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IST
1) 정의
2) 기전
3) 발생부위
4) 임상양상
5) 진단
6) 분류
7) 예후
8) 치료
2. Leiomyoma
3. Leiomyosarcoma
1) 정의
2) 기전
3) 발생부위
4) 임상양상
5) 진단
6) 분류
7) 예후
8) 치료
2. Leiomyoma
3. Leiomyosarcoma
본문내용
전환은 거의 없다.
- 위내강으로 자라기도 하고 밖으로 돌출되기도 한다.
- 평활근육종(leiomyosarcoma)과는 유사분열수로 구별하기도 하나 감별이 어렵다.
Leiomyosarcoma(평활근육종)
- 위의 악성종양의 2% 차지
- 가장 흔한 간엽성 악성종양
- 위의 평활근 기원
- 육안적으로 큰 종괴를 형성 → 위내강으로 융기 or 위외부로 튀어나옴
- 점막은 궤양이 생기고, 종괴의 중심은 퇴행성 변화와 출혈 및 괴사로 공동이 생김
- 평활근종과의 감별 평활근 세포의 이형성이 심하고, 핵분열이 많이 보임, 괴사 관찰
① 비정형 세포가 없는 경우 : 고배율시야당 10개 이상의 유사분열수
② 비정형 세포가 있는 경우 : 고배율시야당 5-10개의 유사분열수
- 수술 후 5년 생존율 : 약 50%
- 위내강으로 자라기도 하고 밖으로 돌출되기도 한다.
- 평활근육종(leiomyosarcoma)과는 유사분열수로 구별하기도 하나 감별이 어렵다.
Leiomyosarcoma(평활근육종)
- 위의 악성종양의 2% 차지
- 가장 흔한 간엽성 악성종양
- 위의 평활근 기원
- 육안적으로 큰 종괴를 형성 → 위내강으로 융기 or 위외부로 튀어나옴
- 점막은 궤양이 생기고, 종괴의 중심은 퇴행성 변화와 출혈 및 괴사로 공동이 생김
- 평활근종과의 감별 평활근 세포의 이형성이 심하고, 핵분열이 많이 보임, 괴사 관찰
① 비정형 세포가 없는 경우 : 고배율시야당 10개 이상의 유사분열수
② 비정형 세포가 있는 경우 : 고배율시야당 5-10개의 유사분열수
- 수술 후 5년 생존율 : 약 5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