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요계는 J-Pop을 모델로 삼아 현재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1.1. 글을 쓰게 된 배경
1.2. J-Pop이란?
1.3. 왜 J-Pop인가?

2.한국가요계의 현 문제점
2.1. 음악성보다는 상업성, 대중성을 중시하는 가수들(소속사들)
2.2. 장르의 다양성이 보이지 않는 한국가요계
2.2. 음반 시장의 침체

3.J-Pop의 장점
3.1. 음반시장이 매우 거대하다
3.2. 장르의 다양성, 싱어 송 라이터


4.한국가요계가 앞으로 J-Pop를 보고 배워 나가야 할 점
4.1.음반시장 활성화의 측면.
4.2.음악성의 향상, 장르의 다양화 측면
4.3.음악성 뛰어난 뮤지션, 싱어 송 라이터의 발굴

5.결론
5.1.내용 정리와 앞으로의 전망
5.2.자료 출처

본문내용

범을 발표하고 활동하는 가수들이 그렇게 많지 않은데 J-Pop의 경우 정규앨범보다 트랙수가 훨씬 적고 싸게 판매되는 이 싱글 앨범이 매우 활성화 되어 있다. 이 또한 음반의 수요를 늘리는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mp3파일을 디지털 음반 형식으로 판매하는 것을 대대적으로 확대해야 하는 것이다. 물론 첫째와 둘째의 해결방안이 오프라인 음반시장을 활성화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겠으나, 현실적으로 mp3의 존재는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mp3음원을 상품화하여 네티즌들에게 일정한 돈을 받고 판매하는 것을 활성화 하는 것이 차라리 mp3음원의 불법적인 공유를 차단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본의 경우도 비교적 건재한 오프라인 시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디지털음반의 공급을 확대한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근본적인 것인데, 일본인들처럼 음악이라는 것은 가수가 만드는 상품이라는 선진의식을 가지고 불법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당당하게 돈을 주고 구매해야 하는 것이다. 무조건 공짜로 하려는 공짜의식을 버려야 한다. 가수들도, 음반회사들도 돈을 벌어야 질이 좋은 음반을 내놓을 것이 아닌가.(물론 국내 가요의 질 저하 문제가 또한 음반 시장의 침체를 불러왔다는 의견도 분분하다.) 일본인들에게서 그런 선진 의식을 배워야한다.
4.2. 장르의 다양화 측면
더 이상 발라드, 댄스에만 집중해서는 안 된다. J-Pop과 같이 장르를 다양화해야 한다. 물론 생소한 장르에 투자하는 '블루 오션 전략'은 실패가 될 수가 있다. 하지만 한국 가요계의 편중된 장르를 확대시키려면 어쩔 수 없이 누군가 뛰어들어야 한다. 그 누군가가 현재 나타나지 않는 것이 문제다. 한국 음악계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더 이상 특정 몇몇 장르가 과 포화된 상태로 놔두어서는 안 된다. 장르의 다양화는 음악을 보다 더 풍부하게 해주는 자양분일 뿐더러, 대중들의 음악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 한국 음악계의 질적 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
개인적으로 컴퓨터 음악이 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재의 R&B나 댄스, 발라드 보다는 직접 음악을 연주하는 밴드형태의 그룹들이 좀 더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음악은 춤, 노래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악기를 연주하여 멜로디를 만들어나가는 것을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밴드형태의 그룹들이 많이 나타나 록, 재즈, 펑크 등의 장르를 좀 더 활성화 시키려면 독립적으로 자신들만의 음악 활동을 하고 있는 소위 '인디 밴드'(Indie band)들의 처우를 개선해주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인터넷 채팅을 통해 서울에서 인디밴드 활동을 하고 있는 한 남자와 나눈 대화에서 그들의 힘든 처지를 알 수 있었다. 밴드 멤버들이 단순히 클럽 공연으로 매달 얻는 수입은 수 십 만원이 채 되지 않는 적은 액수에 불과했고, 그들은 밴드활동을 계속하기 위해서 밤에는 공연을 하고 낮에는 고된 노동을 하고 있었다고 했다. 그는 자신들보다 더 처지가 어려운 인디 뮤지션들도 음악을 하기위해서 더욱 더 힘든 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많은 인디 밴드들이 음악을 하면서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들의 처우를 개선해주지 않는다면 다양한 장르의 인디 음악들은 주류 장르에 묻혀 빛을 발하지 못할 것이다.
4.3. 음악성 뛰어난 뮤지션, 싱어 송 라이터의 발굴
음반시장을 활성화 시키는 데에는 무엇보다 음악성보다는 대중성, 상업성이 중요해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근시안적인 생각에 불과하다. 대중성만 가지고는 순간 반짝하는 성공만을 거둘 수 있을 뿐, 그 인기가 오래가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이제 우리나라 가요계도 상업적인 틀에서 벗어나 음악계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한국음악의 미래에 대한 보험용으로도 음악성이 뛰어난 뮤지션을 발굴해야 한다.
음악성이 뛰어난 뮤지션을 구체적으로 말하면 앞서 언급한 J-Pop의 경우처럼 뛰어난 싱어 송 라이터를 들 수 있다. 그렇다면 일본 톱 가수들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이 싱어 송 라이터들이 우리나라 가요계에는 얼마나 될까? 현재 활동하고 있는 가수들 중에서 꼽는다면 대표적으로 '이승철', '김종서','이적','김동률' 정도를 뽑을 수 있겠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뛰어난 싱어 송 라이터라 할만한 그 가수들은 이미 가수 수명으로 따지면 황혼기에 접어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 새로운 싱어 송 라이터들이 절실하다. 소속사에서는 작곡 ,편곡, 작사 능력을 고루 갖춘 싱어 송 라이터들을 집중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가수들이 계속해서 유명한 작곡가에게서 곡을 받아내서 발표한다면 비슷한 곡이 한둘이겠는가? 그리고 가수 본인의 코드와 일치하겠는가? 싱어 송 라이터는 가수의 전체적인 기복이 크지 않다.(작곡자가 항상 똑같기 때문) J-Pop의 경우처럼 자신들이 스스로 작곡 ,편곡 ,작사 ,노래를 하는 싱어 송 라이터들이 음악성과 인기를 동시에 유지해온 것을 감안했을 때, 뛰어난 싱어 송 라이터들의 증가는 한국음악계를 한 단계 더 수준 높게 끌어올리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5. 결론
5.1. 내용 정리, 앞으로의 전망
지금까지 한국 가요계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들과, 그 문제점을 타파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우리의 이웃 국가이자 동양의 작은 나라인 일본의 J-Pop이 지금까지 세계 2위의 음반 시장을 유지해온 비결을 알아보고 그를 통해 한국 가요계가 해결해 나갈 점을 설명해보았다. 물론 일본과 우리나라는 대중문화가 매우 유사한 국가이긴 하지만 경제, 사회 등 다른 점을 찾자면 훨씬 많다. 따라서 내가 이 글을 통해 주장하는 것도 일본의 성공요인을 보고 배우자는 것이지 모든 것을 무작정 따라하자는 말이 아님을 밝혀둔다. 음악을 좋아하는 마니아로서 한국 가요계가 앞으로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이 글을 마친다.
5.2 자료 출처
통계자료 ->오리콘 차트(http://www.oricon.co.jp)
->한국음반 산업 협회(http://www.miak.or.kr)
->2006 골든디스크 수상식(http://isplus.joins.com/goldendisk/2006/)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