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도원에 스며든 무속적 요소와 폐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무속이란?
샤며니즘이란?

*서론 2.
기도원

*서론 3.
위의 문항 2)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들

*본론 1.
찾는 사람들의 성향

*본론 2.
계속 찾는 이유

*본론 3.
기도원의 폐해

*본론 4.
폐해를 제거하기 위하여

*결론

*참고자료 목록

본문내용

헌금은 직계가족이 기도원에 다니지 않아도 그 몫과 예수님 몫까지 포함해서 내야 한 다. 간부들은 자투리 돈을 내면 하나님이 받지 않기 때문에 큰돈으로 내야 한다고 했 고, 중환자도 돈을 내지 않으면 병이 치료되지 않는다고 하며 헌금을 꼬박꼬박 바치지 않 으면 저주가 따른다고 하기 때문에 꼭 바쳐야 했다고 한다.
본론 4.
폐해를 제거하기 위하여
1)우리 헌법은 종교의 자유 헌법 제20조 제1항
를 명시하고 있다. 또한 헌법 제20조 제2항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
의 내용을 보면 함 부로 사이비 종교 규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내부 신도들의 거센 저항 이 예상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치하면 거대한 집단에 힘없는 개인이 희생되는 결과가 생길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종교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법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종교단체를 법인화 하여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 물론 철저하고 공정 한 세무조사가 선행된 후에 재정규모에 따라 공정하게 책정되어야 할 것이다.
2)우리 나라 개신교의 경향이 샤머니즘적, 현세 구복적 경향을 띠는 것을 방지하면 좋겠지 만 법률로 막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이것은 제도개혁이 아니라 의식개혁이 필요 한 부분이다. 신도들은 맹목적으로 믿을 것이 아니라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합리적인지를
끊임없이 따져야 한다.
기도원에서 피해를 입거나 입고 있어도 모르는 사람들은 대부분 문제를 해결 받을 생각으 로 발을 들여 놓은 것이다. 기성 종교, 교회에서 “소외받고 지친 영혼들”을 잘 보듬을 것 을 촉구한다.
결론
개신교는 기도원이 있고 그곳은 구교의 수녀원, 수도원, 불교의 절과는 성격이 다르다. 단순히 신앙 수양을 위한 기능만 하는 곳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고통을 덜려고 가는 측면이 강하다. 필자가 본론에서 현세의 복을 구한다고 기술했지만 이것은 고통이 있어서 벗어나려고 하는 의지가 강하게 전환된 면도 있다. 그러므로 기도원에는 샤머니즘의 부정적 요소가 있을 수 있으며 이것이 건전한 신앙을 좀먹는다. 우리는 이것을 막기 위하여 스스로는 합리적 판단을 하여야 할 것이고 사회적으로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참고자료 목록
웹진 “진리와 자유002호”-www.tnl.or.kr/002
김정희(1997) “김계화의 정체”
한국 갤럽 GALLUP KOREA(1998)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1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