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치 : 1980년대의 군사정권 아래서의 남성상과 현재
2. 경제 : 1990년대의 경제 흐름과 남성상의 변화
3. 상업주의 : 새로운 남성상 - 메트로섹슈얼
4. 우리가 가지고 있는 남성상
1). 여성이 선호하는 남성상
2). 남성이 선호하는 남성상
3). 여성과 남성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남성상
5. 결론
2. 경제 : 1990년대의 경제 흐름과 남성상의 변화
3. 상업주의 : 새로운 남성상 - 메트로섹슈얼
4. 우리가 가지고 있는 남성상
1). 여성이 선호하는 남성상
2). 남성이 선호하는 남성상
3). 여성과 남성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남성상
5. 결론
본문내용
남성성의 이미지가 투박하고 우락부락한, 강인한 그리고 파괴적 본능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면, 지금 우리가 기대하는 남성성은 그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재 우리가 기대하는 남성성은 앞서 언급했던 메트로 섹슈얼과 근접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존의 남성성과 여성성이 혼재되어 있는 그러한 남성을 원하는 것이다. 최근 메트로 섹슈얼의 심볼로 각광받고 있는 몇 몇 스타들, 배용준, 비, 권상우 등을 살펴보면 미소년 같은 얼굴과 강인한 육체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평소에는 부드러운 이미지이지만 그 속에는 강인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그 강인함이 가지는 의미의 변화일 것이다. 예전의 강인함은 폭력과 억압의 도구로서 사용되었지만 지금의 남성이 가지는 강인함이란 여성을 보호해주고 지켜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강인함이다. 힘의 과시 혹은 남성성의 상징으로서의 육체라기보다 철저히 패션과 미용으로 다져진 육체, 남성성을 유지하면서도 자기 안의 여성성을 억누르지 않는 남성, 단단한 육체를 만듦과 동시에 곱상한 외모 가꾸기에 심혈을 기울이는 남성, 성 역할의 경계를 쉽게 넘나드는 남성인 것이다. 같은 하드바디지만 그 안에 내포된 의미는 정반대가 된 것이다. 한편, 하드바디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차태현 같은 귀엽고 보호해 주고 싶은 남성상도 선호 받는 다는 점에서 점차로 하드바디에 대한 강박관념도 많이 변화했다고 느낄 수 있었다. 어찌 보면 하드바디에 대한 요구가 매체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이미지라는 것도 생각해볼 만한 주제이다. 몸을 지나치게 중요시하는 우리 사회의 분위기와 맞물려서 몸과 관련된 산업이 조장해 낸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많은 여성들이 너무 왜소한 남성보다는 어느 정도 체격이 있는 건강한 남성상을 원하는 것은 나를 보호해 줄 수 있을 것 같은 이미지 때문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폭력적이고 무식하다는 기호로서의 하드바디가 이제는 부드러움을 가공하여 그 하드바디가 나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시켜주고 그 것이 내가 사랑하는 여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은연중에 각인시키는 것이다. 곱상한 얼굴과 강인한 몸은 얼핏 보면 굉장히 어색한 조합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지금의 이러한 추세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혼재라는 과도기적 모습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이러한 경향은 더더욱 확산되고 보다 더 다양해질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동안 금기시되어 왔던 성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목소리가 사회 밖으로 공개되기 시작했고, 동성연애자와 동성 결혼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의 다양한 성향이 억압 없이 그대로 인정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따라서 다양한 남성상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남성상에 대한 고정관념이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깊게 자리잡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남성들이 가지고 있는 모습과는 다른, 허구의 이미지로 포장된 남성성이 괴리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은 아닌지, 현실성이 있는 것인지에 대한 생각도 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업주의가 이를 이미지로써 왜곡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오히려 남성에게 다른 부담감을 지게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보게 되었다.
*목차
1. 정치 : 1980년대의 군사정권 아래서의 남성상과 현재
2. 경제 : 1990년대의 경제 흐름과 남성상의 변화
3. 상업주의 : 새로운 남성상 - 메트로섹슈얼
4. 우리가 가지고 있는 남성상
1). 여성이 선호하는 남성상
2). 남성이 선호하는 남성상
3). 여성과 남성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남성상
5. 결론
*목차
1. 정치 : 1980년대의 군사정권 아래서의 남성상과 현재
2. 경제 : 1990년대의 경제 흐름과 남성상의 변화
3. 상업주의 : 새로운 남성상 - 메트로섹슈얼
4. 우리가 가지고 있는 남성상
1). 여성이 선호하는 남성상
2). 남성이 선호하는 남성상
3). 여성과 남성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남성상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