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목차
1. 개요 1
2. 지침의 구성 및 범위 2
3. 정보시스템 백업 3
3.1 용어정의 3
3.2 백업의 종류 5
3.2.1 매체별 분류 5
3.2.2 대상별 분류 9
3.3 백업시스템 구성 12
3.3.1 백업 구성방식 12
3.3.2 백업 장치 18
3.3.3 백업 소프트웨어 20
4. 백업시스템 구축 23
4.1 요구사항 분석 24
4.2 백업 자원현황 파악 26
4.3 백업시스템 설계 28
4.4 백업시스템 구축 31
4.5 테스트 31
4.6 운영 및 이관 32
5. 백업시스템 운영 33
5.1 백업의 주기 33
5.2 백업방식 34
5.3 백업 조직 및 역할 38
부록 Ⅰ. RAID 44
부록 Ⅱ. 백업장애 복구 시나리오 49
부록 Ⅲ. 백업 관리 양식 52
2. 지침의 구성 및 범위 2
3. 정보시스템 백업 3
3.1 용어정의 3
3.2 백업의 종류 5
3.2.1 매체별 분류 5
3.2.2 대상별 분류 9
3.3 백업시스템 구성 12
3.3.1 백업 구성방식 12
3.3.2 백업 장치 18
3.3.3 백업 소프트웨어 20
4. 백업시스템 구축 23
4.1 요구사항 분석 24
4.2 백업 자원현황 파악 26
4.3 백업시스템 설계 28
4.4 백업시스템 구축 31
4.5 테스트 31
4.6 운영 및 이관 32
5. 백업시스템 운영 33
5.1 백업의 주기 33
5.2 백업방식 34
5.3 백업 조직 및 역할 38
부록 Ⅰ. RAID 44
부록 Ⅱ. 백업장애 복구 시나리오 49
부록 Ⅲ. 백업 관리 양식 52
본문내용
SAN은 시스템 구성이 유연하고 확장성, 관리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에 비해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NAS는 서버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고 별도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방법인 반면, SAN은 저장장치만을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두 방법 모두 DAS에 비해 관리효율이나 확장성, 유연성 등이 뛰어난 편이지만 NAS나 SAN의 사용에 대한 선택을 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할 필요가 있다.
FC와 SCSI 비교
구분
FC
SCSI
Transfer Speed
100, 200 MB/s, (Dual port)
20,40 or 80 MB/s
Max Cabling Distance
0.3km (Copper Cable)*
0.5km (short wave fiber optic)
10km (long wave fiber optic) 이상
25 meter (high voltage differential)
Address Space
16 Million Node
15 targets
8LUNs/targets
Transmission mode
Serial by bit
8 or 16 bits in parallel
Protocol
SCSI, IP, ATM, ESCON, FC
SCSI
Unit Transfers
Frame
Block
부록 Ⅱ. 백업장애 복구 시나리오
1. 마스터 서버 장애
장애 발생시 특징
- 모든 백업 및 복구 작업 진행 불가
- 모든 클라이언트 백업 불가
- 백업 소프트웨어 모든 기능 상실
1.1 장애 증상 및 확인방법
Step
장애 증상
확인 방법
결과
1
- 모든 백업(미디어 서버, 클라이언트
백업) 실패 및 불가
- 백업 소프트웨어 제어 불가
- 백업 데몬 확인(소프트웨어 별 데몬 확인
명령어 이용)
- 백업 소프트웨어 기동 불가
1.2 복구 단계 및 복구 방법
Step
복구 단계
복구 확인 방법
결과
1
백업 소프트웨어 재설치
- OS 상에서 백업 프로그램 설치 확인
- 백업 데몬 구동 확인
2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복구
-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테이프 백업본 확인
- 테이프 백업본 존재 시 해당 카탈로그 정보
리스토어
3
백업 소프트웨어 정상 설치 확인
- 기존 백업 데이터에 대한 정보 인식 확인
- 백업 장비 인식 여부 확인
- 백업 및 복구 테스트
2. 미디어 서버 장애
장애 발생시 특징
- 미디어 서버 백업 및 복구 불가
-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클라이언트 백업이 가능한 경우 클라이언트 백업 불가
2.1 장애 증상 및 확인방법
Step
장애 증상
확인 방법
결과
1
미디어 서버 백업 실패 및 불가
- 백업 데몬 확인
-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장비 제어 이상 유무
확인
-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백업 결과 확인
2.2 복구 단계 및 복구 방법
Step
복구 단계
복구 확인 방법
결과
1
백업 소프트웨어 재설치
- OS 상에서 백업 프로그램 설치 확인
- 백업 데몬 구동 확인
2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복구
-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백업본에 대한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복구
3
백업 소프트웨어 정상 설치 확인
- 기존 백업 데이터에 대한 정보 인식 확인
- 백업 장비 인식 확인
- 백업 및 복구 테스트
3. 드라이브 에러 발생
장애 발생시 특징
- 다운(Down)된 드라이브를 통한 백업 불가
- 복수의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경우 정상인 드라이브를 통해 백업 및 복구 가능
3.1 장애 증상 및 확인방법
Step
장애 증상
확인 방법
결과
1
특정 드라이브를 통한 백업 불가
및 실패
- 관리자 콘솔을 통해 드라이브상태 확인 가능
- 라이브러리 드라이브 LED 확인
3.2 복구 단계 및 복구 방법
Step
복구 단계
복구 확인 방법
결과
1
관리자 콘솔에서 테이프를 제거
- 테이프를 드라이브에서 자동 제거 불가능시
수동으로 제거
2
관리자 콘솔 화면에서 다운된
드라이브 상태를 업(Up) 시킴
- 관리자 콘솔에서 드라이브 상태 확인
3
드라이브 정상 확인
- 관리자 콘솔에서 확인 또는
- 라이브러리 LED를 이용한 드라이브 상태 확인
4
드라이브 다운 상태 지속 또는
복구 후 드라이브 다운 상태 재발생
- 드라이브 교체
부록 Ⅲ. 백업 관리 양식
백업 신청서
복구 신청서
백업 변경 작업내역서
백업결과 보고서
데이터 매체 관리 대장
백업 신청서
신 청 부 서
담당
검토
신청일자
신청자 성명
전 화
부서명
1. 일반 사항
2. 백업 정보
구 분
내 용
서 버 명(IP주소 명기)
백업 대상 (해당항목 ‘Y’)
OS ( ) 데이터베이스 ( ) 사용자 일반파일 ( ) 기타 ( )
백업 주기 (해당항목 ‘Y’)
일간 ( ) 주간 ( ) 월간 ( ) 연간 ( ) 수시 ( )
백업본 보관기간
백업 대상 위치
백업 전체 용량
백업 희망시간
시작시간
완료시간
특기사항
※ 신청서 접수정보
접수일시
접수자 성명
백업 적용일자
백업 장치
백업 소프트웨어
특기사항
※ 백업적용 후 신청자에게 회신할 것
※ 검토란은 승인자의 성명을 기입하여 결재가 가능함.
복구 신청서
신 청 부 서
담당
검토
신청일자
신청자 성명
전 화
부서명
1. 일반 사항
2. 복구 정보
구 분
내 용
서 버 명
복구 목적
복구 파일명
전체 파일크기
대상파일 백업일자
※ 복구 불가시 대체백업일자
복구 위치
복구 완료 희망시간
특기사항
※ 작업 완료정보
접수일시
작업자성명
작업소요시간
복구 결과
※ 검토란은 승인자의 성명을 기입하여 결재가 가능함.
백업 변경 작업내역서
작업 일시
작업자
대상 시스템
작업 형태
장애처리 ( ) 백업정책 변경 ( ) 설치 및 업그레이드 ( ) 기타 ( )
문제점 / 요청사항
작업 내용
작업 시간
작업자 확인
시작시간
종료시간
경과시간
이름
서명
백업결과 보고서
일시
작업자
백업
마스터 서버
백업 대상
서버명
백업 대상
백업 형태
(F/S DB)
백업주기
백업결과
백업 도구
비고
성공
부정확
실패
데이터 매체 관리 대장
순번
매체 ID
매체 형태
백업 마스터 서버
반입일자
반출일자
보관주기
보관장소
담당자
비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NAS는 서버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고 별도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방법인 반면, SAN은 저장장치만을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두 방법 모두 DAS에 비해 관리효율이나 확장성, 유연성 등이 뛰어난 편이지만 NAS나 SAN의 사용에 대한 선택을 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할 필요가 있다.
FC와 SCSI 비교
구분
FC
SCSI
Transfer Speed
100, 200 MB/s, (Dual port)
20,40 or 80 MB/s
Max Cabling Distance
0.3km (Copper Cable)*
0.5km (short wave fiber optic)
10km (long wave fiber optic) 이상
25 meter (high voltage differential)
Address Space
16 Million Node
15 targets
8LUNs/targets
Transmission mode
Serial by bit
8 or 16 bits in parallel
Protocol
SCSI, IP, ATM, ESCON, FC
SCSI
Unit Transfers
Frame
Block
부록 Ⅱ. 백업장애 복구 시나리오
1. 마스터 서버 장애
장애 발생시 특징
- 모든 백업 및 복구 작업 진행 불가
- 모든 클라이언트 백업 불가
- 백업 소프트웨어 모든 기능 상실
1.1 장애 증상 및 확인방법
Step
장애 증상
확인 방법
결과
1
- 모든 백업(미디어 서버, 클라이언트
백업) 실패 및 불가
- 백업 소프트웨어 제어 불가
- 백업 데몬 확인(소프트웨어 별 데몬 확인
명령어 이용)
- 백업 소프트웨어 기동 불가
1.2 복구 단계 및 복구 방법
Step
복구 단계
복구 확인 방법
결과
1
백업 소프트웨어 재설치
- OS 상에서 백업 프로그램 설치 확인
- 백업 데몬 구동 확인
2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복구
-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테이프 백업본 확인
- 테이프 백업본 존재 시 해당 카탈로그 정보
리스토어
3
백업 소프트웨어 정상 설치 확인
- 기존 백업 데이터에 대한 정보 인식 확인
- 백업 장비 인식 여부 확인
- 백업 및 복구 테스트
2. 미디어 서버 장애
장애 발생시 특징
- 미디어 서버 백업 및 복구 불가
-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클라이언트 백업이 가능한 경우 클라이언트 백업 불가
2.1 장애 증상 및 확인방법
Step
장애 증상
확인 방법
결과
1
미디어 서버 백업 실패 및 불가
- 백업 데몬 확인
-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장비 제어 이상 유무
확인
-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백업 결과 확인
2.2 복구 단계 및 복구 방법
Step
복구 단계
복구 확인 방법
결과
1
백업 소프트웨어 재설치
- OS 상에서 백업 프로그램 설치 확인
- 백업 데몬 구동 확인
2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복구
-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백업본에 대한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복구
3
백업 소프트웨어 정상 설치 확인
- 기존 백업 데이터에 대한 정보 인식 확인
- 백업 장비 인식 확인
- 백업 및 복구 테스트
3. 드라이브 에러 발생
장애 발생시 특징
- 다운(Down)된 드라이브를 통한 백업 불가
- 복수의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경우 정상인 드라이브를 통해 백업 및 복구 가능
3.1 장애 증상 및 확인방법
Step
장애 증상
확인 방법
결과
1
특정 드라이브를 통한 백업 불가
및 실패
- 관리자 콘솔을 통해 드라이브상태 확인 가능
- 라이브러리 드라이브 LED 확인
3.2 복구 단계 및 복구 방법
Step
복구 단계
복구 확인 방법
결과
1
관리자 콘솔에서 테이프를 제거
- 테이프를 드라이브에서 자동 제거 불가능시
수동으로 제거
2
관리자 콘솔 화면에서 다운된
드라이브 상태를 업(Up) 시킴
- 관리자 콘솔에서 드라이브 상태 확인
3
드라이브 정상 확인
- 관리자 콘솔에서 확인 또는
- 라이브러리 LED를 이용한 드라이브 상태 확인
4
드라이브 다운 상태 지속 또는
복구 후 드라이브 다운 상태 재발생
- 드라이브 교체
부록 Ⅲ. 백업 관리 양식
백업 신청서
복구 신청서
백업 변경 작업내역서
백업결과 보고서
데이터 매체 관리 대장
백업 신청서
신 청 부 서
담당
검토
신청일자
신청자 성명
전 화
부서명
1. 일반 사항
2. 백업 정보
구 분
내 용
서 버 명(IP주소 명기)
백업 대상 (해당항목 ‘Y’)
OS ( ) 데이터베이스 ( ) 사용자 일반파일 ( ) 기타 ( )
백업 주기 (해당항목 ‘Y’)
일간 ( ) 주간 ( ) 월간 ( ) 연간 ( ) 수시 ( )
백업본 보관기간
백업 대상 위치
백업 전체 용량
백업 희망시간
시작시간
완료시간
특기사항
※ 신청서 접수정보
접수일시
접수자 성명
백업 적용일자
백업 장치
백업 소프트웨어
특기사항
※ 백업적용 후 신청자에게 회신할 것
※ 검토란은 승인자의 성명을 기입하여 결재가 가능함.
복구 신청서
신 청 부 서
담당
검토
신청일자
신청자 성명
전 화
부서명
1. 일반 사항
2. 복구 정보
구 분
내 용
서 버 명
복구 목적
복구 파일명
전체 파일크기
대상파일 백업일자
※ 복구 불가시 대체백업일자
복구 위치
복구 완료 희망시간
특기사항
※ 작업 완료정보
접수일시
작업자성명
작업소요시간
복구 결과
※ 검토란은 승인자의 성명을 기입하여 결재가 가능함.
백업 변경 작업내역서
작업 일시
작업자
대상 시스템
작업 형태
장애처리 ( ) 백업정책 변경 ( ) 설치 및 업그레이드 ( ) 기타 ( )
문제점 / 요청사항
작업 내용
작업 시간
작업자 확인
시작시간
종료시간
경과시간
이름
서명
백업결과 보고서
일시
작업자
백업
마스터 서버
백업 대상
서버명
백업 대상
백업 형태
(F/S DB)
백업주기
백업결과
백업 도구
비고
성공
부정확
실패
데이터 매체 관리 대장
순번
매체 ID
매체 형태
백업 마스터 서버
반입일자
반출일자
보관주기
보관장소
담당자
비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추천자료
[법철학] 국가 보안법에 대해서
[전자상거래][인터넷쇼핑]전자상거래(EC)의 개념, 전자상거래(EC)의 분류, 전자상거래(EC)의 ...
[방화벽][방화벽시스템][방화벽 해킹][방화벽시스템 해킹][보안][해커][해킹]방화벽(방화벽시...
[스마트폰]스마트폰 보안 문제점과 해결방안
[스마트폰]스마트폰 보안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인터넷의 순기능(장점)과 역기능(단점) 및 인터넷 보안에 관한 논의
[스마트폰] 스마트폰 보안 문제점과 해결방안.PPT
[사이버][사이버성폭력][사이버사회][사이버문학][사이버문화]사이버성폭력, 사이버사회, 사...
[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대학]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대학, 사이버문화, 사이버문학, 사이버...
홈뱅킹(전자금융거래)의 특징, 홈뱅킹(전자금융거래)의 발달, 홈뱅킹(전자금융거래)의 소비자...
인권유린(인권침해)의 정의, 국가보안법수사, 군인의 인권유린(인권침해), 사회복지시설의 인...
[무선LAN]무선LAN(무선 랜)과 무선LAN(무선 랜)시장, 무선LAN(무선 랜)산업, 무선LAN(무선 랜...
[전자상거래][EC][전자상거래 특허][전자상거래 창업]전자상거래 지원센터(ECRC), 전자상거래...
졸업논문. 사이버 범죄에 따른 정부. 기업. 개인의 사이버 범죄 보안 강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