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광우병 괴담에 대한 진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2. 인간광우병 괴담의 분석
2-1 인간광우병 괴담의 소개
2-2 인간광우병 괴담의 확산원인

3. 인간광우병의 진실
3-1 인간광우병의 과학적 사실
3-2 유사 질병을 통하여 본 인간광우병의 실체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과 여자들은 죽은 사람의 뇌와 눈을 즐겨 먹는데, 이들은 쿠루병에 높은 확률로 걸렸다. 후에 식인습성을 없애자 쿠루병에 걸린 환자가 없어졌다. 즉, 유사광우병이라고 알려진 쿠루병에 경우도 결국 감염된 자의 뇌를 먹음으로 인해 감염된다고 볼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식인습성을 없애자 쿠루병이 사라 졌다는 것이다. 지금 현재 영국 같은 경우에는 골육분사료를 금지하고 있다. 미국에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인간광우병이란 것이 결국 감염된 소를 통하여 인간을 감염시킨다는 것인데, 이 감염된 소의 숫자가 점점 줄고 있는 추세이고, 위의 통계와 같이 병에 걸릴 확률은 지극히 낮다.
3-2-2 양의 질병 스크래피와의 비교
200여년 전 , 영국에서 처음 보고 된 이 스크래피는(scrapie)는 ‘문지르다’라는 사전적의미를 갖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질병이 걸린 양은 벽을 발로 박박 긁어대며 안절부절하지 못하다가 끝내 죽는다는 것이다. 이 질병에 걸린 양들의 뇌를 살펴본 결과 뇌에는 구멍이 뚫려 있었다. 광우병에 경우에도 뇌에 구멍이 뚫려 있고, 인간광우병에도 뇌에 구멍이 뚫려 있다. 인간광우병에 시초는 양의 질병인 스크래피라고 볼 수 있는데, 어째서 양의 질병이 소를 거쳐 인간까지 왔느냐 하면, 역시 골육분사료 때문이다. 병에 걸려 죽은 양고기를 소에게 먹이고, 채식동물인 소의 소화기관이 육식에 적응하지 못하여 어떤 과정을 거쳐 광우병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 광우병에 걸린 소의 위험부위를 먹게 되면 인간도 뇌에 구멍이 뚫리는 인간광우병에 걸린다는 얘기이다.
4.결론
결국 인간광우병이란 것이 인터넷에 흔히 떠도는 괴담처럼 쉽게 걸리는 병이 아니고, 그 원인 물질인 변형 프라이온 단백질 조차 가설일 뿐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앞에서 얘기 했듯이 생명을 위협하고 위험한 병에는 틀림 없다. 호흡을 통하여 감염된다 던가, 타액을 통하여 감염된다 던가, 하는 것은 이제 거짓임이 밝혀졌다고 생각한다. 인간광우병에 대한 현재 과학계에서의 논문들을 살펴보면 원인에 대한 계속된 실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현재는 유력한 원인물질인 프라이온 단백질이 고기 즉, 입을 통하여 소화기간을 거치는 도중 뇌까지 도달 할 수 있는가 에 대한 얘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만약 인간광우병에 대한 원인을 분명하게 밝혀 낸다면, 곧 치료법도 나올 것이라고 본다. 이를 계기로 좀 더 비판적인 자세로 인터넷들의 괴담을 바라보았으면 좋겠고, 확률상 낮다 하여 위험하지 않다 라는 결론을 내는 것도 아니지만 다만,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허위 자료 때문에 잠 못 이루는 것 보다 간단한 사실이라도 조사 해 주었음 하는 바람이다.
▶ 참고문헌
이은희,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궁리, 2002년
▶ 참고사이트
네이버 (www.naver.com) 그림1]
네이버 (www.naver.com) [그림2]
http://www.cfsan.fda.gov/
http://www.sciencetimes.co.kr/
http://www.biosun.co.kr/imgsize4/cow.html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1.2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4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