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감독소개
-배우소개
-작품소개
-영화 특이사항
-1990년대 홍콩영화
2.본론
-줄거리
-등장인물소개
-영화속 시대적상황
-영화분석
-등려군 노래
3.결론
-감상포인트
-감독의 의도
-느낀점
-감독소개
-배우소개
-작품소개
-영화 특이사항
-1990년대 홍콩영화
2.본론
-줄거리
-등장인물소개
-영화속 시대적상황
-영화분석
-등려군 노래
3.결론
-감상포인트
-감독의 의도
-느낀점
본문내용
고 세계각지에 흩어져 있는 화교까지 하나로 묶어준다.
- 홍콩 거리를 소군과 이교가 자전거 타는 장면
등려군의 <첨밀밀(甛蜜蜜)>을 함께 부른다. <달콤한 꿈>이란 뜻을 가진 이 노래는 낯선 땅, 외로운 곳에서 서로를 알게 하고 서로를 도와주는 동반자 관계를 맺게 해준다.
- 소군과 이교가 노점상을 하는 장면
이들은 연말 대목을 맞아 등려군의 사진과 앨범, 테이프를 파는 노점을 여는데 하나도 팔지 못하고 한없이 내리는 비만 우두커니 쳐다본다. 그때 <눈물의 가랑비(淚的小雨)>가 흘러나오고, 이를 계기로 둘은 사랑을 나누는 미묘한 관
계로 발전한다.
-3년 후 차 창문을 통해 키스하는 장면
서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별을 선택한 3년 후 소군의 결혼식에서 만난 그들은 서로의 꿈은 이뤘지만 더 큰사랑을 잃어버렸음을 깨닫는다. 차창 밖으로 들려오는 등려군의 노래는 그 모든 것을 포기하고 새로운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 용기와 힘을 만들어 줬다. 여소군은 이교에게로 달려와선 이교와 열정적인 키스를 나눈다. 이때 흘러 나왔던 노래가. 이 노래는 서로의 사랑은 확인했지만 어쩔 수 없이 다시 헤어져야만함을 내포하고 있다.
2.감독의 의도
1997년은 영국의 식민지였던 홍콩이 1백50년만에 중국에 반환되는 역사적인 해다. 이제 홍콩은 새로운 세기를 중국이라는 '하나의 국가 형태'로 맞게 되었다. 그리고 '성공적인 두 체제의 융화'냐 '파괴적 흡수'냐 라는 낙관과 비관의 두 가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진가신 감독은 격변하는 홍콩의 80년대를 뒤돌아보면서 홍콩을 떠도는 사람들의 변화되어 가는 모습을 대륙에서 건너온 젊은이들의 삶과 사랑을 통해 조심스럽게 그려내고 있다. 또한 반환의 불안감에 시달리는 홍콩인의 마음을 달래주고 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섣불리 미래를 얘기하려 들지 않는다. 단지 이 영화의 희망인 동시에 중국과 홍콩, 대만이 모두 하나임을 상징하고 있는 등려군을 통해 막연한 유대감에서 어떤 출구를 찾아보려 할뿐이다.
- 8 -
3.느낀점
첨밀밀은 등려군의 노래에 전개되는 주인공들의 사랑이야기가 너무나도 잘 표현된 작품이다. 등려군의 테입을 팔던 날 주인공들은 첫날밤을 보내게 되고 또 등려군의 사인을 받던날 다시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게 되며 마지막까지 등려군이 주인공들을 다시 만나게 해준다.
여명의 순진함은 중국 인민의 순진함을 그대로 담고 있는듯하다. 마음을 속이고 소정과 살수도 있었지만 자신의 솔직한 사랑을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고백한점이 그렇다. 장만옥은 중국 인민의 딜레마를 표현하고 있는 캐릭터라 생각 된다. 돈을 벌기 위해 홍콩에 왔지만 결국 사랑을 위해 뉴욕으로 가게 된다.
이 영화에서는 여러 모습의 사랑이 등장한다. 처음 여명의 고모 로시가 젊은 시절 잠시 나눈 윌리엄 홀덴과의 사랑을 기약없이 기다리는 모습, 영어 학원 교사인 외국인이 창녀인 개란이 에이즈인 줄 알면서도 같이 태국으로 떠나는 모습, 폭력배 보스가 이교에게 보상을 바라지 않고 베푸는 동정어린 사랑..
그 중에서도 여소군과 이교의 외로운 객지에서 친구로 시작한 우정이 사랑으로 변해서 서로의 마음을 숨기며 행복을 빌어주면서도 그리워하는 사랑의 모습은 안타까움을 남긴다. 두사람이 사랑을 확인하고서도 계속 엇갈리는 운명속에 10년이란 시간과 함께 우연히 미국에서 등려군의 사망소식을 쇼윈도를 통해 보다가 만나게 되는 숙명적인 만남도 전혀 어색함이 없었다.
마지막 흑백으로 10년전 홍콩에 왔을 때 서로 머리를 기댄채 잠들어 있던 두 사람의 모습은 정말 숙명적인 사랑임을 실감하게 했다.
첨밀밀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장면들이 많은 감동적인 영화이다.
- 홍콩 거리를 소군과 이교가 자전거 타는 장면
등려군의 <첨밀밀(甛蜜蜜)>을 함께 부른다. <달콤한 꿈>이란 뜻을 가진 이 노래는 낯선 땅, 외로운 곳에서 서로를 알게 하고 서로를 도와주는 동반자 관계를 맺게 해준다.
- 소군과 이교가 노점상을 하는 장면
이들은 연말 대목을 맞아 등려군의 사진과 앨범, 테이프를 파는 노점을 여는데 하나도 팔지 못하고 한없이 내리는 비만 우두커니 쳐다본다. 그때 <눈물의 가랑비(淚的小雨)>가 흘러나오고, 이를 계기로 둘은 사랑을 나누는 미묘한 관
계로 발전한다.
-3년 후 차 창문을 통해 키스하는 장면
서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별을 선택한 3년 후 소군의 결혼식에서 만난 그들은 서로의 꿈은 이뤘지만 더 큰사랑을 잃어버렸음을 깨닫는다. 차창 밖으로 들려오는 등려군의 노래는 그 모든 것을 포기하고 새로운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 용기와 힘을 만들어 줬다. 여소군은 이교에게로 달려와선 이교와 열정적인 키스를 나눈다. 이때 흘러 나왔던 노래가
2.감독의 의도
1997년은 영국의 식민지였던 홍콩이 1백50년만에 중국에 반환되는 역사적인 해다. 이제 홍콩은 새로운 세기를 중국이라는 '하나의 국가 형태'로 맞게 되었다. 그리고 '성공적인 두 체제의 융화'냐 '파괴적 흡수'냐 라는 낙관과 비관의 두 가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진가신 감독은 격변하는 홍콩의 80년대를 뒤돌아보면서 홍콩을 떠도는 사람들의 변화되어 가는 모습을 대륙에서 건너온 젊은이들의 삶과 사랑을 통해 조심스럽게 그려내고 있다. 또한 반환의 불안감에 시달리는 홍콩인의 마음을 달래주고 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섣불리 미래를 얘기하려 들지 않는다. 단지 이 영화의 희망인 동시에 중국과 홍콩, 대만이 모두 하나임을 상징하고 있는 등려군을 통해 막연한 유대감에서 어떤 출구를 찾아보려 할뿐이다.
- 8 -
3.느낀점
첨밀밀은 등려군의 노래에 전개되는 주인공들의 사랑이야기가 너무나도 잘 표현된 작품이다. 등려군의 테입을 팔던 날 주인공들은 첫날밤을 보내게 되고 또 등려군의 사인을 받던날 다시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게 되며 마지막까지 등려군이 주인공들을 다시 만나게 해준다.
여명의 순진함은 중국 인민의 순진함을 그대로 담고 있는듯하다. 마음을 속이고 소정과 살수도 있었지만 자신의 솔직한 사랑을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고백한점이 그렇다. 장만옥은 중국 인민의 딜레마를 표현하고 있는 캐릭터라 생각 된다. 돈을 벌기 위해 홍콩에 왔지만 결국 사랑을 위해 뉴욕으로 가게 된다.
이 영화에서는 여러 모습의 사랑이 등장한다. 처음 여명의 고모 로시가 젊은 시절 잠시 나눈 윌리엄 홀덴과의 사랑을 기약없이 기다리는 모습, 영어 학원 교사인 외국인이 창녀인 개란이 에이즈인 줄 알면서도 같이 태국으로 떠나는 모습, 폭력배 보스가 이교에게 보상을 바라지 않고 베푸는 동정어린 사랑..
그 중에서도 여소군과 이교의 외로운 객지에서 친구로 시작한 우정이 사랑으로 변해서 서로의 마음을 숨기며 행복을 빌어주면서도 그리워하는 사랑의 모습은 안타까움을 남긴다. 두사람이 사랑을 확인하고서도 계속 엇갈리는 운명속에 10년이란 시간과 함께 우연히 미국에서 등려군의 사망소식을 쇼윈도를 통해 보다가 만나게 되는 숙명적인 만남도 전혀 어색함이 없었다.
마지막 흑백으로 10년전 홍콩에 왔을 때 서로 머리를 기댄채 잠들어 있던 두 사람의 모습은 정말 숙명적인 사랑임을 실감하게 했다.
첨밀밀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장면들이 많은 감동적인 영화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