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평가(성공/실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성공의 건축물

○ 정심화국제문화회관의 개요

○ 정심화국제문화회관의 외부

○ 정심화국제문화회관의 내부

□ 실패의 건축물

○ 공과대의 개요

○ 공과대 부속공장의 외부와 내부

□ 결 론

본문내용

대덕홀의 내부 사진은 옆의 사진과 같다.
내부는 전체적으로 우드를 사용함으로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책상과 의자만 없다면 겔러리같은 이미지를 주고 있다. 또한 다른 강당에 비해 내부가 상당히 밝은 것이 특징이다. 작은 규모이기에 밝기 조절이 더욱 용이한 것도 이유이겠지만 천정의 조명이 강당의 특정 부분에 집중하여 빛을 쏘아 조명으로 하나의 인테리어가 되고 있다.
□ 실패의 건축물
○ 공과대의 개요
충남대학교 공대1호관 옆에 위치한 부속공장은 5050평방 미터의 면적이며 녹색의 톱니형지붕을 가지고 있다. 공장동의 설립목적은 학생들의 실험실습을 통해 이론과 실기를 연마하여 교원 및 산업체의 근로자로서 직책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힐수 있도록 해당 실습 기자재를 효율적으로 설치 운영하며 연구 및 실습에 필요한 실습재료와 장치의 제작 및 실습기자재의 유지보수를 목적으로 한다. 1978. 7. 1 에 지어진 건물로서 30년가량 되어진 건물이다. 현재 이 공장동은 폐쇄하고 다시 신축하기로 되어 있다.
<현재 부속공장> <새로 지어질 부속공장>
○ 공과대 부속공장의 외부와 내부
부속공장의 중앙현관 모습이다. 건물이 오래되어 많이 훼손되어 있다. 또한 창문이나 전체적인 분위기를 볼 때 음산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시골 한구석에 위치한 폐교된 학교를 보는 듯한 느낌까지 받는다. 공과대 부속공장은 외부의 아름다움보다는 아무 생각없이 지어졌을 것이다. 전문가적 지식을 동원한 구조적, 기능적, 환경적인 요소를 배제한 체 용도에 상관없이 지어져 공장동으로 활용되어져 왔을 것이라 생각된다.
공장동은 공대에서 필요한 실험을 하는 곳으로서 공대 본관에서는 각종 소음이나 악취, 장비의 거대함으로 인하여 제 3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지어진 건물로 알고 있다. 실제 공장동 안은 굉음을 각 종 실험기계가 위치되어 있다. 하지만 건물에는 그러한 소음을 차단해주는 방음막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환기시설 또한 미흡하여 내가 선정한 실패의 건축물이다. 옆의 사진은 공장동의 내부모습이다. 천정과 벽면은 소리를 잘 반사시키는 콘크리트와 철골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도 구조를 살펴보면 벽과 천정이 분리되어 있어 칸막이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소리의 울림현상을 더욱 세게 하는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악취가 나게 되면 이를 공유하는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다행이 이러한 건물을 현재 패쇄하고 각종 단점을 보안한 건물을 신축한다는 소식은 다행이다.
□ 결 론
건축과 사회라는 수업을 들으면서 건축에 대한 양식과 구조측면에 대해 배워 건축물을 보는 시선이 달라졌다. 현재 대전에 있는 목원대 같은 경우를 보아하면 캠퍼스 전체에 있는 건물이 통일감 있게 지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서울지역에 추진하고 있는 도시 환경 디자인의 축소판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 충남대학교도 차츰차츰 학교의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여 건축물 및 벤치, 가로수, 가로등 등을 통일성있게 함으로서 건축적이나 디자인적으로 한층 낳아질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1.25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