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문제의 형태: 마가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자기은닉
브레데의 이론에 대한 반박
브레덴의 이론수용
메시야 은닉에 대한 새로운 조망
메시야 은닉이론의 존립가능성에 대한 물음
메시야 은닉: 재평가
기본적 고찰
결언
제 2장 문제의 형태: 마가복음에 나타난 수정적 기독론
수정적 기독론: 재평가
신적인간 용어에 대한 논쟁
전-마가전승의 탐구
제2복음서 밖에서 찾는 마가 기독론의 열쇠
하나님의 아들을 수정하는 것으로서의 인자
브레데의 이론에 대한 반박
브레덴의 이론수용
메시야 은닉에 대한 새로운 조망
메시야 은닉이론의 존립가능성에 대한 물음
메시야 은닉: 재평가
기본적 고찰
결언
제 2장 문제의 형태: 마가복음에 나타난 수정적 기독론
수정적 기독론: 재평가
신적인간 용어에 대한 논쟁
전-마가전승의 탐구
제2복음서 밖에서 찾는 마가 기독론의 열쇠
하나님의 아들을 수정하는 것으로서의 인자
본문내용
죽어야 하심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부활하여 마지막 때 다시 오실 권세를 가진 분으로 소개하면서 인자 칭호로 수정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주장에도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 만약 인자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아들 칭호를 수정하려는 것이었다고 하면 복음서 기자는 이 사실을 그의 복음서 자체에서 보다 명료하게 밝혔을 것이다는 것이다. 그런데 복음서의 기자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침묵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더욱 신중해야 함을 교훈으로 얻게된다.
결언
브레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학자들은 마가를 전승비평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승비평적 접근방법은 문헌자체의 메시지를 결정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위험을 안고 있다. 불트만은 전승비평적 접근방법으로 신적인간개념을 마가복음의 해석열쇠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러다가 1960년대에 이르면서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것은 인자 칭호를 통하여 신적 인간에 오염된 하나님의 아들 칭호를 수정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약점이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즉 1세기 헬라세계에 있어서 신적인간이 고정된 의미 또는 일반적인 의미의 종교적 용법으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재에 신적 인간 개념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인자로 수정되어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도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이들 비평의 배경에 반대해서 마가복음자체로 돌아가서 거기에서 답을 찾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마가복음 밖에서 해석의 열쇠를 찾는 시도가 처음부터 모순을 안고 있다. 마가기사의 본래 그대로의 모습을 충실히 살펴보는 것이 올바른 해석의 시작인 것이다.
결언
브레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학자들은 마가를 전승비평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승비평적 접근방법은 문헌자체의 메시지를 결정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위험을 안고 있다. 불트만은 전승비평적 접근방법으로 신적인간개념을 마가복음의 해석열쇠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러다가 1960년대에 이르면서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것은 인자 칭호를 통하여 신적 인간에 오염된 하나님의 아들 칭호를 수정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약점이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즉 1세기 헬라세계에 있어서 신적인간이 고정된 의미 또는 일반적인 의미의 종교적 용법으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재에 신적 인간 개념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인자로 수정되어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도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이들 비평의 배경에 반대해서 마가복음자체로 돌아가서 거기에서 답을 찾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마가복음 밖에서 해석의 열쇠를 찾는 시도가 처음부터 모순을 안고 있다. 마가기사의 본래 그대로의 모습을 충실히 살펴보는 것이 올바른 해석의 시작인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