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Ⅱ. 말레이시아의 바이오산업
Ⅲ. 중국의 바이오산업
1. 중국바이오칩시장이 세계 시장분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2. 향후 5년 예측비교
Ⅳ. 유럽연합(EU)의 바이오산업
1. 시장규모
2. 연구개발 투자현황
3. 특허취득현황
4. 벤처투자기금의 투자현황
Ⅴ. 미국의 바이오산업
1. 전략적 제휴의 증가
2. 대규모 제약회사들의 시장점유 동향
3. 바이오산업의 미국경제에 대한 기여도
Ⅵ. 한국의 바이오산업
1. 바이오산업 정책 추진 경과
2.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1) 기술경쟁력
2) 바이오산업 자원
3) 산업화 수준
참고문헌
Ⅱ. 말레이시아의 바이오산업
Ⅲ. 중국의 바이오산업
1. 중국바이오칩시장이 세계 시장분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2. 향후 5년 예측비교
Ⅳ. 유럽연합(EU)의 바이오산업
1. 시장규모
2. 연구개발 투자현황
3. 특허취득현황
4. 벤처투자기금의 투자현황
Ⅴ. 미국의 바이오산업
1. 전략적 제휴의 증가
2. 대규모 제약회사들의 시장점유 동향
3. 바이오산업의 미국경제에 대한 기여도
Ⅵ. 한국의 바이오산업
1. 바이오산업 정책 추진 경과
2.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1) 기술경쟁력
2) 바이오산업 자원
3) 산업화 수준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개발비로 인해 대부분의 회사들이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으나 한해만 470억불이라는 새로운 매출액을 기록했다. 그리고 다른 제품이나 산업과 비교해 볼 때 약품이나 바이오산업을 통해 창출된 고용은 가히 주목할 만 하다고 볼 수 있다. 약품과 관련한 고용창출이 약 270,000명, 순수 바이오 산업과 관련한 고용창출이 약 150,000명으로서 다른 산업 군에 비해 현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직접적인 기여부분에 더불어 바이오산업은 미국의 경제 활성화에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순수 바이오 회사와 관련한 관련 산업 및 회사들 예를 들면 의약기기 제조업체나 계약제 연구개발 전문업체 등 고용 및 수요창출면에서 꾸준한 증가를 보였다.
Ⅵ. 한국의 바이오산업
1. 바이오산업 정책 추진 경과
우리의 경우 선진국에 10여년 뒤진 80년대에 바이오산업 연구기반 구축에 착수하여, 산업화 초기단계로 진입
80년대 : 기술도입 및 연구개발기
유전공학연구조합 설립, 유전공학육성법 제정
유전자재조합기술 등 바이오분야 R&D 지원 시작
90년대 : 산업화 태동기
-생물산업협회 설립, 생명공학육성계획 수립
-바이오 벤처기업 등장(마크로젠)
대규모 지원사업이 착수되고 범정부적 지원 노력 시도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과기부), 중기거점 및 차세대 산업기술개발사업(산자부) 등
대통령 주재로 관계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바이오산업 발전방안 수립
- 바이오기술산업위원회 구성 등 추진체계 정비
-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제정
R&D와 산업화 인프라 조성에 역점
그러나, 그 동안의 민 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바이오산업 발전여건 및 경쟁력은 아직 취약한 실정
2.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1) 기술경쟁력
동식물 형질전환 기술, 발효공정, 분리정체기술 등은 선진국 수준이나, 전반적인 기술경쟁력은 세계 14위에 불과
기술경쟁력 순위 : ①미국 ②영국 ③일본 ④독일 ⑤프랑스 ⑬중국 ⑭한국
바이오분야 특허등록도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열위
2) 바이오산업 자원
정부 투자
2000년도부터 큰 폭으로 성장하여 4,500억원 수준
정부 전체 R&D예산대비 바이오분야 비중은 8% 수준
-바이오분야 비중 : 3.5% → 5% → 8%
-연평균 증가율 : 바이오분야 46.0%, 정부전체 R&D 19.4%
그러나, 총액규모는 미국 기업 1개 수준에도 못미침
-Amgen社 : 8.5억불/년, Genentech社 : 4.9억불/년
전문인력
현재 바이오산업분야 전문인력은 9,322명 수준
대학 5,224명, 기업 2,701명, 연구소 1,467명
첨단기술분야를 중심으로 수급면에서 질적 부균형이 심각
-유전체학단백질체학생물정보학 : 9,470명의 신규수요가 예상 되나 공급은 3,080명(수요의 33%)에 불과하여 6,390명 부족 예상
3) 산업화 수준
시장규모
전통기술의 신기술 대체, 신기술 제품의 증가로 국내 바이오산업은 급속히 확대되어 약 9,000억원 수준으로 성장
바이오벤처기업
벤처 열풍, 정부지원 확대 등으로 바이오벤처창업이 급증하여 작년말기준 약 600개로 추정
-벤처 확인 기업은 400여개로 전체의 3.5% 수준
참고문헌
김의락, 바이오센서, 한국생물공학회지 제15권 제5호
매일경제신문사&삼성경제연구소(2000.6), 바이오 혁명의 파장과 벤처생태계의 현황
신시아 기버스, 퍼 잼벡 지음(2002), 이정근 오석준 옮김, 바이오인포매틱스, 한빛미디어
지성사, 바이오농업은 제2의 녹색혁명인가
최윤희 외(2002), 바이오벤처기업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 산업연구원 용역보고서
황효성 외, 진단 및 치료에서의 바이오칩(Biochip) 연구 동향, 인구의학연구논집 제17권
Ⅵ. 한국의 바이오산업
1. 바이오산업 정책 추진 경과
우리의 경우 선진국에 10여년 뒤진 80년대에 바이오산업 연구기반 구축에 착수하여, 산업화 초기단계로 진입
80년대 : 기술도입 및 연구개발기
유전공학연구조합 설립, 유전공학육성법 제정
유전자재조합기술 등 바이오분야 R&D 지원 시작
90년대 : 산업화 태동기
-생물산업협회 설립, 생명공학육성계획 수립
-바이오 벤처기업 등장(마크로젠)
대규모 지원사업이 착수되고 범정부적 지원 노력 시도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과기부), 중기거점 및 차세대 산업기술개발사업(산자부) 등
대통령 주재로 관계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바이오산업 발전방안 수립
- 바이오기술산업위원회 구성 등 추진체계 정비
-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제정
R&D와 산업화 인프라 조성에 역점
그러나, 그 동안의 민 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바이오산업 발전여건 및 경쟁력은 아직 취약한 실정
2.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1) 기술경쟁력
동식물 형질전환 기술, 발효공정, 분리정체기술 등은 선진국 수준이나, 전반적인 기술경쟁력은 세계 14위에 불과
기술경쟁력 순위 : ①미국 ②영국 ③일본 ④독일 ⑤프랑스 ⑬중국 ⑭한국
바이오분야 특허등록도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열위
2) 바이오산업 자원
정부 투자
2000년도부터 큰 폭으로 성장하여 4,500억원 수준
정부 전체 R&D예산대비 바이오분야 비중은 8% 수준
-바이오분야 비중 : 3.5% → 5% → 8%
-연평균 증가율 : 바이오분야 46.0%, 정부전체 R&D 19.4%
그러나, 총액규모는 미국 기업 1개 수준에도 못미침
-Amgen社 : 8.5억불/년, Genentech社 : 4.9억불/년
전문인력
현재 바이오산업분야 전문인력은 9,322명 수준
대학 5,224명, 기업 2,701명, 연구소 1,467명
첨단기술분야를 중심으로 수급면에서 질적 부균형이 심각
-유전체학단백질체학생물정보학 : 9,470명의 신규수요가 예상 되나 공급은 3,080명(수요의 33%)에 불과하여 6,390명 부족 예상
3) 산업화 수준
시장규모
전통기술의 신기술 대체, 신기술 제품의 증가로 국내 바이오산업은 급속히 확대되어 약 9,000억원 수준으로 성장
바이오벤처기업
벤처 열풍, 정부지원 확대 등으로 바이오벤처창업이 급증하여 작년말기준 약 600개로 추정
-벤처 확인 기업은 400여개로 전체의 3.5% 수준
참고문헌
김의락, 바이오센서, 한국생물공학회지 제15권 제5호
매일경제신문사&삼성경제연구소(2000.6), 바이오 혁명의 파장과 벤처생태계의 현황
신시아 기버스, 퍼 잼벡 지음(2002), 이정근 오석준 옮김, 바이오인포매틱스, 한빛미디어
지성사, 바이오농업은 제2의 녹색혁명인가
최윤희 외(2002), 바이오벤처기업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 산업연구원 용역보고서
황효성 외, 진단 및 치료에서의 바이오칩(Biochip) 연구 동향, 인구의학연구논집 제17권
추천자료
산업클러스터 정책동향과 분석모형
우리나라 바이오클러스터의 유형별 사례분석 및 발전방안
바이오매스 자원의 현황 파악 및 기술 방안
[전북]전북지역(전라북도)의 도시, 전북지역(전라북도)의 대표음식과 영웅설화, 전북지역(전...
우리나라 산업조직정책에 대하여
[구조주의][탈구조주의]구조주의의 정의, 구조주의의 조건, 구조주의의 비평, 구조주의와 탈...
바이오인포매틱스(생물정보학)의 개념, 바이오인포매틱스(생물정보학)의 정보과학적 기법, 바...
[바이오클러스터][미국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 사례][바이오]바이오클러스터의 특성, 바이오...
바이오기술(바이오테크)의 영향, 바이오기술(바이오테크)과 나노바이오기술, 바이오기술(바이...
[바이오클러스터][영국의 바이오클러스터 성공 사례][바이오클러스터의 과제]바이오클러스터...
바이오 디젤 및 바이오 에너지에 관해 총망라한 졸업논문
[바이오벤처기업][바이오][벤처기업][벤처][기업][밸리조성][사업계획서][특허전략]바이오벤...
새경제지리학 측면에서 본 산업조정정책의 중요성 (신고전학파 무역이론, 대체적 무역이론, ...
[산업정책론] 워렌 버핏의 가치투자 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