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asp의 종류
1.Adams clasp
- 장,단점
- 제작과정
2.C-clasp(Circumferential clasp)
- 장,단점
- 제작과정
※Veriation of Adams clasp
※Adams clasp 제작시 흔히 발생되는 실수
3.Jackson clasp
- 장,단점
4.Crozat clasp (Sage clasp)
- 장,단점
5.Arrowhead clasp
- 장,단점
6.Loop clasp
- 장,단점
7.Moyer clasp
- 장,단점
8.Ball clasp
- 장,단점
9.Visick clasp
- 장,단점
10.Duyzing clasp
- 장,단점
11.Eyelet clasp
- 장,단점
- 제작과정
12.Roach clasp
- 장,단점
13.Triangular clasp
- 장,단점
14.Arrow pin clasp
- 장,단점
15.Southend clasp
- 장,단점
1.Adams clasp
- 장,단점
- 제작과정
2.C-clasp(Circumferential clasp)
- 장,단점
- 제작과정
※Veriation of Adams clasp
※Adams clasp 제작시 흔히 발생되는 실수
3.Jackson clasp
- 장,단점
4.Crozat clasp (Sage clasp)
- 장,단점
5.Arrowhead clasp
- 장,단점
6.Loop clasp
- 장,단점
7.Moyer clasp
- 장,단점
8.Ball clasp
- 장,단점
9.Visick clasp
- 장,단점
10.Duyzing clasp
- 장,단점
11.Eyelet clasp
- 장,단점
- 제작과정
12.Roach clasp
- 장,단점
13.Triangular clasp
- 장,단점
14.Arrow pin clasp
- 장,단점
15.Southend clasp
- 장,단점
본문내용
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clasp의 반쪽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Clasp의 두 끝이 근원심부의 judercut 내에서 유지력을 발휘한다. Single tooth에 적용한다.
11.Eyelet clasp
이 clasp는 협측 치아군을 이용하면서도 비교적 쉽게 제작하는 것으로 날카로운 굴곡없이 제작되므로, 탄성이 강한 wir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쉽게 파절되지 않는다. 또한 Sharp bend 없이 만들어지고 치은조직에서 충분히 떨어져 있으므로, wire가 변형되더라도 점막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0.7mm와이어로 주로 제작된다.
-제작과정
①Young's plier의 가장작은 round beak 을 이용하요 helix를 형성한다.
②형성된 helix를 interproximal area에 위치시킨다.
③치아의 marginal ridge livel에서 marking하고 이 부위에서 예각으로 bending 한다.
④나머지 처리과정은 Adams clasp와 동일하다.
12.Roach clasp
보통 0.7mm, 0.8mm wire를 사용하며, 형태는 국소의치의 roach clasp와 비슷하다. 소구치 부위에 부수적인 유지력을 얻기위해 제작하며 교합면을 지나지 않으므로 교합장애가 없다. Labial bow 에 clasp를 납착(soldering)하여 제작한다.
13.Triangular clasp
치은부에 손상이 적으며 유지력도 우수하다. 유지는 인접치아 접촉점 하방의 치간사이의 공간에서 얻는다. 구조가 간단하므로 clasp의 변형시 수리가 용의하다.
14.Arrow pin clasp
Loop, ball clasp와 유사하며, approximal contact에 적용된다. Clasp의 끝 부위를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 유지력을 발휘하게 한다.
15.Southend clasp
상악 전치부에 있어서 Adams clasp가 별로 만족스럽지 못하다.k 대게 구치부에서와 비슷한 위치로 만들어지는데, 이경우 undercut이 너무 크게된다. 따라서 clasp가 model에서 제거될 처음당시에는 치아로 부터 떨어져있다. 그런 경우에 있어서 비록 정확하게 제작되어도 환자가 교육내용과는 달리 전치부 브릿지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서 빼려고 하게 되며, 이는 곧 변형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정이 빈번해지게 되면 조기파절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shouthend clasp를 사용한다. 0.7mm 사용.
Clasp의 두 끝이 근원심부의 judercut 내에서 유지력을 발휘한다. Single tooth에 적용한다.
11.Eyelet clasp
이 clasp는 협측 치아군을 이용하면서도 비교적 쉽게 제작하는 것으로 날카로운 굴곡없이 제작되므로, 탄성이 강한 wir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쉽게 파절되지 않는다. 또한 Sharp bend 없이 만들어지고 치은조직에서 충분히 떨어져 있으므로, wire가 변형되더라도 점막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0.7mm와이어로 주로 제작된다.
-제작과정
①Young's plier의 가장작은 round beak 을 이용하요 helix를 형성한다.
②형성된 helix를 interproximal area에 위치시킨다.
③치아의 marginal ridge livel에서 marking하고 이 부위에서 예각으로 bending 한다.
④나머지 처리과정은 Adams clasp와 동일하다.
12.Roach clasp
보통 0.7mm, 0.8mm wire를 사용하며, 형태는 국소의치의 roach clasp와 비슷하다. 소구치 부위에 부수적인 유지력을 얻기위해 제작하며 교합면을 지나지 않으므로 교합장애가 없다. Labial bow 에 clasp를 납착(soldering)하여 제작한다.
13.Triangular clasp
치은부에 손상이 적으며 유지력도 우수하다. 유지는 인접치아 접촉점 하방의 치간사이의 공간에서 얻는다. 구조가 간단하므로 clasp의 변형시 수리가 용의하다.
14.Arrow pin clasp
Loop, ball clasp와 유사하며, approximal contact에 적용된다. Clasp의 끝 부위를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 유지력을 발휘하게 한다.
15.Southend clasp
상악 전치부에 있어서 Adams clasp가 별로 만족스럽지 못하다.k 대게 구치부에서와 비슷한 위치로 만들어지는데, 이경우 undercut이 너무 크게된다. 따라서 clasp가 model에서 제거될 처음당시에는 치아로 부터 떨어져있다. 그런 경우에 있어서 비록 정확하게 제작되어도 환자가 교육내용과는 달리 전치부 브릿지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서 빼려고 하게 되며, 이는 곧 변형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정이 빈번해지게 되면 조기파절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shouthend clasp를 사용한다. 0.7mm 사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