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봉건화의 지연
2. 12세기 봉건사회의 형성과 공고화
3. 서부 독일의 봉건적 토지소유관계 쇠퇴
4. 동부 독일의 농장영주제(Gutsherrschaft) 구조와 성립
5. 동부 독일의 융커(Junker) 경영
2. 12세기 봉건사회의 형성과 공고화
3. 서부 독일의 봉건적 토지소유관계 쇠퇴
4. 동부 독일의 농장영주제(Gutsherrschaft) 구조와 성립
5. 동부 독일의 융커(Junker) 경영
본문내용
(2) 프로이센 정부는 당초 영국식 농업혁명도 검토했으나, 농장영주들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혀 농민의 독립자영농민화를 저지하고 농장영주의 자본주의적인 의제인 Junker화를 촉진하는 위로부터의 지주적 개혁의 길을 선택.
(3) 농민은 공유지의 이용권을 상실하고, 보유지의 대부분을 융커에 양도하며, 잔여 보유지를 유상으로 매입해야만 했음.
(4) 그리하여 다수의 농민은 경제적으로 몰락하고, 다시 융커에게 예속. 낡은 봉건적 관계의 지속.
(5) 낡은 봉건적 관계를 청산하지 못하여 농업의 근대화와 기술혁신이 이뤄지지 못하고 생산력 발전 부진.
(6) 19세기에 융커경영과 서부 독일과의 경제적 결합 강화
: 서부 독일은 동부에 농기계 및 공업기계를 공급하고, 동부는 서부에 농산물 공급. 그리고 동부의 Instleute나 빈농은 서부의 자본제공업에 저렴한 노동력 제공. 또 융커경영의 이윤 일부는 은행을 통해 서부의 산업자금으로 이용됨. 이런 결합 결과, 1871년 독일통일이 가능해짐.
(7) 그리하여 통일된 독일제국의 사회적 기초는 Junker-Instleute 관계로 된 봉건적 토지소유관계. 이런 관계로 된 사회적 기초는 바이마르공화국의 성립 이후에야 해체.
(3) 농민은 공유지의 이용권을 상실하고, 보유지의 대부분을 융커에 양도하며, 잔여 보유지를 유상으로 매입해야만 했음.
(4) 그리하여 다수의 농민은 경제적으로 몰락하고, 다시 융커에게 예속. 낡은 봉건적 관계의 지속.
(5) 낡은 봉건적 관계를 청산하지 못하여 농업의 근대화와 기술혁신이 이뤄지지 못하고 생산력 발전 부진.
(6) 19세기에 융커경영과 서부 독일과의 경제적 결합 강화
: 서부 독일은 동부에 농기계 및 공업기계를 공급하고, 동부는 서부에 농산물 공급. 그리고 동부의 Instleute나 빈농은 서부의 자본제공업에 저렴한 노동력 제공. 또 융커경영의 이윤 일부는 은행을 통해 서부의 산업자금으로 이용됨. 이런 결합 결과, 1871년 독일통일이 가능해짐.
(7) 그리하여 통일된 독일제국의 사회적 기초는 Junker-Instleute 관계로 된 봉건적 토지소유관계. 이런 관계로 된 사회적 기초는 바이마르공화국의 성립 이후에야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