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휴먼스케일을 이용한 공간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건축과 비례 체계의 연관성
(1) 비례체계의 필요성
(2) 비례의 정의와 역할

2. 다양한 비례 체계
(1) 모 듈
(2) 황금비와 황금비 구형
(3) 정수비
(4) 피보나치 수열
(5) 모듈러

3. 나만의 휴먼스케일
(1) 나의 휴먼스케일
(2) 공간 분석

4. 결 론

본문내용

m 정도 되기 때문에 편안하게 앉기 위해서는 한 사람당 100cm 이상의 폭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3명이 앉게 되면 300cm로 가구를 배치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 3명이 원활하게 대화를 진행해 나가기는 힘들기 때문에 치수를 고려한 배치라고 보기는 힘들다. 일반적으로 2명이 앉을 수 있는 200cm 정도의 폭에 한 명분의 공간을 수직으로 100cm 정도 확보해줌으로써 실제로 공간을 사용하기에 좀 더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 생활 고려 측면에서 거실의 쇼파, 주방의 식탁의자, 내 공부방의 의자 등 각각 다른 디자인을 가진 의자들이 있다. 거실의 쇼파는 부드러운 소재로 안락함을 고려하였고, 공부방의 의자는 인체공학적 설계가 담긴 의자라고 해서 팔걸이, 목 쿠션 부분의 높낮이 부분이 조절이 가능해 내 몸에 맞춰 사용할 수가 있게 되었다. 이렇듯 각각 다른 의자들이지만 각각의 목적대로 사용 하는데 전혀 불편하지 않고, 이용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사람을 고려하여 평균적이긴 하지만 휴먼스케일을 이용하여 인체치수를 적용하여 설계가 되어 있어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거의 느낄 수가 없었다.
3) 채광에 의한 공간 분석
[채광 고려전 책상 배치]
[채광 고려한 책상 배치]
책상을 배치함에 있어서 채광을 고려한 원활한 스케일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내 책상의 경우 창으로부터 100cm 정도 이격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인공조명을 많이 사용하는 나에게는 불필요한 채광이 된다. 이것을 고려한 배치를 하기 위해, 채광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범위로 배치를 해줌으로써 원활한 공간 스케일을 형성할 수 있다.
방의 크기를 고려한 스케일적 배치를 원칙으로 하나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가구를 배치하는 것도 휴먼 스케일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아닌가 싶다.
4. 결 론
지금까지 건축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비례체계가 건축에 얼마만큼 중요하고 어떤 역할을 해 왔는지 알아보았다.
하지만 한가지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은 비례체계는 건축가로서의 독창성이나 개성을 무시할, 절대적인 요소는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말해두고 싶다.
보다 명료하고 정밀함이 담긴, 아름답고 체계적인, 균형잡힌 건축을 하기 위한 뛰어난 수단 이며, 건축에 대한 개념을 정리할 수 있는 좋은 체계적인 수단 중 한 가지라는 가치는 지닐지언정 건축가들의 자유로운 표현을 구속할 정도로 필연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 첨 부 : 스케치 5장

키워드

스케일,   모듈러,   황금비,   모듈,   비례,   공간,   건축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2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