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공사(경량철,타일,석공사)의 이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공공사(경량철,타일,석공사)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량철골공사
가. 경량철공공사의 개요
나. 재료 및 품질
다. 건식벽(Dry - Wall) 공사
라. 경량천장틀 공사

2. 타일공사
가. 타일공사의 개요
나. 타일의 분류
다. 타일의 용도
라. 타일시공 일반
마. 타일시공 일반
바. 타일의 시공법
사. 테라코타(Terra Cotta)

3. 석공사
가. 석공사의 개요
나. 석재의 분류
다. 대표적인 석재의 특성
라. 인조석
마. 돌 가공 연장
바. 표면가공법
사. 석재시공
아. 돌쌓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리 정하고 견본품을 제출하여 담당자의 승인을 받는다. 대리석의 붙임용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석고를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석고를 사용하는 이유는 시멘트 모르타르 중의 알칼리 성분이 대리석에 침투하여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벽에 붙이는 경우의 긴결철물은 대리석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고 바탕 면과 석재 뒷면과의 간격은 3㎝를 표준으로 한다.
나) 테라조 및 인조석 공사
시공 전에 테라조 및 인조석에 사용되는 종석의 종류, 알의 크기, 무늬, 모양 및 마무리의 종류를 미리 정하고 견본품을 제출하여 담당자의 승인을 받는다. 테라조 및 인조석의 붙이기 공법 및 양생과 청소는 대리석 공사에 준한다.
4) 마감-버너마감
가)견본의 결정
돌의 종류, 색깔, 결, 무늬, 가공형상, 마무리 정도에 따라 결정한다.
나)가공 방법
원석을 원형톱 또는 다이아몬드 날톱으로 절단하여 제삭시공도에 의해 버너 표면 끝마감한 후에 지정한 크기로 절단한다.
다)면의 흠집
실금, 박리층, 귀떨어짐, 현저한 흠집 등이 없도록 한다.
라)버너 사용방법
제트버너 표면 끝은 버너와 돌 면과의 간격이 30~40mm 되도록 하고 버너의 원을 그리면서 회전 진행시킨다. 버너의 회전 직경은 약150mm 버너의 겹침 폭은 50mm로 한다.
라)버너가공 후 처리
버너로서 열을 가한 후 돌 면에 즉시 물 뿌리기를 한다.
마)버너 마감 후 앵커 구멍 뚫기
앵커 구멍 뚫기는 돌 면과 같은 실 치수의 형판을 제작하여 앵커우치를 표시한 후 소정의 깊이 및 각도를 일정하게 하여 구멍을 뚫고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구멍 안을 깨끗이 청소한다. 청소한 구멍은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테이프 등으로 막아둔다.
아. 돌쌓기
1) 돌쌓기의 종류
돌쌓기는 석재의 종류, 크기, 면다듬기 정도에 따라 막돌 쌓기와 다듬돌 쌓기로 대별하고 줄눈의 모양에 따라 허튼층쌓기와 바른 층 쌓기로 구분한다.
가)막돌 쌓기(거친 칠 쌓기 :Rubble Stone Work)
잡석, 자연석, 막돌 등을 사용하여 맞댐 면은 직선으로 다듬지 않고 막 생긴 그대로 또는 건친다듬 정도로 하여 쌓는 방법으로 자연적이며 거친 분위기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쌓기 방법이다.
나)다듬돌 쌓기(Ashlar Stone Work)
다듬돌 쌓기
돌의 모서리나 맞댐 면을 일정한 모양으로 다듬어 줄눈 바르게 쌓는 방법으로 네모돌쌓기, 마름돌 쌓기라고도 한다.
다)막쌓기(허튼층 쌓기 : Random Walling)
돌의 맞댐 면을 직선으로 다듬어 줄눈이 규칙적으로 되지 않게 쌓는 방법이다.
라)바른층 쌓기(Rang Work)
돌 한 켜 한 켜의 수평줄눈을 일직선이 되도록 쌓는 방법이며, 거친돌 바른층 쌓기, 다듬돌 바른층 쌓기 등이 있다.
2) 돌쌓기 방법
가)돌나누기는 설계도에 따라 돌의 크기 및 줄눈의 위치 등을 상세히 하는 것으로 벽돌이나 타일 나누기와 그 의미가 같다. 보통 돌나누기 도면은 축척 1/50정도로 한다. 바탕이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돌의 크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나 벽돌 또는 블록인 경우에는 높이 및 길이를 바탕재의 정수배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쌓기 공법
(1)바탕 면을 청소한 후 맞댐 면에 물 축이기를 하고 세로규준틀에 따라 수평실을 치고 모서리, 구석 등의 기준이 되는 위치부터 돌쌓기를 한다.
(2)돌을 설치할 때는 먹매김에 맞추어 돌 밑에 물 축인 나무쐐기 또는 납제쐐기 등의 고임재 및 소정의 연결철물을 가설치한 후 수평 및 수직을 확인하고 깔 모르타를 채워 넣어 본 설치한다. 이때 인접 돌과의 사이에도 줄눈 두께의 쐐기를 끼우고 경사, 고저가 없고 턱이 지지 않게 줄눈이 일매지고 줄 바르게 고정한다.
(3)사춤 모르타르를 주입할 때는 맞댐 면에 물 축이기를 하고 줄눈의 틈에는 깨끗한 헝겊을 끼워 사춤 모르타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이 때 돌 높이의 1/3 정도는 된 비빔 모르타르를 다져 넣고, 어느 정도 경화된 다음에 묽은 비빔 모르타르를 부어 넣는다.
(4)줄눈 사이에 끼운 헝겊은 모르타르가 완전히 경화하기 전에 제거하고 일정한 깊이로 줄눈 파기를 한 후 깨끗이 청소한다. 또한 돌 설치를 위해 끼웠던 나무쐐기는 1~2일 지난 후 깨끗이 제거하고 그 자리는 모르타르로 채워 넣는다.
(5)밑 켜의 사춤 모르타르가 경화된 다음 석재의 상하좌우, 돌의 맞댄 면 또는 돌과 뒷벽사이에 은장, 촉, 꺽쇠, 고정쇠 등의 연결철물을 설치하여 석재의 배내밀기를 방지하도록 한다.
(6)1일 쌓기 높이는 돌 높이 50㎝ 내외의 것은 2켜 이하로 하고 모르타르의 사춤은 1켜마다 하고 2켜 이내로 한다.
(7)쌓기 도중에 오염된 곳 또는 모르타르가 부착된 곳은 그 즉시 제거하고 물 씻기를 충분히 한다.
(8)돌 면에 묻은 시멘트 풀을 제거하기 위하여 염산류를 사용하는 것이 피하는 것이 원칙이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희석시켜 사용하고 즉시 물 씻기를 하여 염산분이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3) 치장줄눈
돌쌓기가 완료되고 사춤모르타르가 경화하면 철선, 쐐기 등은 모두 제거하고 돌 면의 밖으로 돌출된 철물 등은 1.5㎝ 깊이까지 잘라 내거나 구부려 넣고 치장줄눈을 넣는다. 치장줄눈은 통줄눈 또는 막힌줄눈으로 하고, 줄눈의 나비는 갈기 마무리일 때나 맞대기나 1~2㎜, 잔다듬일 때는 3~6㎜, 정다듬일 때는 6~9㎜, 거친돌 막쌓기일 때는 9~25㎜ 정도로 한다.
참고문헌
경량철골을 이용한 건축물의 건식 시공법
금속구조물·창호공사업협의회 ㆍ 김갑득
경량철골벽 설치 현장 작업 행동에 대한 분석
금속구조물·창호공사업협의회 ㆍ 채성호
타일공사의 문제점과 대책
대한건설협회 ㆍ 장성용
건축 외장 타일 공사의 문제점과 대책에 관한 연구:박리와 백화현상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ㆍ 이종삼
현장기술지원교재 마감공사
대한주택공사 ㆍ 팽효원
공동주택 하자의 공종별 특성연구
부경대 산업대학원 ㆍ 김명환
건식 석공사 줄눈부의 실링재에 의한 석재오염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ㆍ 김경민
실물 모형시험을 통한 건축물 외부 석공사 대체공법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ㆍ 정환욱
건축물 외부 석공사 대체공법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ㆍ 정환욱
  • 가격2,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