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실험 소개
1) 시료의 특징
2) 직물의 외관적 성능의 종류와 특징
Ⅱ. 실험
1. 실험 기구 및 사용 도구
2. 시료
3. 실험 과정
Ⅲ. 실험 결과 및 결론
<실험 결과>
<결론>
Ⅳ. 참고 문헌
1. 실험 소개
1) 시료의 특징
2) 직물의 외관적 성능의 종류와 특징
Ⅱ. 실험
1. 실험 기구 및 사용 도구
2. 시료
3. 실험 과정
Ⅲ. 실험 결과 및 결론
<실험 결과>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3개씩 띄운다.
④ 시험편이 물 속에 가라앉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스톱워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⑤ 3시간 이상이 지나도 수면에 떠 있는 경우에는 가라앉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2) 투습성
1. 증발법
<시료로 덮은 것>
① 면과 폴리에스테르를 각각 투습컵의 크기만큼 잘라둔다.
② 증류수는 미리 비커에 담아 Hot Plate에서 40℃로 데워 놓는다.
③ 데운 증류수를 투습컵의 상단으로부터 1㎝아래까지 부어넣는다.
④ 투습컵을 시료로 닫고 수분이 시료 이외의 곳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나사로 단단히 죄어
무게(W0)를 측정한다.
⑤ 투습컵을 80℃ 오븐에서 1시간 건조시킨다.
⑥ 1시간 후에 오븐에서 꺼내어, 꺼낸 직후의 무게(W1)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시료로 덮지 않은 것>
① 증류수는 미리 비커에 담아 Hot Plate에서 40℃로 데워 놓는다.
② 데운 증류수를 투습컵의 상단으로부터 1㎝아래까지 부어넣는다.
③ 투습컵을 시료로 닫지 않은 그대로 무게(W2)를 측정한다.
④ 투습컵을 80℃ 오븐에서 1시간 건조시킨다.
⑤ 1시간 후에 오븐에서 꺼내어, 꺼낸 직후의 무게(W3)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⑥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투습율(%) = × 100
= × 100
투습도(g/㎡ㆍh) =
=
※ 투습면적 S(㎠) = ∏R2 = 지름이 7.5㎝이므로 3.75 × 3.75 × 3.14 = 44.16
3) 발수성
① 면과 발수가공포를 각각 가로 20㎝ × 세로 20㎝로 잘라 준비한다.
② 시료의 표면이 위로 오도록 하여 고르고 평평하게 당겨 물이 경사방향으로 흐르도록
수틀에 끼운다.
③ 수틀의 중심이 노즐 중심 바로 밑에 오도록 블록에 올려놓는다.
④ 27±1℃의 증류수 250ml를 깔때기에 빨리 부어서 25~30초 동안 시료에 뿌려지도록
한다.
⑤ 증류수가 완전히 뿌려지면 수틀의 한쪽 끝을 잡고 젖은 쪽을 아래로 해 벽면에 쳐서
여분의 물방울을 턴 다음, 수틀을 180°돌려 같은 방법으로 다시 한번 더 물방울 턴다.
⑥ 발수도 판정 표준표와 비교해 발수도 등급을 결정한다.
Ⅲ. 실험 결과 및 결론
<실험 결과>
* <실험 1> 흡수성 측정
- 바이레크법 (단위 : cm )
경사
1회
4
5
7
8
8.5
9.5
10.5
11
11.5
12
2회
3.5
5.5
6.5
7.5
8.5
9.5
10
10.5
11
11.5
3회
4
5.5
6.5
7.5
8.5
9
10
11
11.5
12
위사
1회
2.5
4
5
5.5
6
6.5
7
7.5
8
8.5
2회
2.5
3.5
4.5
5.5
6
6.5
7
8
8.5
9
3회
2.5
3.5
4.5
5.5
6
6.5
7
7.5
8
8.5
- 적하법 ( 단위 : 초 )
sample
1회
2회
3회
4회
5회
평균
전체평균
1
14
13
13
10
9
11.8
11.4
2
9
15
11
11
11
11.4
3
14
12
10
8
11
11.0
- 침강법 ( 단위 : 초 )
1회
2회
3회
평균
18.95
12.17
16.05
15.72
* <실험 2 > 투습성 측정 ( 단위 : g )
실험 전
실험 후
시료로 덮은 것
377.094
376.883
시료로 덮지 않은 것
392.916
392.210
* <실험 3 > 발수성 측정
- 스프레이시험법
폴리에스테르
발수도 등급
0
<결론>
흡수율과 흡수속도의 측정 실험인 바이레크법, 적하법, 침감법의 결과로 보아 폴리에스테
르는 흡수율이 좋으며, 흡수 속도 또한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증발법을 알아보는 실험에서, 실험 후의 시료의 양이 실험 전보다 줄어들었고, 발
수성 실험의 경우, 물이 닿자마자 빠르게 젖는 것과 실험이 끝난 후 시료의 전면이 물에 젖
은 결과를 보여 폴리에스테르가 투습성과 발수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폴리에스테르의 위생적인 성능을 3가지 항목으로 측정해본 결과, 투습성이 높아 인체에서
발생한 땀이 수증기형태로 통과하는 정도가 더 월등하므로 폴리에스테르가 위생적인 성능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성질을 미뤄보았을 때 폴리에스테르가 옷을 만드는 직물로 사용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은 세탁 시 빨리 마르며, 물세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름에는 후덥
지근하게, 겨울에는 차게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착용 시 체내에서 분비되는 기
름이 그대로 흡수되어 불쾌한 냄새와 박테리아의 활동 등이 우려된다.
Ⅳ. 참고 문헌
- 의류소재의 이해와 평가(의류시험법) / 교문사 / 김은애, 박명자, 심혜원, 오경화
④ 시험편이 물 속에 가라앉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스톱워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⑤ 3시간 이상이 지나도 수면에 떠 있는 경우에는 가라앉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2) 투습성
1. 증발법
<시료로 덮은 것>
① 면과 폴리에스테르를 각각 투습컵의 크기만큼 잘라둔다.
② 증류수는 미리 비커에 담아 Hot Plate에서 40℃로 데워 놓는다.
③ 데운 증류수를 투습컵의 상단으로부터 1㎝아래까지 부어넣는다.
④ 투습컵을 시료로 닫고 수분이 시료 이외의 곳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나사로 단단히 죄어
무게(W0)를 측정한다.
⑤ 투습컵을 80℃ 오븐에서 1시간 건조시킨다.
⑥ 1시간 후에 오븐에서 꺼내어, 꺼낸 직후의 무게(W1)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시료로 덮지 않은 것>
① 증류수는 미리 비커에 담아 Hot Plate에서 40℃로 데워 놓는다.
② 데운 증류수를 투습컵의 상단으로부터 1㎝아래까지 부어넣는다.
③ 투습컵을 시료로 닫지 않은 그대로 무게(W2)를 측정한다.
④ 투습컵을 80℃ 오븐에서 1시간 건조시킨다.
⑤ 1시간 후에 오븐에서 꺼내어, 꺼낸 직후의 무게(W3)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⑥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투습율(%) = × 100
= × 100
투습도(g/㎡ㆍh) =
=
※ 투습면적 S(㎠) = ∏R2 = 지름이 7.5㎝이므로 3.75 × 3.75 × 3.14 = 44.16
3) 발수성
① 면과 발수가공포를 각각 가로 20㎝ × 세로 20㎝로 잘라 준비한다.
② 시료의 표면이 위로 오도록 하여 고르고 평평하게 당겨 물이 경사방향으로 흐르도록
수틀에 끼운다.
③ 수틀의 중심이 노즐 중심 바로 밑에 오도록 블록에 올려놓는다.
④ 27±1℃의 증류수 250ml를 깔때기에 빨리 부어서 25~30초 동안 시료에 뿌려지도록
한다.
⑤ 증류수가 완전히 뿌려지면 수틀의 한쪽 끝을 잡고 젖은 쪽을 아래로 해 벽면에 쳐서
여분의 물방울을 턴 다음, 수틀을 180°돌려 같은 방법으로 다시 한번 더 물방울 턴다.
⑥ 발수도 판정 표준표와 비교해 발수도 등급을 결정한다.
Ⅲ. 실험 결과 및 결론
<실험 결과>
* <실험 1> 흡수성 측정
- 바이레크법 (단위 : cm )
경사
1회
4
5
7
8
8.5
9.5
10.5
11
11.5
12
2회
3.5
5.5
6.5
7.5
8.5
9.5
10
10.5
11
11.5
3회
4
5.5
6.5
7.5
8.5
9
10
11
11.5
12
위사
1회
2.5
4
5
5.5
6
6.5
7
7.5
8
8.5
2회
2.5
3.5
4.5
5.5
6
6.5
7
8
8.5
9
3회
2.5
3.5
4.5
5.5
6
6.5
7
7.5
8
8.5
- 적하법 ( 단위 : 초 )
sample
1회
2회
3회
4회
5회
평균
전체평균
1
14
13
13
10
9
11.8
11.4
2
9
15
11
11
11
11.4
3
14
12
10
8
11
11.0
- 침강법 ( 단위 : 초 )
1회
2회
3회
평균
18.95
12.17
16.05
15.72
* <실험 2 > 투습성 측정 ( 단위 : g )
실험 전
실험 후
시료로 덮은 것
377.094
376.883
시료로 덮지 않은 것
392.916
392.210
* <실험 3 > 발수성 측정
- 스프레이시험법
폴리에스테르
발수도 등급
0
<결론>
흡수율과 흡수속도의 측정 실험인 바이레크법, 적하법, 침감법의 결과로 보아 폴리에스테
르는 흡수율이 좋으며, 흡수 속도 또한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증발법을 알아보는 실험에서, 실험 후의 시료의 양이 실험 전보다 줄어들었고, 발
수성 실험의 경우, 물이 닿자마자 빠르게 젖는 것과 실험이 끝난 후 시료의 전면이 물에 젖
은 결과를 보여 폴리에스테르가 투습성과 발수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폴리에스테르의 위생적인 성능을 3가지 항목으로 측정해본 결과, 투습성이 높아 인체에서
발생한 땀이 수증기형태로 통과하는 정도가 더 월등하므로 폴리에스테르가 위생적인 성능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성질을 미뤄보았을 때 폴리에스테르가 옷을 만드는 직물로 사용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은 세탁 시 빨리 마르며, 물세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름에는 후덥
지근하게, 겨울에는 차게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착용 시 체내에서 분비되는 기
름이 그대로 흡수되어 불쾌한 냄새와 박테리아의 활동 등이 우려된다.
Ⅳ. 참고 문헌
- 의류소재의 이해와 평가(의류시험법) / 교문사 / 김은애, 박명자, 심혜원, 오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