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학교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대적 특징

2. 성리학과 교육

3. 조선시대의 학교교육
1) 성균관
2) 사학
3) 향교
4) 서원
5) 서당

4. 조선시대 교육의 실상
1) 공부 목적 : 과거 합격
2) 공부 방법 : 시험문화

5. 실학자들의 교육개혁론
1) 유형원의 교육개혁론
2) 이익의 교육개혁론
3) 박제가의 교육개혁론

6. 조선시대 교육 읽기

본문내용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도덕성이 제고될 것이라는 사고방식 역시 구태의 연한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익 교육사상의 혁신성은 천인에게도 과거응시를 허락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곧 천인에게도 학교교육의 기회를 개방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3) 박제가의 교육개혁론
박제가는 국가제도 중 개혁이 가장 시급한 것이 바로 과거제도라고 보고, 당시의 과거제도에 대해 통렬한 비판을 ㄱ하고 있다. 그 중 중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과거의 종류가 지나치게 많고, 너무 자주 실시되고 있다는 점을 비판. 이것은 그가 특히 별시가 중심이 되었던 비정기 시험의 폐해를 지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과거를 자주 실시함으로써 합격자가 국가에서 수용할 수 있는 인원보다 너무 많게 됨을 비판하였다.
박제가는 과거제도 개선책으로서 중국의 과거제도를 참고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는 곧 과거제도 자체에 대한 혁신안이라기보다는 단지 운영방법상의 개선안을 제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중 주목할만한 것은 중국의 선발방식을 본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의 과거제도 개혁론은 당시의 교육현실을 개선하려는 목적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는 과거가 당시 교육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직시했기 때문이다.
6. 조선시대 교육 읽기
조선시대 교육의 실상은 오늘날의 그것과 별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입시 중심의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병폐들, 즉 제도교육의 불신, 사교육의 선호, 암기위주의 학습, 도덕교육의 소홀, 예상문제집의 범람 등의 현상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조선시대 교육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이었다.
물론 조선시대 교육이 과거공부 일색이었던 것만은 아니다. 에를 들어 사림 집단처럼 순수하게 성리학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심신 수양을 추구한 경우도 있었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과거공부를 위주로 했던 부류와 성리학 연구 및 인격수양을 목적으로 했던 부류가 공존했었음을 알 수 있는데, 그렇다면 당시에는 과연 어느 쪽이 대세였는가?
결국 조선시대 교육과 현대 한국교육은 닮은꼴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현실을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있어서도 두 시대는 닮은 점이 있다. 즉, 조선시대 실학자들의 교육개혁 사상이나 오늘날의 교육개혁론은 주로 시험제도의 개선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24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4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