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성 채집 (종류를 알아보기 위해서)
2. 정량 채집
3. 보존과 고정
4. 정성분석 - 현미경 관찰. 전자 현미경 작업. 생체시료 관찰 - 동정과 분류
5. 슬라이드 제작법
6. 정량 클로로필분석
7. 현미경 계수법 (direct microscopic count)
2. 정량 채집
3. 보존과 고정
4. 정성분석 - 현미경 관찰. 전자 현미경 작업. 생체시료 관찰 - 동정과 분류
5. 슬라이드 제작법
6. 정량 클로로필분석
7. 현미경 계수법 (direct microscopic count)
본문내용
법 (direct microscopic count)
현미경을 통해 플랑크톤의 수를 헤아리는 방법으로 일정량의 시료를 slide glass에 건조 고정하거나 액체상태의 시료를 직접 검경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특별한 계측기(counting chamber)를 사용하여 일정량의 소량 액체시료에 존재하는 플랑크톤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세포를 잘 볼 수 있도록 균을 염색하기도 한다. 균수를 신속히 측정할 수 있으며 많은 재료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도 있다. 죽은 플랑크톤과 살아있는 플랑크톤의 구별이 불가능하고, 아주 작은 세포는 현미경으로도 보기가 힘들므로 일부의 플랑크톤을 측정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정밀도가 떨어지고, 개체수가 적은 시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현미경을 통해 플랑크톤의 수를 헤아리는 방법으로 일정량의 시료를 slide glass에 건조 고정하거나 액체상태의 시료를 직접 검경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특별한 계측기(counting chamber)를 사용하여 일정량의 소량 액체시료에 존재하는 플랑크톤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세포를 잘 볼 수 있도록 균을 염색하기도 한다. 균수를 신속히 측정할 수 있으며 많은 재료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도 있다. 죽은 플랑크톤과 살아있는 플랑크톤의 구별이 불가능하고, 아주 작은 세포는 현미경으로도 보기가 힘들므로 일부의 플랑크톤을 측정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정밀도가 떨어지고, 개체수가 적은 시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추천자료
전략적기업관리_SEM
흡수 분광 광도법
계층분석과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이해와 적용
감성공학
수의 독성학 실습 보고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엽록체 색소의 분리
고분자의 시차주사열량법(DSC)
특수의사결정의 의의와 특수의사결정의 예 5가지사항에 대하여 서술하시고, 관련원가라 함은 ...
이원계 합금의 제조 및 분석
기기 분석 및 실험 ICP
특수의사결정의 의의와 특수의사결정의 예 5가지사항에 대하여 서술하시고, 관련원가라 함은 ...
[화학실험] 크로마토그래피 (Chomatography) : 정상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색소의 분...
생화학A+)액체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를 통한 색소 추출
흡광도를 이용한 평형상수의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