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 마케팅과 버즈 마케팅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체험 마케팅
◉체험 마케팅이란?
◉체험 경제란?
◉체험의 중요성을 마케팅 차원에서 부각
◉체험 마케팅의 기수 “스타벅스”
◉슈미트의 “체험마케팅에 두가지 틀”
1.체험도구(Expros)
2.전략적 체험토대(SEMs)
3.체험분석틀
◉CEM
☀전천후 경영 전략, CEM

버즈 마케팅
◉ 버즈마케팅이란?
◉ 버즈마케팅 주요 관리지침
1)버즈의 확산 속도가 촉진되어야 한다.
☀ 네트위크 외부성
2) hub의 확인과 철저한 관리가 중시된다.
☀ 허브의 사전적의미

본문내용

점이다. 이렇듯 대부분의 인터넷 사업에서 이러한 직간접적인 네트워크 효과가 나타난다. 즉, 어떤 사업이 확보한 고객이나 파트너가 많을수록, 그 사업에 참여하는 고객과 파트너가 많아지는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각 사업자는 어느 정도 규모(Critical Mass)의 고객을 신속하게 확보하는 것과, 확보한 고객을 기반으로 자신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실상의 표준(defacto standard)으로 만드는 것이 사업의 중요한 관건이 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효과가 나타나는 산업에서는 초기에 침투가격 정책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초기의 고객을 신속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료로 제품을 공급하거나 심지어는 대규모의 마케팅 비용을 들여서라도 고객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네트워크 효과의 구체적인 사례로는 악대차효과(band wagon effect : 밴드웨건 효과)와 속물효과(snob effect)가 있다. 악대차 효과는 유행에 따라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현상를 말한다. 이러한 현상을 기업에서는 충동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활동으로 활용하고, 정치계에서는 특정 유력 후보를 위한 선전용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속물효과는 어떤 물건에 대해 수요하는 배경에 남들이 사지 못하고 자기만 살 수 있다는 심리를 반영하는 것으로 어떤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의 숫자가 더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결과가 나타나는데, 자기를 위시한 몇 사람만 그것을 살 수 있다는 속물적 욕구를 충족시키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어떤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그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효과를 가리켜 속물 효과라고 한다.
2) hub의 확인과 철저한 관리가 중시된다.
hub는 꼭 최전방에 나가 있는 인물이 아니므로 마케터들은 그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해내야 하는데, hub의 종류에는 연예인처럼 매체를 통하여 미치는 영향력이 거대한 hub인 메가 hub도 있다. 또한 특정 분야에 대해서 아주 깊이 있는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전문 hub도 있다. 그리고 네트위크에서 가장 많은 사람의 신뢰와 호의를 얻고 있는 hub가 있다.
hub를 확인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사안이 그들에 대한 포상이다. 즉 양적 또는 질적 차원에서 그들의 선도 역할에 대한 기업의 배려가 있어야만 hub와 좋은 관계 유지가 가능하다. hub들은 일반적으로 조기수용자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들에게 신상품의 첫 사용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일반 네크위크 일원보다 전문성이 높은 편이기는 하지만 신상품에 대한 이해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그들이 남들에게 정확한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도록 상품정보는 물론 전문가의 객관적인 상품평가 자료도 제공해야 한다.
허브의 사전적의미
1 (차륜의) 바퀴살이 모인 부분, 바퀴통(nave);(선풍기 날개가 달린) 축
2 (활동의) 중심, 중추, 중핵(center)
3 (고리 던지기의) 표적
4【컴퓨터】 허브 《몇 개의 장치가 접속된 장치》
5 [the Hub] 미국 보스턴 시의 별칭 《the hub of the universe의 뜻에서》
3) 필요에 따라 기업은 적극적인 ‘씨앗 심기’전략을 펼쳐야 한다.
씨앗심기는 버즈를 대대적으로 출범시키는 행위는 뜻한다.
4) 일반적으로 버즈 전략에서는 광고를 하는 것은 금물이다. 버즈의 주체는 사람이지만 이에 반해 광고의 주체는 기업이다. 이처럼 광고와 버즈의 근원적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받아들이는 효과도 다를 수밖에 없다. 즉 버즈는 신뢰를 바탕으로 하지만, 광고는 그 바탕이 바로 불신이 수 있다. 때문에 버즈 전략을 펼치는 상황에서는 광고는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0.0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