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비영리 조직의 개념과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제1절 비영리 조직의 이론적 배경
제2절 비영리 조직의 정의
제3절 비영리 조직의 기능과 역할
제3장 비영리 조직의 마케팅 활성화
제1절 마케팅 개념과 정의
제2절 비영리 조직의 마케팅
제3절 사회 마케팅
제4장 마케팅 전략 활성화에 대한 필수 요소
제1절 패러다임의 전환
제2절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제2장 비영리 조직의 개념과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제1절 비영리 조직의 이론적 배경
제2절 비영리 조직의 정의
제3절 비영리 조직의 기능과 역할
제3장 비영리 조직의 마케팅 활성화
제1절 마케팅 개념과 정의
제2절 비영리 조직의 마케팅
제3절 사회 마케팅
제4장 마케팅 전략 활성화에 대한 필수 요소
제1절 패러다임의 전환
제2절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 강력하게 그리고 아무리 현명하게 시도된다 해도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그 첫 번째 이유는, 상의하달식 커뮤니케이션은 내가 말하고 싶어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마우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고 해서 간부나 경영자들이 자신의 말이나 글을 명료하게 표현하려는 노력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말을 잘한다 하더라도 이야기 해주는 것만으로는 완전한 커뮤니케이션이 될 수 없다. ‘듣는 것’도 효과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오래전에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통적 접근 방식이 실패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들이 내놓은 처방은 경청하는 것이었다. 물론 경청은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효과를 발휘할 수 도 없다. 커뮤니케이션은 상향식이어야 한다는 인식, 즉 경청의 개념을 토대로 하고 있는 인식은 절대적으로 건전한 것이고 또한 필수적이다. 상게서, p.246
하지만 경청은 출발점일 뿐이다. 더 많고 좋은 정보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해 주지도 못하고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격차를 줄여주지도 못한다. 그 반대로 정보가 많으면 많을수록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커진다.
결과적으로 정보가 많을수록 커뮤니케이션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다.
4. 목표관리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목표관리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전제조건이다. 목표관리는 부하직원으로 하여금 자신이 조직에 어떤 중요한 공헌을 할 것 인지 그리고 어떤 책임을 질것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스스로 내린 결론을 상사에게 보고할 것을 요구한다.
부하직원들이 제출하는 것이 상사들의 기대와 일치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사실 이렇게 하도록 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상사와 부하직원 사이의 차이를 정확하게 맑히는데 있다. 목표관리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지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양측 모두 에게 현실적인 것을 지각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동일한 현실을 서로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 자체가 이미 커뮤니케이션인 것이다. 상게서, p.247
목표 관리는 커뮤니케이션의 수신자로 하여금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의사 결정의 실체, 우선순위문제, 자기가 하고 싶은 것과 상황이 요구하는 것 사이에서의 선택 그리고 무엇보다도 의사 결정에 따른 책임에 대해 이해할 기회를 갖게 해준다.
그는 동일한 상황에 대해 상사가 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보지 않을 수도 있다. 사실상 동일하게 보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그래야 할 이유도 없다. 그러나 그는 목표관리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사가 처해있는 복잡한 상황을 이해하게 되고 또한 그 복잡함이 상사가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상황 그 자체에 내재해 있는 것이 하는 것 등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5장 결 론
비영리 조직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현재 이들은 보다 현실적이고 체계적일 필요가 있다. 목적을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어야 하며 효과적인 목적 성취를 위해 강구책을 마련해야 한다. 비영리 조직도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영방식들을 이용하여 이러한 필요성들을 해결할 수 있다.
비영리 조직은 영리기업에서 사용 하는 마케팅을 활성화 시켜 조직 활동의 여러 문제들을 보완 할 수 있다. 조직의 존재를 전략적으로 알리고 목표시장과 고객에게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다가가 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영리 마케팅은 무형의 상품을 가지고 고객에게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생산과 관련이 깊으며 보통 철저한 대중들의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으므로 마케팅의 전략적 계획은 조직의 목표와 능력을 변화하는 마케팅 기회에 접합시켜 유지하기 위한 관리과정으로 매우 중요하다.
비영리 조직의 마케팅 수립을 위한 과정은 다음 <그림 3>와 같다.
목적 설정
목표수립
마케팅조사
자원분석
평가작업
실행계획
전략적 마케팅 계획
마케팅 목적과 목표설정
<그림 3> 비영리 마케팅 수립 과정
또한 비영리 마케팅은 공익성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회 마케팅에 대한 요소들 역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사회 마케팅의 전개 과정을 순서는 다음<그림4>과 같다.
문제의 정의
목표설정
목표시장세분화
소비자 분석
평가
프로그램 실행
마케팅전략과 전술
효과적
경로분석
<그림 4> 사회 마케팅의 전개과정
더불어 마케팅은 더 이상 영리 기업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인식을 가져야하며 효과적인 마케팅 도입을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잘 이해하고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 내용을 통해 비영리 조직의 효과적인 활동 및 운영과 그에 대한 필요들을 살펴보았다.
이것을 통해서 비영리 조직들은 그동안 영리 기업만의 전유물이라 여겨지던 마케팅을 활용하여 조직의 사명을 견고하게 하며 효과적, 효율적으로 달성하고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권기대권근원, “마케팅”, (주)삼우사, 2004년.
레스터 설러면, NPO란 무엇인가, 이형진 옮김, 아르케, 2000년.
안영준, “비영리 조직의 모금관리에 관한 전략”, 국제교육정보연구, 명지대학교 국제교육정보연구센터, 2001년.
정익준, “비영리 조직의 마케팅”, (주)영풍문고, 1999년.
피터드러커, “미래경영”, 청림출판, 2002년.
피터드러커, “비영리 단체의 경영”, 한국졍제신문사, 1990년.피터드러커, “위대한 혁신”, 한국경제신문, 2006년.
Burton A. Weisbrod, To Profit or Not to Profit; The Commercial Transformation of the Nonprofit Sec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Lester M. Salamon, The Nonprofit Sector And The Challenge of Renewal: U.S. And Global Perspectives, Annual Conference Coalition of National Voluntary Organizations, Ottawa Canada, September 18, 1999.
오래전에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통적 접근 방식이 실패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들이 내놓은 처방은 경청하는 것이었다. 물론 경청은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효과를 발휘할 수 도 없다. 커뮤니케이션은 상향식이어야 한다는 인식, 즉 경청의 개념을 토대로 하고 있는 인식은 절대적으로 건전한 것이고 또한 필수적이다. 상게서, p.246
하지만 경청은 출발점일 뿐이다. 더 많고 좋은 정보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해 주지도 못하고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격차를 줄여주지도 못한다. 그 반대로 정보가 많으면 많을수록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커진다.
결과적으로 정보가 많을수록 커뮤니케이션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다.
4. 목표관리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목표관리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전제조건이다. 목표관리는 부하직원으로 하여금 자신이 조직에 어떤 중요한 공헌을 할 것 인지 그리고 어떤 책임을 질것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스스로 내린 결론을 상사에게 보고할 것을 요구한다.
부하직원들이 제출하는 것이 상사들의 기대와 일치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사실 이렇게 하도록 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상사와 부하직원 사이의 차이를 정확하게 맑히는데 있다. 목표관리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지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양측 모두 에게 현실적인 것을 지각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동일한 현실을 서로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 자체가 이미 커뮤니케이션인 것이다. 상게서, p.247
목표 관리는 커뮤니케이션의 수신자로 하여금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의사 결정의 실체, 우선순위문제, 자기가 하고 싶은 것과 상황이 요구하는 것 사이에서의 선택 그리고 무엇보다도 의사 결정에 따른 책임에 대해 이해할 기회를 갖게 해준다.
그는 동일한 상황에 대해 상사가 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보지 않을 수도 있다. 사실상 동일하게 보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그래야 할 이유도 없다. 그러나 그는 목표관리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사가 처해있는 복잡한 상황을 이해하게 되고 또한 그 복잡함이 상사가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상황 그 자체에 내재해 있는 것이 하는 것 등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5장 결 론
비영리 조직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현재 이들은 보다 현실적이고 체계적일 필요가 있다. 목적을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어야 하며 효과적인 목적 성취를 위해 강구책을 마련해야 한다. 비영리 조직도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영방식들을 이용하여 이러한 필요성들을 해결할 수 있다.
비영리 조직은 영리기업에서 사용 하는 마케팅을 활성화 시켜 조직 활동의 여러 문제들을 보완 할 수 있다. 조직의 존재를 전략적으로 알리고 목표시장과 고객에게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다가가 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영리 마케팅은 무형의 상품을 가지고 고객에게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생산과 관련이 깊으며 보통 철저한 대중들의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으므로 마케팅의 전략적 계획은 조직의 목표와 능력을 변화하는 마케팅 기회에 접합시켜 유지하기 위한 관리과정으로 매우 중요하다.
비영리 조직의 마케팅 수립을 위한 과정은 다음 <그림 3>와 같다.
목적 설정
목표수립
마케팅조사
자원분석
평가작업
실행계획
전략적 마케팅 계획
마케팅 목적과 목표설정
<그림 3> 비영리 마케팅 수립 과정
또한 비영리 마케팅은 공익성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회 마케팅에 대한 요소들 역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사회 마케팅의 전개 과정을 순서는 다음<그림4>과 같다.
문제의 정의
목표설정
목표시장세분화
소비자 분석
평가
프로그램 실행
마케팅전략과 전술
효과적
경로분석
<그림 4> 사회 마케팅의 전개과정
더불어 마케팅은 더 이상 영리 기업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인식을 가져야하며 효과적인 마케팅 도입을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잘 이해하고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 내용을 통해 비영리 조직의 효과적인 활동 및 운영과 그에 대한 필요들을 살펴보았다.
이것을 통해서 비영리 조직들은 그동안 영리 기업만의 전유물이라 여겨지던 마케팅을 활용하여 조직의 사명을 견고하게 하며 효과적, 효율적으로 달성하고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권기대권근원, “마케팅”, (주)삼우사, 2004년.
레스터 설러면, NPO란 무엇인가, 이형진 옮김, 아르케, 2000년.
안영준, “비영리 조직의 모금관리에 관한 전략”, 국제교육정보연구, 명지대학교 국제교육정보연구센터, 2001년.
정익준, “비영리 조직의 마케팅”, (주)영풍문고, 1999년.
피터드러커, “미래경영”, 청림출판, 2002년.
피터드러커, “비영리 단체의 경영”, 한국졍제신문사, 1990년.피터드러커, “위대한 혁신”, 한국경제신문, 2006년.
Burton A. Weisbrod, To Profit or Not to Profit; The Commercial Transformation of the Nonprofit Sec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Lester M. Salamon, The Nonprofit Sector And The Challenge of Renewal: U.S. And Global Perspectives, Annual Conference Coalition of National Voluntary Organizations, Ottawa Canada, September 18, 1999.
추천자료
국제경영의 글로벌제품과 마케팅활동의 조정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의환경변화와경영·사이버마케팅전략
스포츠산업,경영,마케팅,광고
NGO 경영에 있어서 마케팅, 홍보의 중요성
[신제품개발][신제품개발과 마케팅전략][신제품개발을 통한 경영혁신]신제품개발의 중요성, ...
스포츠산업,경영,마케팅,광고
[마케팅]고객만족경영의 사례 - 관광마케팅
한미약품,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스타벅스마케팅전략,스타벅스경영전략,스타벅스성공요인,브랜드파워
[삼성 전략][삼성그룹][삼성][마케팅][경영][인재육성][이비즈니스]삼성(삼성그룹) 마케팅 전...
현대카드 마케팅전략분석 및 현대카드 디자인경영사례분석과 현대카드 POLC전략 분석과 나의 ...
페덱스(Fedex) 마케팅전략분석과 페덱스 경영전략분석 및 페덱스 새로운 전략제안
락앤락(LOCK&LOCK) - 락앤락경영전략, 락앤락마케팅성공사례, Five Force model, SW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