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낭만주의의 발생
Ⅲ. 낭만주의의 특징
Ⅳ. 낭만주의 시대의 문학이론
Ⅴ. 낭만주의의 한계
참고문헌
Ⅱ. 낭만주의의 발생
Ⅲ. 낭만주의의 특징
Ⅳ. 낭만주의 시대의 문학이론
Ⅴ. 낭만주의의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1623), 안드레아에의 크리스티아노포리스(1619), 해링턴의 오세아나 공화국(1656) 등이 출판된 것도 위기 의식이 유토피아 사상이 태어나는 조건임을 보여준다. 19세기에 유토피아 사상이 활발히 논의된 것도 산업혁명과 정치적 사회적 격동으로 불안한 사회와 연관이 있다. 푸리에는 산업적 협동사회적 신세계(1829)에서 마르크스는 자본론(1867)에서 자본주의 사회 질서의 피해와 그 대안을 그렸다. 그 후 20세기 초에는 블로흐, 만하임 등의 유토피아 연구와 루카치, 벤야민 등의 유토피아적 세계 추구가 괄목할만하다. 그후 60년대 학생운동의 여파로 유토피아 논의가 서구 학계에서 잠시 있었지만, 사회주의 종말 이후에는 유토피아 논의는 사실상 끝나버렸다. 근대의 낙관적 진보관에 대한 낭만주의의 비판은 주류가 되지 못하고 언제나 부차적이었다. 하지만 근대화 과정에 대한 낭만주의 비판은 오늘날까지 그 현실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낭만주의자들은 시민계급의 끝없는 이기주의가 고전주의에 의해 특징 지워진 인문주의적 이상과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느꼈다. 그들의 눈에 시민사회란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싸우는 개체처럼 보였다. 수많은 발견과 발명으로 촉진된 산업 혁명 이래로 점점 강해진 자본주의적 삶이 인간의 본래 모습을 해체한다고 믿었다.
그들은 이른바 사회의 ‘원자화’ 원인을 인식하려고는 하지 않고, 오로지 개인에 미치는 원자화의 파괴적 영향에만 반응을 보였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근대의 자연과학적 유토피아관에 대한 낭만주의의 비판은 그 성과에도 불구하고 약점이 있다. 낭만주의자들에게 비평은 특별한 의미를 지녔다. 낭만주의 비평은 문학생산의 도구로써, 문학을 지도 계몽하는 역할을 자임했다. 슐레겔은 심지어 비평에다 미래를 창출하는 임무를 지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대에 출판된 신간에 대한 관심은 별로 없었고, 오래된 중요 작품에 대한 비평을 철학적으로 길게 쓰는 것을 선호했다. 예를 들어 슐레겔은 1796년부터 1799년까지 300 여편의 신간 서평을 발표했으나 1801년부터는 신간에 대한 서평을 더 이상 발표하지 않았다. 이처럼 외부 현실에 대한 관심도 없었을 뿐 아니라, 예술 행위도 당대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이 낭만주의의 또 다른 약점이다. 뿐만 아니라 낭만주의 작가들은 자신들이 거절하는 주변세계에는 관심이 없었고 오로지 내면에만 관심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의도적으로 사회분석을 무시했고, 주인공의 정신적 · 영혼적 삶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 조건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낭만주의는 그들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현실도피라는 비난과 함께 여러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1. 김희보 편저 (2002), 세계 문예 사조사.
2. 볼프강 보이틴, 독일문학사: 사회사적 관점에서 본 문학적 술화.
3. 오성근 외, 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문학과 지성사.
4. 조창섭, 예술시대의 독일문학 2, 서울대학교출판부.
5. 조철제 (1990), 독일문학사, 경북대학교 출판부.
6. 최유찬, 문예사조의 이해, 실천문학사.
그들은 이른바 사회의 ‘원자화’ 원인을 인식하려고는 하지 않고, 오로지 개인에 미치는 원자화의 파괴적 영향에만 반응을 보였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근대의 자연과학적 유토피아관에 대한 낭만주의의 비판은 그 성과에도 불구하고 약점이 있다. 낭만주의자들에게 비평은 특별한 의미를 지녔다. 낭만주의 비평은 문학생산의 도구로써, 문학을 지도 계몽하는 역할을 자임했다. 슐레겔은 심지어 비평에다 미래를 창출하는 임무를 지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대에 출판된 신간에 대한 관심은 별로 없었고, 오래된 중요 작품에 대한 비평을 철학적으로 길게 쓰는 것을 선호했다. 예를 들어 슐레겔은 1796년부터 1799년까지 300 여편의 신간 서평을 발표했으나 1801년부터는 신간에 대한 서평을 더 이상 발표하지 않았다. 이처럼 외부 현실에 대한 관심도 없었을 뿐 아니라, 예술 행위도 당대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이 낭만주의의 또 다른 약점이다. 뿐만 아니라 낭만주의 작가들은 자신들이 거절하는 주변세계에는 관심이 없었고 오로지 내면에만 관심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의도적으로 사회분석을 무시했고, 주인공의 정신적 · 영혼적 삶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 조건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낭만주의는 그들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현실도피라는 비난과 함께 여러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1. 김희보 편저 (2002), 세계 문예 사조사.
2. 볼프강 보이틴, 독일문학사: 사회사적 관점에서 본 문학적 술화.
3. 오성근 외, 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문학과 지성사.
4. 조창섭, 예술시대의 독일문학 2, 서울대학교출판부.
5. 조철제 (1990), 독일문학사, 경북대학교 출판부.
6. 최유찬, 문예사조의 이해, 실천문학사.
추천자료
르네상스 시대를 배경으로 시민혁명과 근대사회에
빅토리아 시대 영국문학과 그에 영향을 준 요인들
시대별 음악
[인문]고전주의(Classicism)와 낭만주의(Romanticism)의 비교분석
빅토리아시대 문학(영시의 측면에서)
[프랑스문화] 『프랑스의 철학교육과 현대미술의 기원(사실주의,낭만주의,인상주의)』에 대하여
시대사별 작곡가 및 음악 조사
고전주의음악(고전파음악)의 개념과 특성, 고전주의음악(고전파음악)의 배경, 고전주의음악(...
계몽주의시대의 사회복지철학
[근세시대(근세), 근세시대(근세) 특징과 사조, 근세시대(근세) 성격, 근세시대(근세) 철학, ...
문예미학 중간과제 01~07 (그리스적인 것, 계몽주의, 고전주의, 낭만주의, 리얼리즘, 자연주...
[고전음악의 이해] 바로크음악, 고전주의음악, 낭만주의음악
[교육역사및 철학] 제12장 계몽주의 시대에서 신인본주의 시대까지.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