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사정 자료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 문제점 파악
3) 가계도
4) 가족 친밀도
5) 외부체계도
2. 대상자의 강점
3. 우선순위 결정
4. 간호계획
- 건강관리 결여
- 사회적 고립
- 운동 장애
- 낙상 위험성
5. 평가계획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 문제점 파악
3) 가계도
4) 가족 친밀도
5) 외부체계도
2. 대상자의 강점
3. 우선순위 결정
4. 간호계획
- 건강관리 결여
- 사회적 고립
- 운동 장애
- 낙상 위험성
5. 평가계획
본문내용
양치질을 소홀히 함으로써 치아에 문제가 생기면 고칠 수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교육한다.
매일 최소 30분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운동의 이점을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 집에서도 간단히 할 수 있는 운동을 가르쳐준다.
- 대상자의 능력에 맞는 운동을 교육하고 시범을 보여준다.
의료기관에 다니면서 관절염을 치료받는다.
- 보건소나 주변 의료기관과 연계해준다.
- 대상자가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알아봐준다.
하루 흡연량을 줄이거나 담배를 끊는다.
- 보건소에 있는 금연 클리닉을 소개해준다.
- 흡연을 함으로써 질환이 더 악화될 수 있음을 교육한다.
진단 : 사회적 고립
근거 자료
양씨가 요즘 부쩍 외롭다고 했다.
신체의 질병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해 외출을 거의 하지 않는다.
지지체계가 결여되어있다.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낸다.
목표
주 3회 이상 외출을 하여 사람들을 만날 것이다.
구체적 목표
옆집에 놀러 갈 수 있다.
주변 친구를 3명 이상 만들 것이다.
여가활동을 즐길 것이다.
계획 및 수행
옆집에 놀러 갈 수 있다.
- 집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칭 등을 알려주어 신체 기동성의 불편감을 점차 줄여주어 움직임이 점차 많아지게 한다.
주변 친구를 3명 이상 만들 것 이다.
- 집 근처의 양로원이나 경로당 등을 소개시켜주어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한다.
지지체계가 결여되어있다.
- 딸에게 연락을 해서 정기적인 만남을 주선한다.
- 자원봉사자와 연계시켜 주거나 방문간호사의 정기적인 방문을 통해 양씨에게 새로운 지지체계를 발굴한다.
여가활동을 즐길 것이다.
- 금오동 동사무소와 연계해주어 동사무소에서 모임 등을 소개해 주 어 대상자가 흥미를 느끼고 취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6 -
- 7 -
진단 : 운동 장애
근거 자료
요통과 관절염으로 인한 동통으로 움직이기 힘들다고 했다.
가정방문을 갔을 때 문을 열어주러 나오는 시간이 오래 걸렸다.
앉고 일어설 때 동작이 느렸고 힘들어보였다.
방이 지저분하고 설거지가 쌓여있었다.
목표
현재는 대문 밖으로 나가지 못하나 6개월 뒤에는 혼자 500m앞에 있 는 슈퍼에서 물건을 사 올 수 있다.
구체적 목표
요통과 관절염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물리치료를 받게 한다.
집안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한다.
계획 및 수행
요통과 관절염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
- 주변 병원과 연계해준다.
-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집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대체요법(온찜질 등)을 가르쳐준다.
- 요통을 감소시키기 위한 올바른 자세 등을 교육한다.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물리치료를 받게 한다.
- 동사무소 등에 연계하여 대상자가 혼자 병원에 다닐 수 있을 때 까 지 보행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병원에 간다.
집안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한다.
- 집이 더러움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사고와 질병에 대해 교육한다.
- 8 -
진단 : 낙상 위험성
근거 자료
낙상 과거력이 있다.
양씨의 나이는 79세 이다.
양씨는 독거노인이다.
현재 관절염을 앓고 있다.
집이 습하고 어수선하다.
1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의 폭이 좁고 높다.
목표
낙상으로 인한 상해를 입지 않는다.
구체적 목표
관절염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다.
쾌적한 집안 환경을 유지한다.
계획 및 수행
관절염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다.
- 질병 치료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 중요성을 인식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주변 병원에 연계해준 다.
쾌적한 집안 환경을 유지한다.
- 쾌적하지 않은 집안 환경으로 인해 낙상의 위험성이 증가된다는 것 을 알려준다.
- 양씨의 활동량을 증진시켜 집 청소를 하여 집을 깨끗하게 유지해 낙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 주변 사회복지 시설의 자원봉사자 등을 알아보고 연계해주어 양씨 의 집에 정기적으로 자원봉사자들이 방문하여 청소를 해 줄 수 있 도록 한다.
- 9 -
5. 평가계획
건강관리 결여
환자의 BMI수치를 확인해 더 떨어졌는지, 증가했는지 확인한다.
환자가 병원에 다니면서 관절염 치료를 받고 있는지 확인한다.
담배를 끊었는지, 끊지 않았다면 하루에 얼마나 피는지 확인한다.
하루하루 식사 일지를 제대로 쓰고 있는 지 확인한다.
보건소와 연계되어 관절염을 치료받고 있는지 확인한다.
흡연을 함으로써 오게 되는 신체적 변화 등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말하게 한다.
사회적 고립
지지체계가 몇 명이나 더 생겼는지 확인한다.
딸과 얼마나 자주 연락을 하는지, 자원봉사자나 이웃과의 교류가 일주 일에 몇 번이나 되는지 물어본다.
대상자가 어떤 여가 활동을 즐기고 있는 지 확인해 보고 그 후에 기분 변화가 어떤지 물어본다.
우울증 척도 도구로 대상자의 우울증을 평가해 본다.
운동장애
양씨가 혼자 외출을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현재 병원을 다니면서 치료를 받고 있는지 확인한다.
ROM을 얼마나 할 수 있는지 각도를 재서 평가한다.
방문간호 시행 시 집안 환경이 얼마나 정돈되었는지, 집안일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가한다.
낙상 위험성
집의 환경이 전보다 깨끗해 졌는지 확인한다.
자원봉사자들이 양씨의 집에 얼마나 자주 방문하는지 확인한다.
대상자에게 인계해 준 병원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지 확인한다.
쾌적하지 않은 집안 환경으로 인해 호흡기 문제나 위생상태가 불량해 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대상자가 말을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대상자 중심의 지역사회 간호학, 김모임 조원정 김의숙 정영숙 강혜영 이정렬 공저, 현문사
가정간호 지침서(1996년), 대한간호협회 서울시지부 편찬, 현문사
알기 쉬운 간호과정(1995년), 이경혜 저, 신광출판사
가정 간호 총론김조자 강규숙 이혜원 전춘영 서혜미 허혜경 백희정 공저, 현문사
- 10 -
목차
1. 가족사정 자료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 문제점 파악
3) 가계도
4) 가족 친밀도
5) 외부체계도
2. 대상자의 강점
3. 우선순위 결정
4. 간호계획
- 건강관리 결여
- 사회적 고립
- 운동 장애
- 낙상 위험성
5. 평가계획
-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교육한다.
매일 최소 30분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운동의 이점을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 집에서도 간단히 할 수 있는 운동을 가르쳐준다.
- 대상자의 능력에 맞는 운동을 교육하고 시범을 보여준다.
의료기관에 다니면서 관절염을 치료받는다.
- 보건소나 주변 의료기관과 연계해준다.
- 대상자가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알아봐준다.
하루 흡연량을 줄이거나 담배를 끊는다.
- 보건소에 있는 금연 클리닉을 소개해준다.
- 흡연을 함으로써 질환이 더 악화될 수 있음을 교육한다.
진단 : 사회적 고립
근거 자료
양씨가 요즘 부쩍 외롭다고 했다.
신체의 질병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해 외출을 거의 하지 않는다.
지지체계가 결여되어있다.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낸다.
목표
주 3회 이상 외출을 하여 사람들을 만날 것이다.
구체적 목표
옆집에 놀러 갈 수 있다.
주변 친구를 3명 이상 만들 것이다.
여가활동을 즐길 것이다.
계획 및 수행
옆집에 놀러 갈 수 있다.
- 집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칭 등을 알려주어 신체 기동성의 불편감을 점차 줄여주어 움직임이 점차 많아지게 한다.
주변 친구를 3명 이상 만들 것 이다.
- 집 근처의 양로원이나 경로당 등을 소개시켜주어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한다.
지지체계가 결여되어있다.
- 딸에게 연락을 해서 정기적인 만남을 주선한다.
- 자원봉사자와 연계시켜 주거나 방문간호사의 정기적인 방문을 통해 양씨에게 새로운 지지체계를 발굴한다.
여가활동을 즐길 것이다.
- 금오동 동사무소와 연계해주어 동사무소에서 모임 등을 소개해 주 어 대상자가 흥미를 느끼고 취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6 -
- 7 -
진단 : 운동 장애
근거 자료
요통과 관절염으로 인한 동통으로 움직이기 힘들다고 했다.
가정방문을 갔을 때 문을 열어주러 나오는 시간이 오래 걸렸다.
앉고 일어설 때 동작이 느렸고 힘들어보였다.
방이 지저분하고 설거지가 쌓여있었다.
목표
현재는 대문 밖으로 나가지 못하나 6개월 뒤에는 혼자 500m앞에 있 는 슈퍼에서 물건을 사 올 수 있다.
구체적 목표
요통과 관절염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물리치료를 받게 한다.
집안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한다.
계획 및 수행
요통과 관절염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
- 주변 병원과 연계해준다.
-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집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대체요법(온찜질 등)을 가르쳐준다.
- 요통을 감소시키기 위한 올바른 자세 등을 교육한다.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물리치료를 받게 한다.
- 동사무소 등에 연계하여 대상자가 혼자 병원에 다닐 수 있을 때 까 지 보행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병원에 간다.
집안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한다.
- 집이 더러움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사고와 질병에 대해 교육한다.
- 8 -
진단 : 낙상 위험성
근거 자료
낙상 과거력이 있다.
양씨의 나이는 79세 이다.
양씨는 독거노인이다.
현재 관절염을 앓고 있다.
집이 습하고 어수선하다.
1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의 폭이 좁고 높다.
목표
낙상으로 인한 상해를 입지 않는다.
구체적 목표
관절염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다.
쾌적한 집안 환경을 유지한다.
계획 및 수행
관절염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다.
- 질병 치료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 중요성을 인식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주변 병원에 연계해준 다.
쾌적한 집안 환경을 유지한다.
- 쾌적하지 않은 집안 환경으로 인해 낙상의 위험성이 증가된다는 것 을 알려준다.
- 양씨의 활동량을 증진시켜 집 청소를 하여 집을 깨끗하게 유지해 낙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 주변 사회복지 시설의 자원봉사자 등을 알아보고 연계해주어 양씨 의 집에 정기적으로 자원봉사자들이 방문하여 청소를 해 줄 수 있 도록 한다.
- 9 -
5. 평가계획
건강관리 결여
환자의 BMI수치를 확인해 더 떨어졌는지, 증가했는지 확인한다.
환자가 병원에 다니면서 관절염 치료를 받고 있는지 확인한다.
담배를 끊었는지, 끊지 않았다면 하루에 얼마나 피는지 확인한다.
하루하루 식사 일지를 제대로 쓰고 있는 지 확인한다.
보건소와 연계되어 관절염을 치료받고 있는지 확인한다.
흡연을 함으로써 오게 되는 신체적 변화 등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말하게 한다.
사회적 고립
지지체계가 몇 명이나 더 생겼는지 확인한다.
딸과 얼마나 자주 연락을 하는지, 자원봉사자나 이웃과의 교류가 일주 일에 몇 번이나 되는지 물어본다.
대상자가 어떤 여가 활동을 즐기고 있는 지 확인해 보고 그 후에 기분 변화가 어떤지 물어본다.
우울증 척도 도구로 대상자의 우울증을 평가해 본다.
운동장애
양씨가 혼자 외출을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현재 병원을 다니면서 치료를 받고 있는지 확인한다.
ROM을 얼마나 할 수 있는지 각도를 재서 평가한다.
방문간호 시행 시 집안 환경이 얼마나 정돈되었는지, 집안일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가한다.
낙상 위험성
집의 환경이 전보다 깨끗해 졌는지 확인한다.
자원봉사자들이 양씨의 집에 얼마나 자주 방문하는지 확인한다.
대상자에게 인계해 준 병원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지 확인한다.
쾌적하지 않은 집안 환경으로 인해 호흡기 문제나 위생상태가 불량해 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대상자가 말을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대상자 중심의 지역사회 간호학, 김모임 조원정 김의숙 정영숙 강혜영 이정렬 공저, 현문사
가정간호 지침서(1996년), 대한간호협회 서울시지부 편찬, 현문사
알기 쉬운 간호과정(1995년), 이경혜 저, 신광출판사
가정 간호 총론김조자 강규숙 이혜원 전춘영 서혜미 허혜경 백희정 공저, 현문사
- 10 -
목차
1. 가족사정 자료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 문제점 파악
3) 가계도
4) 가족 친밀도
5) 외부체계도
2. 대상자의 강점
3. 우선순위 결정
4. 간호계획
- 건강관리 결여
- 사회적 고립
- 운동 장애
- 낙상 위험성
5. 평가계획
추천자료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Pay it forward)’ 지역사회간호문제&간호중재
지역사회간호학-보건소실습(보건소간호개요등 이론)
방문간호 사례 보고서 /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지역사회간호학 아티클 : 농촌 간호 학회지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실습 송파구 FNP
[지역사회간호학][가족간호][Family Nursing Proces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가족진단
정신간호학 실습 지역사회정신간호 사업계획서
지역사회간호 보건소case study
지역사회간호의 이해
[지역사회간호학] 간호전달체계(강추)
지역사회간호학) 만성질환관리 재활관리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가정간호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