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 문화유적지 분포와 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경주역사지구
1) 남산지구
2) 월성지구
3) 대릉원지구
4) 황룡사지구
5) 산성지구

3. 불국사

4. 석굴암

3. 나오며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고 옆에서 증명한다는 「법화경」의 내용에 따른 것이라 한다. 다보탑은 기단에서 꼭대기까지 하나하나 의미를 가지고 있어 그 자체가 곧 불(佛)이라고 한다. 석가탑은 불국사 삼층석탑이라고도 하는데 단순하지만 완벽한 비례를 보여준다. 도굴꾼에 의해 손상된 부분을 1966년 복원하는 과정에서 2층 탑신의 몸돌 앞면에서 사리를 모시는 공간을 발견했다. 이 곳에서 여러 가지 사리 용기들과 함께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목판인쇄물이라고 하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발견했다.
그림 10. 석가탑 (출처: encyber.com) 그림 11. 다보탑 (출처: encyber.com)
4. 석굴암
그림 12. 석굴암 (http://www.cha.go.kr)
국보 제24호이다.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던 김대성이 처음 건립하였는데, 처음에는 ‘석불사’라 불렀다. 토함산(745m)의 동쪽 봉우리 아래에 동남향하여 동해를 마주하고 있는데, 석벽의 석재를 짜 맞추어 인공 석굴을 만든 것으로 인도나 중국의 석굴사원을 본뜬 것이다. 석굴은 전방후원의 형식이고 원형주식과 방형전실, 간도로 구성되어 있다. 주실은 구릉형으로 그 위에 봉토로 덮었으며 전실에는 원래의 지붕이 없어져 1963년 복조건물을 새로 덮었다. 현재 석굴암 내부의 중앙에는 높이 3.48m의 여래좌상이 안치되어 있고, 전실과 굴 입구 좌우 벽에는 인왕상, 사천왕상, 팔부신중상 등의 입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동이 튼 후 처음 빛이 비추는 곳이라는 본존불의 주위에는 천부입상 2구, 보살입상 2구 및 나한입상 10구를 배열하고 그 뒤에는 11면 관세음보살입상 등 총 38구가 안치되어 있다. 또한 천장 주위 10개의 감실 안에는 좌상의 보살과 거사 등이 안치되어 있다. 인도나 중국의 석굴 사원과는 달리 화강암을 인공으로 다듬어 조립한 이 석굴은 불교 세계의 이상과 과학기술 그리고 세련된 조각 솜씨가 어우러진 걸작이라고 한다.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록되었으며, 이러한 조각들은 심오한 믿음과 우아한 솜씨가 잘 조화를 이룬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예술품이다.
3. 나오며
이번 답사를 통해 ‘세계 最古의 역사·문화·관광’도시라는 캐치프레이즈에 가려져 있던 경주의 실상을 조금 알게 되었다. 경주는 전국을 휩쓸었던 산업화를 통한 고도성장의 흐름에서 한 발짝 비켜난 채로 여전히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개발을 주장하지만 역사와 문화를 뒤로하고 산업도시로 전면 탈바꿈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실제로 경주시는 지역경제를 위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설과 양성자기반 공학기술 개발사업시설 그리고 한국 수력 원자력 본사를 유치하는 등의 시도를 하고 있다. 동시에 문화엑스포와 지역 축제 등을 통해 관광자원을 다양화하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
이 둘은 모두 지방자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방안들이지만 개인적으로는 경주가 이미 갖추고 있는 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를 다각도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좀 더 적극적으로 해나가기를 바란다. 예를 들어 경주시의 여행안내책자를 보면 많은 체험관광과 탐방여행 코스가 개발되어 있다. 설화와 함께하는 경주기행코스는 『경주에 가면 행복하다』의 이정옥이 주장했듯이 외국어가 가능한 가이드의 충원과 애니메이션 등의 활용으로 보완한다면 더욱 매력적인 코스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자전거를 타고 경주를 도는 문화기행도 자전거 도로의 확장과 어느 곳에서든 자유롭게 대여·반납이 가능한 시스템의 구축을 고려해볼 만하다는 생각이다. 중지를 모아 경주가 역사도시·문화도시로서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지켜가길 바란다.
아직은 쌀쌀한 봄이어서 그랬는지, 경주는 참 조용한 도시였다. 다음엔 떠들썩한 경주를 만나고 싶다.
<참고자료>
경주시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
신라문화원 홈페이지: http://www.silla.or.kr
신라문화진흥원 홈페이지: http://www.shilla.or.kr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불국사 홈페이지: http://www.bulguksa.or.kr
김환대, 2004, 『경주의 문화유적』, 경주문화유적답사회
이재호, 2005, 『천년 고도를 걷는 즐거움』, 한겨레신문사
이정옥, 2003, 『경주에 가면 행복하다』, 새미
*목차
1. 들어가며
2. 경주역사지구
1) 남산지구
2) 월성지구
3) 대릉원지구
4) 황룡사지구
5) 산성지구
3. 불국사
4. 석굴암
3. 나오며
<참고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