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아톤 을통한 재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1. “말아톤” 줄거리
2. 영화에서 보여지는 자폐
3. 행복으로 가는 재활의 관점에서 바라본 말아톤
1) 긍정적 사고
2) 재활의 원점
3) 재활의 원칙
4) 직장개척과 직업복귀
5) 마음의 회복을 위한 작은 힌트

III. 결론

본문내용

음으로 교류를 시작했음을 알려준다.
결국 경숙의 만류에도 마라톤 풀코스에 참가한 초원은 드넓은 초원을 가로지르는 얼룩말처럼 자유의 바람을 가르며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한다. 정상인도 하기 힘들다는 서브 쓰리(마라톤 풀코스를 3시간 안에 완주하는 것)를 달성하면서 말이다. 그리고 그런 초원의 머리 위로 새하얀 빗줄기가 떨어진다. 어린시절 경숙이 그렇게 가르쳐주고 싶어 하던 '비'에 대한 감각을 초원은 그제 서야 깨닫게 된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삶의 기쁨이란 것이 다른 사람이 억지로 가르쳐주어서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집착에서 벗어나 스스로 찾아야하는 것임을 알게 된다. 때문에 초원이 카메라를 향해 짓는 작은 미소가 그렇게 아름다울 수 없는 것은 그것이 삶의 참다운 기쁨을 느낀 사람의 미소이기 때문이다.
재활은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가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라고 이야기 해주는 책처럼 자신이 지금껏 노력해 온 과정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자신의 행동이나 삶의 모습에 만족하며 감추어져 있던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는 것 또한 중요한 나의 삶에 대한 태도가 되는 것이다. 사람은 때때로 무엇인가에 따라 고통을 받기 마련이고 인간관계에서 고통스러운 좌절감을 체험하기 마련이다. 좌절은 자기 인생에 주어진 도전을 다시 한번 재기할 수 있는 가장 큰 힘을 발휘하게 하고 밝게 웃으며 앞으로 전진하게 하는 나의 미래가 되는 것이다.
III. 결론
영화의 주인공인 윤초원이 가진 장애는 “자폐”이다. 자폐란 장애는 겉으로 보기에는 다른 사람과 같이 보인다. 자폐를 가진 초원이의 삶을 통해 장애인들의 삶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었다. 초원이 때문에 웃고 울기도 하면서 영화를 보았다. 너무나도 순수한 초원이의 모습을 보면서 또한 그 순수한 의지와 목표를 행한 열정,,, 이 모든 것이 비장애인인 우리의 모습보다 훨씬 나아보였다. 그런 초원이를 보면서 나의 모습들이 어찌나 부끄럽던지…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장애인에 대해 그렇게 관대하지 못하다. 장애를 무슨 전염병과 같이 생각하고 장애인을 돕기보다는 실눈으로 장애인들의 모습을 보면서 옆으로 지나쳐 걸어 나갈 뿐이다. 나 역시 그런 모습이었다. 그러나 영화를 통해 이들은 세상의 어느 누구보다 깨끗하고 순수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동정의 눈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함께 살아간다는 생각을 가지고 장애인들과 지냈으면 하는 바램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0.13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