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내의 옥내배선, 전기가 위험한 이유, 전기 안전 사고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정내의 옥내배선, 전기가 위험한 이유, 전기 안전 사고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정내의 옥내배선

2. 전기가 위험한 이유
1) 전류의 크기에 따른 감전의 영향
2) 통전경로에 의한 위험

3. 전기 안전 사고 사례
1) 화재사고
2) 감전사고
3) 화상사고

본문내용

되고 감전 사고의 우려 있음.
- 분전반 내부 시건장치 없음 -피트내 감지기
미설치
[대책]
향후 분전반 점검시 항목 및 점검 주기강화
2)감전사고
*부주의한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망 사고
[원인]
개폐기 미개방한채 작업
공장임에도 제반 안전수칙 미준수
누전차단기 미설치
전용 개폐기 미설치
[대책]
개폐기 개방 후 작업
바닥에 물기가 있어 전기가 잘 통하므로
누전차단기 설치
전용 개폐기 설치
전기기계 기구를 취급할 경우 사전에
전기안전 수칙을 숙지
*사출기 위에서 필름교체
작업중 감전사고
[원인]
누전 부적합 설비의 미개수 방치
안전의식 결여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작업에 임함
누전차단기 미설치 및 사출기 외함 미접지
[대책]
기기 전원측 누전차단기 설치, 기기 외함
접지 시공
누전개소의 즉시 보수 및 작업 전 해당기기
전원 차단 후 작업실시
*물기있는 장소에서 선풍기
설치 작업 중 감전사고
[원인]
원심기 용 직류전동기 설치를 끝내고 마무리
단계에서 배전반 개폐기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
에서 작업 중 감전사망한 점으로 미루어 사고자
의 안전의식 부주의에 의한 사고로 추정됨.
[대책]
작업 전 전원 차단
안전 장구 착용
*순간적 망각으로 인한
감전사고
[원인]
자기과신에 따른 방심 및 순간 망각
작업지시 후 결과 미확인 상태에서 임의 행동
안전장구 미착용(활선 접근 경보기) 및 검전
미실시
[대책]
안전작업수칙 준수
작업지시 결과 확인 후 연계작업 실시
수전실 무단출입행동 금지
*모터 교체중 감전사고
[원인]
당일 태풍으로 인한 폭우가 갑자기 내려 건물
위에 쏟아진 빗물로 인해 옥외 건물사이
밑바닥에 설치된 휀모터가 침수 등으로
절연파괴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
[대책]
작업 전 전원 차단
*분전반에서 활성상태인 2차
배선을 맨손으로 연결 작업 중
감전사고
[원인]
사고자 부주의
활선 상태에서 맨손으로 작업
[대책]
철저한 작업감독으로 부주의한 작업 방지
작업시 전원 차단
작업시 안전장구 착용
*압출성형 작업중 누설전류에
감전사망
[원인]
냉각기 수조에 들어가서 불량품 제거 PE Pipe
불량 제거시 냉각기 수조 밖에서 불량품을
제거하여야 하나 냉각기 수조
(490W×500H×3000L) 내부에 피재자가
들어가 불량품 제거 작업을 실시함.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외함에 접지 미실시
전기기계·기구(냉각기 수조, 인출용 전동기등)의
금속제 외함에는 누전 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3종 접지를 실시해야 하나 미실시한다.
절연·접지저항 측정관리 미실시 실린더 히터가
열화되거나 노화됨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상태 및 접지
저항을 주기적으로 측 정 관리하여야 하나
미실시함.
[대책]
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 제3종 접지실시
전기기계·기구의 절연·접지저항 측정관리
압출기 냉각기 수조에 작업발판 설치
3) 화상사고
전기에 의한 화상은 감전 시 종류(직렬 또는 병렬), 전압, 접촉, 신체부위, 그리고
감전되어 있던 시간 등에 따라 화상의 정도가 다르다.
(1) 콘센트
콘센트에 전선, 드라이버, 젓가락, 포크 등의 금속물건을 넣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방바닥에 콘센트를 늘어놓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물을 흘리면 바로
감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집에서는 전기 콘센트를 함부로 늘어놓아서는 안된다.
요즘은 전기기구와 전선이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한쪽이 콘센트에 꽂
힌 채로 다른 쪽을 건드리게 되면 감전되어 화상을 입기도 한다. 전기에 의한 화
상은 외관상 봐서 별로 심해보이지 않아도 속으로 깊이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사고 예방법
● 전기 제품을 사용한 후에는 스위치를 끄고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도록 한다.
● 쓰지 않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콘센트는 콘센트 안전 덮개를 사용해서
닿지 않도록 한다.
(2) 물과 전기
물기가 있는 곳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특히 세탁실이나
욕실의 경우 물이 있는 곳에서 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감전의 위험이 크다. 욕실
에서 헤어드라이기 등을 사용하게 될 경우 사용 후 코드를 빼서 보관해야 한다.
사고 예방법
● 집안의 습기나 물기가 많은 세탁실, 주방, 욕실 등에서는 헤어드라이기 등의
전기용품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젖은 손으로 가전제품이나 전깃줄, 전등 등을 만지지 않는다.
● 집 밖의 전기제품이 물과 접촉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젖은 곳에서 전기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바닥이 고무로 된 신발을 신는다.
● 가장 중요한 것은 물과 전기가 만나면 아주 위험하다는 것을 항상 인식한다.
(3) 전기담요
날씨가 추워지면 전기담요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실수로 물을 엎지르거나
덜 마른 옷을 입고 자다가 감전당할 수가 있다. 또는 전기담요가 더러워졌을 때
물기가 있는 것으로 닦거나 물로 빨았을 경우 아주 위험하다.
사고 예방법
● 전기담요를 접거나 구기지 않아야 하며 물로 세탁하지 않아야 하고
젖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연결 코드
늘어져있는 전깃줄을 잡아당기다가 전선이 파열되는 경우도 있고 전선을 잡고
당기면 플러그 연결선이 끊어질 수도 있고 텔레비전 뒤에서 장난을 치다가 뒷부분
을 잘못 만지면 감전될 수도 있으므로 만지지 않는다.
사고 예방법
● 전선을 잡고 당기면 플러그 연결선이 끊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코드를 뺄 때에
는 반드시 플러그 몸체를 잡고 빼도록 한다.
● 구석진 곳에 물건을 떨어뜨린 후에 틈으로 기어 들어가서 줍고 나올시
주의해야 한다.
● 전열 기구의 전선이 문틈 등에 끼여 손상을 입을 위험은 없는지 확인한다.
● 늘어져있는 전깃줄은 손에 닿지 않도록 바닥의 구석에 단단히 고정해야한다.
(5) 문어발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기 코드
한 개의 콘센트에 많은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전선에 열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문어발식 배선은 화재의 원인이 된다.
사고 예방법
● 전기 제품의 사용 후 코드를 꼭 빼서 한 개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코드를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1.1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1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