 수 있다. 이 책의 사실의 진부에 대해서는 사마 광이 따로 《통감고이(通鑑考異)》 30권을 지어 사실의 고증에 참고가 되게 하였으며, 《통감목록(通鑑目錄)》 30권과 《통감석례(通鑑釋例)》 1권에서는 각각 목록 및 범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 사마 광은 《계고록(稽古錄)》 20권을 지어 이 책 내용의 부족을 보충하였다.
송나라 시대는 수묵화, 산수화 분야의 발흥기라 할수 있어 다수의 작품이 그려졌다. 송나라 시대의 화단에는 2종류의 흐름이 있어 조정이 만든 한림도화원이라 불리는 국립미술 아카데미 속에서 태어난 원체화(院)와 민간의 사대부에 의해 생긴 문인화(文人)등 2개가 바로 그것이다. 또 책의 분야에서는 송나라의 4대가라 일컫어지는 소동파, 미원장, 황정견, 채양 4사람을 열거하는데, 휘종과 그의 재상이던 채경도 포함될 수 있다. 휘종은 금체라고 불리는 필체을 만들기도 했다. 도자기 분야에서는 현재도 도자기 마을로 유명한 경덕진이 청백자의 생산을 계기로 일대 생산지가 되었던 시기였다.
2.과학기술
송대에는 경제발달과 함께 각종 실용기술도 발전하여 방위자석이 발명되었다. 또 화약, 인쇄기술도 본격적으로 운용되어 사회 각 방면에서 이용되었다. 제지, 인쇄기술의 향상과 시민경제의 발흥으로 인해 이때까지 일부 관료, 귀족이 독점하던 문학, 사상등이 시민들 사이에도 퍼져나가게 되었다.
화력혁명. 즉 석탄사용의 보급에 따라 동·철 등의 제련 기술이 발달하여 다량의 동·철이 생산되었다. 동의 생산 증가는 동전의 대량 주조를 가능케 하여 상업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철의 생산 증대는 병기의 발달을 가져와 국방에 크게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농기구 제조는 농산물의 생산력 증대에도 박차를 가하였다. 이와 같은 화력혁명은 생산력 증대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도자기의 발달에도 크게 영향을 끼쳤다.
추천자료
[중국][중국 전통사상][중국 역사][중국 산업][중국인][중국 농업][중국 경제][중국과 한국 ...
[중국][중국문화][중국의 문화][중국의 역사][중국의 역사 연표][분기별 중국의 역사][중국 ...
[중국 사회주의교육][중국 수학교육][중국 공학교육][중국 환경교육][중국 교육정책]중국의 ...
[중국문화, 중국전통, 경극] 중국의 식생활(식사습관), 중국의 술(음주문화), 중국의 요리(음...
[중국사요약, 중국사] 중국사(선사시대~ 명明) 요점정리
[중국][명나라][명대][명][권력][멸망원인][인정소설][중국 명나라(명대) 신마소설]중국 명나...
[중국방언][중국어방언][산동방언][서양선교사][중국어][방언][중국]중국방언(중국어 방언)의...
[철학사, 서양, 독일, 중국, 현대, 중국현대철학, 고전철학, 합리론, 경험론, 칸트 비판철학,...
[중국불교, 중국불교와 불교전래, 중국불교와 선재동자, 중국불교와 선종, 중국불교와 당왕조...
[철학, 한국철학, 북한철학, 중국철학, 인도철학, 독일철학, 그리스철학(희랍철학), 한국, 북...
[경제, 경제 교훈, 중국 경제, 독일 경제, 중국 경제로 본 교훈, 독일 경제로 본 교훈, 중국,...
(중국의사회와문화 공통) 한 자녀 정책을 포함한 중국 인구정책이 중국 사회에 미친 영향과 ...
(중국의사회와문화 A형) 오늘날 중국의 가족은 전통 시대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 논하시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