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Witmer). 한편 본절의 \'의\'는 \'도덕적인 의\'보다는 \'하나님의 의\'로 \'산 것\'이란 \'생명\'을 의미한다.
8:11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그리스도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 10절의 \'그리스도께서 너희 안에 계시면\'과 같은 말이다. \'너희 안에 거하시면\'은 성령께서 성도 가운데 내주하시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스도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 : 이는 장차 하나님께서 성도를 부활시키시리라는 사실에 있어 성령이 이를 보증하시는 분이 됨을 의미한다. 즉 부활의 첫 열매이신 예수께서 다시 사신 것은 장차 그에게 속한 성도들도 부활하게 되리라는 증거가 되는데 이를 보증하시는 분이 곧 하나님께서 성도들의 심령에 보내 주심으로 성도 가운데 내주하시는 성령인 것이다.
결 론 : 로마서 8장은 일명 \'작은 로마서\'라고 불리우는 갈라디아서 5장과 같이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성경을 한 개의 지환으로 본다면 로마서는 그 보석이고 제 8장은 그 보석이 반짝이는 첨단이다\'(Philip Jacob Spener). 로마서 8장을 이렇게 볼 수 있는 이유는 바울이 본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된 성도가 누릴 수 있는 네가지 \'영적 자유\'를 선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셨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의 \'심판\'에서 해방되었고 하나님께 의롭다 함을 얻게 되었다(1-4절). 둘째, 그리스도의 영이 우리 안에 살아 계시며 우리는 그 영의 뜻대로 생활함으로써 \'패배\'로부터 해방되었다(5-17절). 셋째,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것이며 우리는 그분의 영광에 참여할 것이기 때문에 \'실망\'으로부터 해방되었다(18-30절). 넷째,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께 대하여 우리를 위한 중재가 되시며 우리는 그분의 사랑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므로 \'두려움\'으로부터 해방되었다(31-39절). 한편 그리스도와 연합된 성도의 생활이 승리의 생활임을 말하고 있는 본장에서는 특별히 성령이란 단어가 19회나 나온다. 이것은 성도가 참 자유를 누리며 승리의 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되어지는 일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8:11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그리스도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 10절의 \'그리스도께서 너희 안에 계시면\'과 같은 말이다. \'너희 안에 거하시면\'은 성령께서 성도 가운데 내주하시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스도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 : 이는 장차 하나님께서 성도를 부활시키시리라는 사실에 있어 성령이 이를 보증하시는 분이 됨을 의미한다. 즉 부활의 첫 열매이신 예수께서 다시 사신 것은 장차 그에게 속한 성도들도 부활하게 되리라는 증거가 되는데 이를 보증하시는 분이 곧 하나님께서 성도들의 심령에 보내 주심으로 성도 가운데 내주하시는 성령인 것이다.
결 론 : 로마서 8장은 일명 \'작은 로마서\'라고 불리우는 갈라디아서 5장과 같이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성경을 한 개의 지환으로 본다면 로마서는 그 보석이고 제 8장은 그 보석이 반짝이는 첨단이다\'(Philip Jacob Spener). 로마서 8장을 이렇게 볼 수 있는 이유는 바울이 본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된 성도가 누릴 수 있는 네가지 \'영적 자유\'를 선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셨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의 \'심판\'에서 해방되었고 하나님께 의롭다 함을 얻게 되었다(1-4절). 둘째, 그리스도의 영이 우리 안에 살아 계시며 우리는 그 영의 뜻대로 생활함으로써 \'패배\'로부터 해방되었다(5-17절). 셋째,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것이며 우리는 그분의 영광에 참여할 것이기 때문에 \'실망\'으로부터 해방되었다(18-30절). 넷째,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께 대하여 우리를 위한 중재가 되시며 우리는 그분의 사랑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므로 \'두려움\'으로부터 해방되었다(31-39절). 한편 그리스도와 연합된 성도의 생활이 승리의 생활임을 말하고 있는 본장에서는 특별히 성령이란 단어가 19회나 나온다. 이것은 성도가 참 자유를 누리며 승리의 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성령의 역사하심으로 되어지는 일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추천자료
최고 경영자 예수를 읽고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는 누구인가
헨리나우웬 예수님의 이름으로
그리스도교(기독교) 특성, 그리스도교(기독교) 여성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이론,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은총,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의 경제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인간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지주의...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흐름과 상징물,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제3...
제국주의와 예수회
오늘 나에게 예수는 누구인가
<그리스도의 인격(양성과 위격적 연합)> 그리스도의 양성에 대한 이해(그리스도의 신성과 인...
rejesus세상을 바꾸는 작은 예수들을 읽고 요약 및 감상 및 서평
공관복음서해석_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물을 정리하시오.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에서 예수와 갈등 관계의 의미
신약의 예수론 - 요한복음의 로고스 기독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