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자료 및 방법
1. 입원기간
2. 병동
3. 대상
4.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3.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와 간호
6. 예후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 문헌
Ⅱ. 자료 및 방법
1. 입원기간
2. 병동
3. 대상
4. 연구방법
Ⅲ.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3.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와 간호
6. 예후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평가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을 하심.
기침과 가래가 있으셔서 거담제 복용중임.
가슴통증이 있으셔서 진통제 med. 복용중임.
(2) 사회경제적인 측면
오랫동안 질환을 앓고 계셔서 약간의 경제적으로 심리 압박 느낌.
(3) 심리적인 측면
스트레스는 없으나 아들에게 자신의 질환에 대해 말하지 않아서 모른다고 하시면서 신경 쓰여 하셨으나 주치의 선생님과 아들이 면담함으로써 안정.
옆에서 아내가 지지함.
이미 마음을 단단히 하셔서 불안하지도 않고 안정적이심.
편하게 가고 싶다는 말을 자주하심.
(4) 영적인 측면
특정하게 믿는 종교가 없으심.
2.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1. 중증 근무력증과 관련된 연하장애
#2. 질환과 관련된 만성흉통
#3. 계속적인 기침, 가슴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 우선순위
1. #2. 질환과 관련된 만성흉통
2. #1. 중증 근무력증과 관련된 연하장애
3. #3. 계속적인 기침, 가슴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3.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1. 질환과 관련된 만성통증
ⓛ 간호 목표
장기 목표 : 통증이 완화 된다.
단기 목표 : 통증의 요인을 알고 활동과 휴식, 운동, 약물 치료 등으로 통증 관리한다.
② 간호 계획
대상자가 통증에 대한 자가 보고를 잘 할 수 있도록 사전에 교육한다.
통증의 신체적 부위와 증상을 사정한다.
통증이 일상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정한다.
V/S 측정한다.
심한 통증 시에는 진통제를 투여한다.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관찰하고 기록한다.
가벼운 통증일 경우에는 이완요법, 통증경감요법 사용을 교육한다.
심한 통증 시에는 bed rest 시킨다.
통증으로 인한 대상자의 심리적인 영향에 대해서 대상자와 대화한다.
대상자의 가족에게도 통증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통증으로 인해서 대상자가 낙상 위험이 있으므로 낙상방지 교육한다.
반좌위를 취해준다.
③ 간호 수행
8시간마다 V/S 측정한다.
수시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통증의 유발 요인과 감소시키는 요인을 관찰한다.
대상자를 반좌위로 취해준다.
대상자가 통증의 질, 통증의 강도, 통증의 지속시간, 통증의 위치를 정확히 말하도록 자가보고 방법을 교육한다.
통증이 심해 진통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서 투여하도록 한다.
가벼운 통증에는 대상자 스스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통증으로 인한 낙상방지를 교육한다.
④ 평가
대상자가 호소하던 chest pain은 지속적인 진통제 투여로 점점 괜찮아 지고 있지만,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을 때는 다시 통증양상을 보이신다. 그리고 진통제를 계속투여하다 보면 약물의 내성으로 인해 계속 양을 늘려야하는 상태가 되므로 마사지, 음악, 통증경감요법 등도 함께 실시한다.
#2. 중증 근무력증과 관련된 연하장애
① 간호 목표
장기 목표 : 음식을 잘 넘기고 식사를 잘 한다.
단기 목표 : 중증 근무력증을 완화시키고 액체 종류의 음식을 드신다.
② 간호 계획
고단백인 soft diet(죽)을 드시도록 한다.
영양이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식이를 제공한다.
먹을 수 없는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식사시간 동안 그리고 식후 30분 동안 침상머리를 90도로 높인다.
섭취한 음식이 유지되는지 식사 전후에 대상자를 관찰한다.
기호식품을 선택하도록 권장한다.
중증 근무력증 치료를 위해서 약 mestinon을 복용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섭취와 배설량을 관찰하고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한다.
물도 마시기 힘들어하시므로 빨대를 사용하도록 한다.
③ 간호 수행
음식이 잘 안 넘어가는 상태시므로 SD(죽)을 주고 잘 드시는지 관찰한다.
소량씩 천천히 삼키도록 한다.
매일 영양 섭취를 사정한다.
식사시간과 식후 30분 동안은 침상머리 90도로 높여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다.
알약은 삼키시기 힘들어하시므로 파우더로 갈아서 준다.
지시된 약을 복용하도록 준다.
빨대를 사용하여 조금씩 물과 기호식품인 우유를 드실 수 있도록 한다.
즐거운 대화를 나눔으로써 대상자를 격려한다.
약물의 주의사항을 알고 먹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의 I/O check하고 체중을 매일 같은 시간에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④ 평가
중증 근무력증 치료 약물인 mestinon을 복용으로 인해 조금씩 개선되어 soft diet인 죽은 드실 수 있을 정도가 되셨고 알약도 그냥 드실 수 있을 정도로 개선되었다. 하지만 체중은 거의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3. 계속적인 기침, 가슴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① 간호 목표
장기 목표 :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단기 목표 :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완화시키고 잘 쉬었다는 느낌을 표현한다.
② 간호 계획
수면시간동안 편안히 잘 수 있도록 계획한다.
기침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하도록 한다.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진통제를 투여한다.
매일 아침 전날 밤의 수면의 질을 사정한다.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수면을 촉진하는 중재를 계획한다.
수면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제공한다.
③ 간호 수행
어떻게 하면 수면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겠는지 묻는다.
기침을 완화시키는 거담제를 복용하도록 준다.
통증 완화시키는 진통제를 투여한다.
이완요법을 교육하면서 침상에서 대상자와 함께 실시한다.
대상자가 수면을 잘 취할 수 있도록 편안하고 깨끗한 침상을 제공한다.
수면을 촉진시키는 목욕이나 체위변경 등을 수행한다.
수면을 취하다가 깨면 간식(우유)을 먹도록 교육한다.
적당한 실내온도를 유지시킨다.
④ 평가
낮잠을 주무시는 것을 보면 통증은 많이 완화가 되어 잘 주무시고 계시지만 여전한 기침으로 인하여 잠에서 가끔 깨신다. 하지만 전보다는 훨씬 편안히 주무신다. 계속적인 수면증진간호를 하면 더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이항련 외 공저(2007) ,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pp 617~622
http://www.koreacna.or.kr
http://www.cancer.go.kr
기침과 가래가 있으셔서 거담제 복용중임.
가슴통증이 있으셔서 진통제 med. 복용중임.
(2) 사회경제적인 측면
오랫동안 질환을 앓고 계셔서 약간의 경제적으로 심리 압박 느낌.
(3) 심리적인 측면
스트레스는 없으나 아들에게 자신의 질환에 대해 말하지 않아서 모른다고 하시면서 신경 쓰여 하셨으나 주치의 선생님과 아들이 면담함으로써 안정.
옆에서 아내가 지지함.
이미 마음을 단단히 하셔서 불안하지도 않고 안정적이심.
편하게 가고 싶다는 말을 자주하심.
(4) 영적인 측면
특정하게 믿는 종교가 없으심.
2.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1. 중증 근무력증과 관련된 연하장애
#2. 질환과 관련된 만성흉통
#3. 계속적인 기침, 가슴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 우선순위
1. #2. 질환과 관련된 만성흉통
2. #1. 중증 근무력증과 관련된 연하장애
3. #3. 계속적인 기침, 가슴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3.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1. 질환과 관련된 만성통증
ⓛ 간호 목표
장기 목표 : 통증이 완화 된다.
단기 목표 : 통증의 요인을 알고 활동과 휴식, 운동, 약물 치료 등으로 통증 관리한다.
② 간호 계획
대상자가 통증에 대한 자가 보고를 잘 할 수 있도록 사전에 교육한다.
통증의 신체적 부위와 증상을 사정한다.
통증이 일상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정한다.
V/S 측정한다.
심한 통증 시에는 진통제를 투여한다.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관찰하고 기록한다.
가벼운 통증일 경우에는 이완요법, 통증경감요법 사용을 교육한다.
심한 통증 시에는 bed rest 시킨다.
통증으로 인한 대상자의 심리적인 영향에 대해서 대상자와 대화한다.
대상자의 가족에게도 통증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통증으로 인해서 대상자가 낙상 위험이 있으므로 낙상방지 교육한다.
반좌위를 취해준다.
③ 간호 수행
8시간마다 V/S 측정한다.
수시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통증의 유발 요인과 감소시키는 요인을 관찰한다.
대상자를 반좌위로 취해준다.
대상자가 통증의 질, 통증의 강도, 통증의 지속시간, 통증의 위치를 정확히 말하도록 자가보고 방법을 교육한다.
통증이 심해 진통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서 투여하도록 한다.
가벼운 통증에는 대상자 스스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통증으로 인한 낙상방지를 교육한다.
④ 평가
대상자가 호소하던 chest pain은 지속적인 진통제 투여로 점점 괜찮아 지고 있지만,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을 때는 다시 통증양상을 보이신다. 그리고 진통제를 계속투여하다 보면 약물의 내성으로 인해 계속 양을 늘려야하는 상태가 되므로 마사지, 음악, 통증경감요법 등도 함께 실시한다.
#2. 중증 근무력증과 관련된 연하장애
① 간호 목표
장기 목표 : 음식을 잘 넘기고 식사를 잘 한다.
단기 목표 : 중증 근무력증을 완화시키고 액체 종류의 음식을 드신다.
② 간호 계획
고단백인 soft diet(죽)을 드시도록 한다.
영양이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식이를 제공한다.
먹을 수 없는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식사시간 동안 그리고 식후 30분 동안 침상머리를 90도로 높인다.
섭취한 음식이 유지되는지 식사 전후에 대상자를 관찰한다.
기호식품을 선택하도록 권장한다.
중증 근무력증 치료를 위해서 약 mestinon을 복용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섭취와 배설량을 관찰하고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한다.
물도 마시기 힘들어하시므로 빨대를 사용하도록 한다.
③ 간호 수행
음식이 잘 안 넘어가는 상태시므로 SD(죽)을 주고 잘 드시는지 관찰한다.
소량씩 천천히 삼키도록 한다.
매일 영양 섭취를 사정한다.
식사시간과 식후 30분 동안은 침상머리 90도로 높여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다.
알약은 삼키시기 힘들어하시므로 파우더로 갈아서 준다.
지시된 약을 복용하도록 준다.
빨대를 사용하여 조금씩 물과 기호식품인 우유를 드실 수 있도록 한다.
즐거운 대화를 나눔으로써 대상자를 격려한다.
약물의 주의사항을 알고 먹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의 I/O check하고 체중을 매일 같은 시간에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④ 평가
중증 근무력증 치료 약물인 mestinon을 복용으로 인해 조금씩 개선되어 soft diet인 죽은 드실 수 있을 정도가 되셨고 알약도 그냥 드실 수 있을 정도로 개선되었다. 하지만 체중은 거의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3. 계속적인 기침, 가슴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① 간호 목표
장기 목표 :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단기 목표 :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완화시키고 잘 쉬었다는 느낌을 표현한다.
② 간호 계획
수면시간동안 편안히 잘 수 있도록 계획한다.
기침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하도록 한다.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진통제를 투여한다.
매일 아침 전날 밤의 수면의 질을 사정한다.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수면을 촉진하는 중재를 계획한다.
수면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제공한다.
③ 간호 수행
어떻게 하면 수면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겠는지 묻는다.
기침을 완화시키는 거담제를 복용하도록 준다.
통증 완화시키는 진통제를 투여한다.
이완요법을 교육하면서 침상에서 대상자와 함께 실시한다.
대상자가 수면을 잘 취할 수 있도록 편안하고 깨끗한 침상을 제공한다.
수면을 촉진시키는 목욕이나 체위변경 등을 수행한다.
수면을 취하다가 깨면 간식(우유)을 먹도록 교육한다.
적당한 실내온도를 유지시킨다.
④ 평가
낮잠을 주무시는 것을 보면 통증은 많이 완화가 되어 잘 주무시고 계시지만 여전한 기침으로 인하여 잠에서 가끔 깨신다. 하지만 전보다는 훨씬 편안히 주무신다. 계속적인 수면증진간호를 하면 더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이항련 외 공저(2007) ,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pp 617~622
http://www.koreacna.or.kr
http://www.cancer.go.kr
키워드
추천자료
흡연으로 인한 일반건강 상태
검사보고서(기관지경)
암세포의 병태생리
양성 폐종양(benign lung cancer)과 악성 폐종양(malignant lung cancer)
oncology emergency
유방암 문헌고찰 및 수술 후 간호(사진有)
암(정의,원인,종류,증상,치료,예방,식이요법)
병원 실습 보고서
실습케이스case-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암과 건강관리
kcu 삶의 약이 되는 약 이야기 - 담배와 마리화나의 유해성에 대한 고찰
항이뇨호르몬분비이상증후군(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SI...
[외과 실습] A+받은 papillary thyroid carcinoma(갑상선 유두암)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