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l)
0.8
마 지 막 읽 기(ml)
21.3
읽기의 차 v (ml)
20.5
시멘트의 중량 w (g)
64g
밀도 ρ (g/㎠) =
3.12
광유표면의
눈금 읽을 때의 온도
처 음 온 도 (℃)
20
마지막 온도(℃)
20
비 중
3.12
시멘트의 종류
비 중 값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14~3.17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3.12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3.20
8. 시멘트의 비중값은 아래표와 같다.
9. 고 찰
르샤틀리에 비중병을 비롯하여 비이커 깔대기 등 유리로 되어있는 실험도구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많은 주의를 필요로한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되는 광유 또한 조심해야한다 물로 실험을 해야하나 시멘트는 물과 반응을 하므로 비중값이 물과 비슷한 광유를 사용하여 절대 불이 붙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실험은 광유를 르샤틀리에 비중병에 넣어주는 순서로 시작된다 광유는 비중병에 넣어주되 일정량을 다 넣어준 뒤에는 비중병의 기다란 눈금 부분을 준비된 철사로 깨끗이 닦아 주어야 한다. 이를 닦아 주지 않으면 눈금 부분에 묻은 광유에 시멘트가 붙게 되어 잘못하면 막힐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어 줄때에는 소량으로 천천히 넣어주어야 한다 이 또한 비중병이 막힐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갓 생산된 보통 포틀랜드의 시멘트 밀도는 3.15정도이다. KS규정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밀도는 3.10~3.15정도의 범위이다. 본 시험의 결과는 3.12로 이 범위안에 속하므로 일반적 사용에 있어서 무난하다. 하지만 갓 생산된 포틀랜드 시멘트의 밀도는 3.15정도로 이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시험에 사용한 시멘트는 밀도가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이유는 1) 구성성분의 함량에 따라 2) 클링커(Clinker)의 소성이 불충분 할 때 3) 혼합물이 섞여 있을 때 4) 석고(밀도 2.32)의 양이 많은 경우 5) 풍화한 경우 및 저장기간이 길 때 로 나눠 볼 수 있다. 이렇듯 우리가 실험을 할때에는 시간상의 제약으로, 항온수조에 정치해야 하는 시간 또 한 짧았기 때문, 그리고 시멘트의 풍하에 의해서,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는 과정에서 시멘트가 비중병에 묻거나 날아간 이유 때문, 실험이 빨리 진행되어 광유의 체적변화를 제어하지 못한 점, 이론상으론 2회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평균값을 도출해내야 되지만 한 번의 실험으로만 비중 값을 도출했기 때문에 오차의 원인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0.8
마 지 막 읽 기(ml)
21.3
읽기의 차 v (ml)
20.5
시멘트의 중량 w (g)
64g
밀도 ρ (g/㎠) =
3.12
광유표면의
눈금 읽을 때의 온도
처 음 온 도 (℃)
20
마지막 온도(℃)
20
비 중
3.12
시멘트의 종류
비 중 값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14~3.17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3.12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3.20
8. 시멘트의 비중값은 아래표와 같다.
9. 고 찰
르샤틀리에 비중병을 비롯하여 비이커 깔대기 등 유리로 되어있는 실험도구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많은 주의를 필요로한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되는 광유 또한 조심해야한다 물로 실험을 해야하나 시멘트는 물과 반응을 하므로 비중값이 물과 비슷한 광유를 사용하여 절대 불이 붙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실험은 광유를 르샤틀리에 비중병에 넣어주는 순서로 시작된다 광유는 비중병에 넣어주되 일정량을 다 넣어준 뒤에는 비중병의 기다란 눈금 부분을 준비된 철사로 깨끗이 닦아 주어야 한다. 이를 닦아 주지 않으면 눈금 부분에 묻은 광유에 시멘트가 붙게 되어 잘못하면 막힐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어 줄때에는 소량으로 천천히 넣어주어야 한다 이 또한 비중병이 막힐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갓 생산된 보통 포틀랜드의 시멘트 밀도는 3.15정도이다. KS규정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밀도는 3.10~3.15정도의 범위이다. 본 시험의 결과는 3.12로 이 범위안에 속하므로 일반적 사용에 있어서 무난하다. 하지만 갓 생산된 포틀랜드 시멘트의 밀도는 3.15정도로 이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시험에 사용한 시멘트는 밀도가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이유는 1) 구성성분의 함량에 따라 2) 클링커(Clinker)의 소성이 불충분 할 때 3) 혼합물이 섞여 있을 때 4) 석고(밀도 2.32)의 양이 많은 경우 5) 풍화한 경우 및 저장기간이 길 때 로 나눠 볼 수 있다. 이렇듯 우리가 실험을 할때에는 시간상의 제약으로, 항온수조에 정치해야 하는 시간 또 한 짧았기 때문, 그리고 시멘트의 풍하에 의해서,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는 과정에서 시멘트가 비중병에 묻거나 날아간 이유 때문, 실험이 빨리 진행되어 광유의 체적변화를 제어하지 못한 점, 이론상으론 2회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평균값을 도출해내야 되지만 한 번의 실험으로만 비중 값을 도출했기 때문에 오차의 원인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