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기는 커녕 현 지배체제의 온존을 담보할 가능성이 크다 하겠다. 행여 정보와 지식을 독점하는 빅브라더의 21세기가 닥쳐 올 지도 모를 일이다. 그리하여 모든 행동과 생각을 감시함으로써 욕망을 억제당하거나 조작당할 수도 있을 법 하다. 이 또한 과학자의 능력이나 인간성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님은 명백하다. 앞서 과학의 국가 단위의 발전이 결코 세계체제의 움직임과 무관하지 않으며 내부의 자본의 흐름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았다. 그렇다면, 여기서부터 사회과학이 필요성이 요구되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누가 환경문제를 푸는 데 있어 자연과학 없는 사화과학은 불구라고 했다. 마찬가지로 과학기술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천적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줄 수 있는 것은 양 진영의 전략적 연대가 아닐까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경영관련서적 독후감 5편
현대 과학기술의 특징과 구체적인 결과
문학 속의 과학
현대의 과학기술이 지닌 여러 가지 특징과 그 특징이 가져온 우리 주위에서 발견할 수 있는 ...
2010 서울 G20 정상회의 - 서울선언문, 서울액션플랜 - 결산 및 우리의 나아갈 방향
[교육정책][지식기반사회][교육정책 쟁점][교육정책 과제]교육정책의 특징, 교육정책의 변천,...
[G20정상회의]서울G20정상회의의 기대효과와 전망-G20정상회의 주요내용, G20정상회의 성과-
마르크스주의 역사과학 - 사적유물론에서 비판적 인류학으로
[법적쟁점]산업자본주의은행소유, 주식대량보유상황의 법적 쟁점, 증권투자신탁, 인터넷의 법...
인간배아연구와 체외수정을 중심으로 본 여성인권 (과학기술 패미니즘 입장)
엔트로피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