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GMO식품의 현황
2. GMO식품에 대한 국가별 시각
3. GMO식품의 부작용
1)인체에 미치는 영향
2)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4. 다국적 GMO기업의 실체
1)농약사용감소
2)식량난해결
3)생명특허
5. GMO식품에 대한 대응
III. 결론
II. 본론
1. GMO식품의 현황
2. GMO식품에 대한 국가별 시각
3. GMO식품의 부작용
1)인체에 미치는 영향
2)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4. 다국적 GMO기업의 실체
1)농약사용감소
2)식량난해결
3)생명특허
5. GMO식품에 대한 대응
III. 결론
본문내용
사용해야 하며, 종자까지도 외부의 기업에 의존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는 무농약, 무화학비료, 종자의 자기생산을 원칙으로 하면서 지역 내 물질순환을 핵심으로 하는 유기농업과는 상극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GMO식품의 현황을 바탕으로 유전자 조작 식품의 부작용 및 피해, 다국적 기업의 실체, GMO 식품에 대한 대응 등에 대해서 전반적인 이야기를 해보았다. 간추려보면, 현재 우리나라및 세계에는 GMO 식품이 넘쳐나는 현실이며, 그에 반해 인체적, 생태계적 부작용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기업의 상술에 휘말리지 말고 국가별로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각국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받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한 욕구이다. 이러한 추세를 어떻게 엮어 지속 가능한 사회로 재편해갈 것인가가 환경과 농업 영역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기에는 식품안전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의식과 함께, 농업의 중요성,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생태농업으로의 전환, 개인화된 소비를 공동의 사회화된 소비로 전환하는 문제 등이 포함된다. 세계화된 식품 시스템의 문제는 안전에 대한 확신 없이 개인들이 식품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나아가 정보와 돈이 있어도 더 이상 선택할 수 있는 안전한 식품이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정부는 먹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신뢰 회복을 위해서, 더 늦기 전에 안이한 구태를 벗고 식품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고 그에 대한 정책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또한 식품관련 행정의 일관되고 통합적인 관리를 위하여 정부기능을 일원화해야한다.
우리가 바라는 궁극적인 지향점은 결국, 모든 국민들이 자기가 사는 지역에서 생산된 안전한 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그간 우리가 먹고 마시는 물과 공기의 오염을 환경문제의 전부로 생각해 왔다면, 식품의 안전성 파동들을 겪으면서 이제 우리가 지금 먹고 있는 것들이 과연 어디서 어떻게 생산되어 우리에게 오는 것들인가 하는 데 대한 인식, 그리고 우리가 먹고 마심으로써 우리 몸을 구성하는 모든 것이 다 환경문제와 관계가 있다는 인식의 확장이 중요하다. 식품의 안전과 유전자 조작 생물체에 대한 논란은 대부분의 에너지와 상당한 식량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에게 세계화된 식품의 생산, 유통 및 소비 시스템의 문제를 재검토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는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 지구적 규제방안에 대한 시민사회와 국가의 역할뿐 아니라, 생존을 위한 우리 사회의 생태적 재편 과제를 포함한다.
*Reference
권영근저 <위험한 미래 - 유전자 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2nd> 당대 출판사, pp285 ~ 300, p13
웹싸이트 http://blog.naver.com/godleena?Redirect=Log&logNo=110019523221
박민선저 <농민과사회 (1998년)농촌사회(제9집)> p10
"환경과 생명" 통권 제23호(2000년 봄호)
III. 결론
지금까지 GMO식품의 현황을 바탕으로 유전자 조작 식품의 부작용 및 피해, 다국적 기업의 실체, GMO 식품에 대한 대응 등에 대해서 전반적인 이야기를 해보았다. 간추려보면, 현재 우리나라및 세계에는 GMO 식품이 넘쳐나는 현실이며, 그에 반해 인체적, 생태계적 부작용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기업의 상술에 휘말리지 말고 국가별로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각국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받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한 욕구이다. 이러한 추세를 어떻게 엮어 지속 가능한 사회로 재편해갈 것인가가 환경과 농업 영역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기에는 식품안전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의식과 함께, 농업의 중요성,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생태농업으로의 전환, 개인화된 소비를 공동의 사회화된 소비로 전환하는 문제 등이 포함된다. 세계화된 식품 시스템의 문제는 안전에 대한 확신 없이 개인들이 식품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나아가 정보와 돈이 있어도 더 이상 선택할 수 있는 안전한 식품이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정부는 먹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신뢰 회복을 위해서, 더 늦기 전에 안이한 구태를 벗고 식품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고 그에 대한 정책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또한 식품관련 행정의 일관되고 통합적인 관리를 위하여 정부기능을 일원화해야한다.
우리가 바라는 궁극적인 지향점은 결국, 모든 국민들이 자기가 사는 지역에서 생산된 안전한 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그간 우리가 먹고 마시는 물과 공기의 오염을 환경문제의 전부로 생각해 왔다면, 식품의 안전성 파동들을 겪으면서 이제 우리가 지금 먹고 있는 것들이 과연 어디서 어떻게 생산되어 우리에게 오는 것들인가 하는 데 대한 인식, 그리고 우리가 먹고 마심으로써 우리 몸을 구성하는 모든 것이 다 환경문제와 관계가 있다는 인식의 확장이 중요하다. 식품의 안전과 유전자 조작 생물체에 대한 논란은 대부분의 에너지와 상당한 식량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에게 세계화된 식품의 생산, 유통 및 소비 시스템의 문제를 재검토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는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 지구적 규제방안에 대한 시민사회와 국가의 역할뿐 아니라, 생존을 위한 우리 사회의 생태적 재편 과제를 포함한다.
*Reference
권영근저 <위험한 미래 - 유전자 조작식품이 주는 경고, 2nd> 당대 출판사, pp285 ~ 300, p13
웹싸이트 http://blog.naver.com/godleena?Redirect=Log&logNo=110019523221
박민선저 <농민과사회 (1998년)농촌사회(제9집)> p10
"환경과 생명" 통권 제23호(2000년 봄호)
추천자료
과학의 발달과 법과의 연계성: 유전자 변형 물질(GMO)
유전자조작농산물(GMO)
유전자 변형 생명체 GMO에대해
유전자 재조합 농산물(GMO)의 정의,현재사용실태 및 표시제도 실시현황, 안전성에 관한 본인...
유전자 변형작물(GMO) 이 우리에게 주는 장점과 단점
유전자변형농산물(GMO)
식이 섬유소, GMO에 대해서
유전자변형농산물(GMO)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_
생물학 기초 - GMO정의, 현황, 미래, 나의 생각
환경윤리 -GMO에 대하여
기아와 식량안보 (바이오연료, 농업혁명, 곡물과점, 식량안보정책, GMO : Genetically Modifi...
맥도날드(McDonald’s)가 집중적인 비난을 받게 된 이유 - 빅맥이 불러온 비극들, 환경단체의 ...
[유전공학遺傳工學] GMO, GMO 개념, GMO 현황, GMO 영향, GMO 미치는 영향, GMO 전망
[GMO 음식.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개념과 GMO 위해성, GMO 규제, GMO 과제, G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