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1-1. 냉동기 실험의 이론
1-2. 냉동능력과 성능계수
1-3. 실제 압축 냉동사이클
2.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1) 실험장치
2) 실험방법
3. Data Sheet
4. 계산과정
5. 실험평가
1-1. 냉동기 실험의 이론
1-2. 냉동능력과 성능계수
1-3. 실제 압축 냉동사이클
2.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1) 실험장치
2) 실험방법
3. Data Sheet
4. 계산과정
5. 실험평가
본문내용
5
182.204
200.896
68.400
162.044
175.347
⑵ 냉동효과 (QL) = m(h3 - h4)에서 냉동효과를 Kcal/h, 냉통톤의 단위로 구한다.
m = 1ppm = 27.2154 kg/hr
L - L
QL = [ (1.8 × 27.2154) × (184.096 - 147.346) ] = 1000.151KJ/hr
= 1000.151 ÷ 4.2
= 238.131 Kcal/hr
238.131 / 3320 = 0.072 냉동톤
H - H
QL = [ (1.8 × 27.2154) × (184.096 - 153.155) ] = 200.490 Kcal/hr
200.490 / 3320 = 0.060 냉동톤
L - O
QL = [ (1.8 × 27.2154) × (182.204 - 156.405) ] = 167.171 Kcal/hr
167.171 / 3320 = 0.050 냉동톤
O - L
QL = [ (1.5 × 27.2154) × (175.347 - 162.044) ] = 86.2 Kcal/hr
86.2 / 3320 = 0.026 냉동톤
⑶ 응축기에서의 과열온도와 증발기에서 과열온도를 구한다.(。C)
L-L 과냉온도 = T2 - T3 = 21.1 - 47.8 = -26.7
과열온도 = T5 - T4 = -4.4 + 8.1 = 3.7
H-H 과냉온도 = 6.9 - 51.1 = -44.2
과열온도 = -2.8 + 6.8 = 4
L-OFF 과냉온도 = 16.1 - 32.8 = -16.7
과열온도 = 0 + 13.1 = 13.1
OFF-L 과냉온도 = 31.1 - 43.3 = -12.2
과열온도 = 5 - 3.9 = 1.1
⑷ 성능계수( ) = QL/AWC
L - L
= 238.131 (Kcal/3600sec) * 427 (Kg.m/Kcal) / (9.8 * 463 (W)) = 22.410
H - H
= 200.490 (Kcal/3600sec) * 427 (Kg.m/Kcal) / (9.8 * 663 (W)) = 13.176
L - OFF
= 167.171 (Kcal/3600sec) * 427 (Kg.m/Kcal) / (9.8 * 547 (W)) = 13.316
OFF - L
= 86.2 (Kcal/3600sec) * 427 (Kg.m/Kcal) / (9.8 * 568 (W)) = 6.612
!!!. 냉매 R-12와 NH3를 비교 설명.
※ 암모니아 --- 널리 사용되는 냉매로서 식품의 냉동, 製氷등에 사용되며,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독성이 있어서 인체에 유해하므로 공기조화에는 사용하지 않고, 응고점( -71℃)이 비교적 높으므로 극저온을 요하는 냉매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 R-12 --- 동일한 응축온도에서 고압이 암모니아보다 훨씬 낮고 가연성과 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안전한 냉매로서 각종 냉동 응용산업과 공기조화 및 가정용의 소형 냉동기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된다. 동일한 피스톤 토출량에서 얻어지는 암모니아의 1/1.7정도이다.
5. 실험평가
이론 사이클에서 P-H diagram과 실험에서 얻은것과의 차이에 대한 이유는
1. 측정이 비 안정 상태에서의 측정
2. 유체의 각 부분에서의 손실
3. 각 부품의 이상과정과 실제과정과의 차이
4. 각 계기의 오차
5. 측정자의 측정오차라고 생각된다.
실험에서 보여준 사이클이 이론사이클과 큰 차이가 났던 것 중에 하나가 냉동기를 제대로 시운전하지 못한 상태였다고 생각되며, 냉동기 자체의 손실 즉, 부족한 워밍업에 의한 SETING의 부실에 의한 차이가 너무 많이 생겨 생각만큼 정확한 실험을 하지 못해 아쉽다. 하지만 실험을 통해 이론적 사이클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182.204
200.896
68.400
162.044
175.347
⑵ 냉동효과 (QL) = m(h3 - h4)에서 냉동효과를 Kcal/h, 냉통톤의 단위로 구한다.
m = 1ppm = 27.2154 kg/hr
L - L
QL = [ (1.8 × 27.2154) × (184.096 - 147.346) ] = 1000.151KJ/hr
= 1000.151 ÷ 4.2
= 238.131 Kcal/hr
238.131 / 3320 = 0.072 냉동톤
H - H
QL = [ (1.8 × 27.2154) × (184.096 - 153.155) ] = 200.490 Kcal/hr
200.490 / 3320 = 0.060 냉동톤
L - O
QL = [ (1.8 × 27.2154) × (182.204 - 156.405) ] = 167.171 Kcal/hr
167.171 / 3320 = 0.050 냉동톤
O - L
QL = [ (1.5 × 27.2154) × (175.347 - 162.044) ] = 86.2 Kcal/hr
86.2 / 3320 = 0.026 냉동톤
⑶ 응축기에서의 과열온도와 증발기에서 과열온도를 구한다.(。C)
L-L 과냉온도 = T2 - T3 = 21.1 - 47.8 = -26.7
과열온도 = T5 - T4 = -4.4 + 8.1 = 3.7
H-H 과냉온도 = 6.9 - 51.1 = -44.2
과열온도 = -2.8 + 6.8 = 4
L-OFF 과냉온도 = 16.1 - 32.8 = -16.7
과열온도 = 0 + 13.1 = 13.1
OFF-L 과냉온도 = 31.1 - 43.3 = -12.2
과열온도 = 5 - 3.9 = 1.1
⑷ 성능계수( ) = QL/AWC
L - L
= 238.131 (Kcal/3600sec) * 427 (Kg.m/Kcal) / (9.8 * 463 (W)) = 22.410
H - H
= 200.490 (Kcal/3600sec) * 427 (Kg.m/Kcal) / (9.8 * 663 (W)) = 13.176
L - OFF
= 167.171 (Kcal/3600sec) * 427 (Kg.m/Kcal) / (9.8 * 547 (W)) = 13.316
OFF - L
= 86.2 (Kcal/3600sec) * 427 (Kg.m/Kcal) / (9.8 * 568 (W)) = 6.612
!!!. 냉매 R-12와 NH3를 비교 설명.
※ 암모니아 --- 널리 사용되는 냉매로서 식품의 냉동, 製氷등에 사용되며,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독성이 있어서 인체에 유해하므로 공기조화에는 사용하지 않고, 응고점( -71℃)이 비교적 높으므로 극저온을 요하는 냉매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 R-12 --- 동일한 응축온도에서 고압이 암모니아보다 훨씬 낮고 가연성과 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안전한 냉매로서 각종 냉동 응용산업과 공기조화 및 가정용의 소형 냉동기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된다. 동일한 피스톤 토출량에서 얻어지는 암모니아의 1/1.7정도이다.
5. 실험평가
이론 사이클에서 P-H diagram과 실험에서 얻은것과의 차이에 대한 이유는
1. 측정이 비 안정 상태에서의 측정
2. 유체의 각 부분에서의 손실
3. 각 부품의 이상과정과 실제과정과의 차이
4. 각 계기의 오차
5. 측정자의 측정오차라고 생각된다.
실험에서 보여준 사이클이 이론사이클과 큰 차이가 났던 것 중에 하나가 냉동기를 제대로 시운전하지 못한 상태였다고 생각되며, 냉동기 자체의 손실 즉, 부족한 워밍업에 의한 SETING의 부실에 의한 차이가 너무 많이 생겨 생각만큼 정확한 실험을 하지 못해 아쉽다. 하지만 실험을 통해 이론적 사이클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