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어의 어휘 형태적 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전문어의 개념과 특성
1.전문어란 무엇인가?
2. 전문어의 특성

Ⅲ. 전문어 형성의 방법과 특성

Ⅳ. 전문 분야별 용어의 어휘 형태적 특성
1. 사회과학 분야 용어 : 분야별 전문어간의 경계
2. 경제학 : 현대사회 전문어의 여러 양상
3. 언어학 : 기호, 문법 형태소
4. 철학 : 학술적 외래어, 차용어
5. 수학 : 1음절 자립어와 효율적 분석 단위
6. 컴퓨터 : 어휘 투명성과 개념 관계성
7.수공업과 수산업 : 한자어와 고유어의 공존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on) : 경제
풀다운^메뉴(pull-down menu) : 컴퓨터
싯다운^스트라이크(sit-down strike) : 사회
이러한 형태의 용어들은 의미에 맞게 우리말로 바꾸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유입되어 발음 나는 대로 표현하여 쓰이고 있는 형태이다. 전문어에서는 이러한 외래어의 음차식 표현의 비중이 크다. 이것은 의미에 맞는 우리말로 바꾸려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또 딱 맞는 말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경제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전문어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우리말로 순화하는 과정은 오히려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것이다.
5. 수학 : 1음절 자립어와 효율적 분석 단위
수학용어에는 1음절 용어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이들은 다른 용어나 조어단위와 결합하여 또 다른 용어를 형성하는 경우 붙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角), 뿔, 수(數), 모, 면(麵), ……
6. 컴퓨터 : 어휘 투명성과 개념 관계성
컴퓨터용어는 음차식 외래어가 매우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말로 번역이 되거나 조어된 것이 있다고 할지라도 해석적 구문의 형태이거나 불완전한 상태이기 때문에 차라리 외래어를 그대로 음차 하는 쉬운 방식을 취하는 것이다. 이를 테면, ‘KWIC(Keyword In Context)’'에 대해 ‘문맥이 붙어 있는 키워드’, ‘오프라인(offline)'에 대해 ’따로잇기‘라는 용어를 쓰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일반인들이 컴퓨터 용어에 대해 참조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컴퓨터 용어 사전에는 ‘표준대국어사전’보다 훨씬 많은 음차식 외래어가 있으며, 아예 표제어도 영어인 것이 대부분이다.
7.수공업과 수산업 : 한자어와 고유어의 공존
수공업과 수산업 분야의 용어는 다른 분야의 용어가 주로 학술적인 용어임에 비해 무엇보다 직업과 관련되어 있음을 이름에서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전문어는 한자어와 외래어의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고유어가 용어 형성의 자원으로 이용된 경우가 매우 적지만, 수공업과 수산업 용어는 다른 분야의 용어들에 비해 고유어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수학 용어나 언어학 용어에서도 고유어 용언이 쓰이고 있지만 수공업, 수산업에 비해서는 적은 편이다.
수산업 용어 : 갈고리­낚시, 겉­그물, 고기잡이불, 그물­뜨기, 깔­주낙, 꽁댕이­배, 끌­그물, 나뭇가지식 양식법, 당김­그물, 돋움­줄, ……
수공업 용어 : 가로뜨기­단, 감아­마무름, 감아­시침, 걸쳐­뜨기, 겹고무뜨개, 고치^고르기, 고치^삶기, ……
이처럼 수공업과 수산업 분야에서 쓰이는 전문어들은 다른 분야들의 어휘들에 비해 고유어가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오래 전부터 발달해왔던 분야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경제나 의학, 컴퓨터 분야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자리매김해 온 분야가 아니라 근대부터 외국에서 유입된 부분들이 많은 분야들이다. 즉,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자리 잡은 분야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들에 관련된 용어들은 당연히 외국에서 생겨난 것들이고 다른 나라들의 언어와 우리나라의 언어는 같을 수 없기에 여기에 대응하는 우리나라 말을 찾기가 힘든 것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전문어의 개념과 특성, 전문어 형성의 방법과 특성, 그리고 각 분야별 전문어들의 어휘 형태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문어란, 특정 분야와 관련한 의미적 특수성을 가지고, 그 의미적 특수성, 개념 세분화, 표현의 경제성 등을 갖기 위해 어휘 결합이나 어휘 조작을 이루며, 어느 정도 관습화된 표현의 형태를 갖는 개념 표현의 단위이다. 또한 이러한 전문어는 일반어의 하위어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명백한 경계를 가지기보다는 서로 간의 경계가 모호한 부분이 많다.
전문어의 형성의 방법에는 단일어, 파생어, 합성어, 구 용어, 어휘 조작, 외래어의 차용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형성 방법으로 전문어는 끊임없이 팽창하고 있다. 학문과 과학 기술의 발달로 그에 부응하는 새로운 단어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어의 팽창에 따른 문제는 외국으로부터 끊임없이 대량으로 유입되고 있는 전문어들에 대한 정리, 순화의 문제이다. 전문어 형성의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은 아마 외래어의 차용일 것이다. 새로운 개념, 단어의 발생은 대부분 외국에서 일어나고 우리나라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전문어들은 소량으로 조금씩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대량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어휘 하나하나를 순화하기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든다. 고도의 전문적 개념이 담겨 있는 술어를 국어로 번역한다는 일 자체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어휘 자체가 담고 있는 의미를 그대로 담아낼 수 있는 우리말을 찾기는 힘들다. 전문어를 쓰는 전문가들 또한 외국어로 된 술어를 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하는 일을 번거롭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문어의 순화 문제는 더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이 있다고 해서 외국에서 들어오는 어휘 그대로를 음차 하여 쓴다면 국어의 위상은 수많은 외래어에 밀려 한층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것이 외래어 그대로 쓰이고 있는 전문어를 국어로 바꾸어야 하는 이유 중에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이제는 기능적인 측면의 관심에서 벗어나서 그것을 우리말로 바꾸고자 하는 노력이 전문가, 언어학자, 나아가 많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때이다.
*참고문헌
전희영, 「전문어의 단어 형성 연구 : 경제어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조은경, 「전문용어의 어휘형태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목차
Ⅰ. 서론
Ⅱ. 전문어의 개념과 특성
1.전문어란 무엇인가?
2. 전문어의 특성
Ⅲ. 전문어 형성의 방법과 특성
Ⅳ. 전문 분야별 용어의 어휘 형태적 특성
1. 사회과학 분야 용어 : 분야별 전문어간의 경계
2. 경제학 : 현대사회 전문어의 여러 양상
3. 언어학 : 기호, 문법 형태소
4. 철학 : 학술적 외래어, 차용어
5. 수학 : 1음절 자립어와 효율적 분석 단위
6. 컴퓨터 : 어휘 투명성과 개념 관계성
7.수공업과 수산업 : 한자어와 고유어의 공존
Ⅴ. 결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0.1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