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의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스마트 의류 개요
1) 스마트 의류의 개념
2) 스마트 의류의 역사 및 변천사
3) 스마트 의류를 위한 소재의 특징

2. 스마트 의류 응용 분야
1) 군사용
2) 공공분야
3) 일상생활
4) 스포츠
5) 의료분야

Ⅲ.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1. 국외 현황
2. 국내 현황

Ⅳ. 결론
1. 기술, 산업적 기대 효과
2. 스마트 의류의 현재 현황
3. 스마트 의류의 미래와 전망
4.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한 방안

본문내용

들을 대체하고 있다. 발열/축열섬유 또는 직물들은 스키복, 신발, 헬멧에 사용되고 있으며 광섬유센서를 갖는 직물과 복합재들은 교량과 건물들을 모니터하는데 사용되고 있고 센서 및 마더보드를 탑재한 의복은 상처를 파악하여 착용자의 건강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GPS, 모바일폰기술 등도 착용자의 위치를 가리켜 주기 위해 의복에 통합되고 있으며 생체조직, 기관도 생분해섬유로부터 만들어진 텍스타일 지지대로부터 성장하고 있고, 나노섬유의 경우에는 매우 높은 에너지 흡수능력을 갖고 방오, 빛반사와 같은 다른 기능들을 갖는다. 텍스타일은 이전의 섬유들이 갖고 있던 한계를 극복하고 그 기능성 너무로 다양한 방식에서 통합되고, 수정되고 다시 만들어 진다. 예를 들어 전도성 폴리머가 스마트섬유에 사용되면 통기성 좋은 바람막이 잠바가, 빗방울을 감지하면 레인코트로 변할 수도 있고, 스위치를 한번 눌러 색을 변하게 만든다거나 의복일부가 웨어러블 컴퓨터용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작동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다. 단지 예측을 넘어 러시아대학에서는 세계최초로 단원자두께의 직물이 나왔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계속되는 발전은 우리의 미래에 대해 훨씬 더 좋은 것들을 약속한다. 그렇다면 스마트의류에서 미래발전의 결과로 무엇을, 무슨 능력을 우리가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
첫째, 스마트섬유들은 나노 크기와 테라 크기를 갖게 될 것이고 복잡성, 인지력을 갖고 전체론적인 입장에서 발전될 것이다. 테라스케일 또는 나노스케일은 인간이 만든 대부분의 디바이스사이즈를 1/1000 정도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게 하고 분자를 쉽게 배열할 수 있게 해주며 암, 전염병 등을 제거하고 막힌 동맥을 뚫기 위해 인간의 체세포보다 더 작은 의료용 나노로봇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전기적으로 네트워킹하는 인텔리전트 의복은 유연하고 전도성있는, 실같은 전기센서와 밧데리 섬유에 의해 제직될 것이며 이러한 스마트의류 혼자 충분한 컴퓨터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일례로 맹인용 상황감지셔츠는 접근하는 물체에 대한 경고를 하기위해 진동모터를 갖은 채 제직될 수도 있고, 화학공장 노동자는 액이 새어나오는 것을 감지하는 오버올을 입을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울트라 스마트섬유가 실현되어 이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것이며 의복은 의복으로서 보다는 컴퓨터로서의 개념으로 보아야 할 만큼 ‘전자장비’로서의 개념을 갖게 될 것이다.
셋째, 그와 같은 최첨단 직물을 개발하고 만드는 비용 때문에 당분간은 패션업계에서 스마트의복을 개발,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스마트의류의 주된 적용은 상당한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의료, 군사, 산업분야가 될 것이다.
넷째, 앞으로 의복은 현재의 수동적 보호자라는 역할에서부터 라이프스타일과 관련된 활동의 통합요소로서 그 역할이 바뀌게 될 것이다. 패션은 중요한 채로 남겠지만 요점은 기능성으로 강하게 전이될 것이다. Levis ICD+ 자켓과 같이 전자기기를 옷 안에 내장해 놓은 웨어러블 일렉트로닉 제품이 이미 만들어졌고, 듀폰, MIT, Georgia Tech, Virginia Tech과 같은 그룹들은 통신, 컴퓨팅과 오락적 목적의 액세서리를 위한 플랫폼으로서 의복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으며 착용자의 생리적 기능을 모니터하는 프로젝트에 이미 참여하고 있다.
다섯째, 스마트의류는 미래의 주된 의복품목이 될 것이고, 그 의복에 많은 전자기기들이 통합될 것으로 추측된다. 즉, 스마트의류는 전기장치와 텍스타일의 복합물이 될 것이다.
4.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한 방안
이러한 스마트의류에 대한 미래에 우리가 세계시장에 진입하기 위하여 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한 방안을 4가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측면에서 미국을 비롯한 많은 선진국들은 섬유산업구조가 그렇듯이 산업용 스마트섬유 제조 및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는 반면 우리는 의류용에 중점을 둔다. 물론 우리도 산업용으로의 구조재편이 되어야 하나 이미 갖고 있는 장점들을 이용해 전환기를 잘 견뎌내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이제까지 우리는 의복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고기능성 소재개발에 중점을 두어왔다. 따라서 그 기술노하우를 이용하여 의복에서 스마트섬유를 이용한 품목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기술개발도 중요하나 개발된 기술을 어디에 적용시키느냐는 상업적 성공의 열쇠이다. 그러므로 고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품목을 찾아보고 그 아이템에 사용될 기술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우리의 스마트의류 발전에서의 중요요소와 장애요소를 알아보고 이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적극적으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얻어 문제점을 파악하며 취득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세계시장 중 가장 큰 미국시장에서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는 헬스케어 분야이며 아웃도어웨어나 스포츠웨어, 방위산업분야의 성장 가능성이 다른 분야에 비해 높다고 예측되었다. 그러나 지금 당장 의류업계에서 헬스케어 제품을 개발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중단기적으로 스포츠/아웃도어웨어에 중점을 두어 제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스포츠웨어 분야에서 고기능성 직물 개발사례가 많아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을 한다면 가까운 미래에 좋은 제품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기업, 정부, 학계가 함께 의견을 교환하는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기업간의 전략적 제휴관계가 필요하다. 스마트의류의 경우 새로운 분야이며 한 분야에서 접근하는 것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할 경우 경쟁력 있는 신제품을 얻을 수 있다. 기업가, 기술자, 학자마다 문제 해결 방식이 다양하므로 다양한 접근방식도 나오게 되므로 여러 분야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섬유기계제조자, 고기능성직물과 일반직물업자, 디자이너, 의복생산자와 분배자가 한데 모인다면 완전한 섬유제품 공급망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는 이전에는 없었던 시너지효과도 가져오고 다른 각도에서 그리고 다른 필요조건들로부터 제품을 분석하여 더 나은 제품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킹은 연구개발을 수행하기 어려운 중소기업들로 이루어진 의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0.15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