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B단조 미사곡은 4부로 나뉘어져 있으며 총 24곡으로 작곡되어 있다.
-제1부"Missa (Kyrie, Gloria)"
-제2부
"Symbolum Nicenum (Credo)"
-제3부
"Sanctus"
-제4부
"Agnus Dei"
결론
*참고문헌
본론
B단조 미사곡은 4부로 나뉘어져 있으며 총 24곡으로 작곡되어 있다.
-제1부"Missa (Kyrie, Gloria)"
-제2부
"Symbolum Nicenum (Credo)"
-제3부
"Sanctus"
-제4부
"Agnus De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ctus (찬미 받으소서)테너 독창곡으로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의 뜻이 내포되어 있다. 고요하고 명상적인 분위기의 곡이다. 주의 이름으로 내려오신 그리스도에 대한 부름이 경건한 테너의 아리아로 형성된다. 플루트의 유려한 전주에 인도되어 테너가 정감을 깃들여 노래하고, 이어 전곡의 호산나가 되풀이된다.
제 4 부
"Agnus Dei"
Agnus Dei는 Kyrie와 유사성이 많다. 구속한 영혼의 고요한 노래로 서서히 없어지는 듯한 느낌을 가지며, Bach는 Agnus Dei의 명상적인 분위기를 강조하기 위하여 페르마타를 사용하였다. 이 페르마타는 B단조 미사에서 유일한 것이다.
제 23 곡 : Agnus Dei (하나님의 어린양)"하나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기도하듯이 고요하게 주님께 간구하는 내용이다. 영탄(詠嘆)적인 기분에 찬 알토의 아리아. 바이올린이 유니즌으로 오블리가토하고, 표정적인 감7화음이 많이 사용된다. 이 음악은 처음에 <칸타타 Auf! Su"ss entzu"ckende Gewalt 자, 감미로운 매력이여.> 제3곡에 붙여졌던 것으로, 나중에 <승천(昇天)제 오라토리오 BWV11>를 거쳐 이 미사에 전용되었다.
제 24 곡 : Dona nobis pacem (주여 평화를 주소서)이 곡은 4성부의 합창곡으로 이 미사의 마지막 곡이다. 하나님의 의를 평화롭게 나타낸 곡으로 Dona nobis pacem에서 하늘에서 내뿜는 듯 한 소리를 내는 트럼펫은 높으신 하나님의 평화를 상징하는 듯 하다. 제6곡의 음악을 그대로 새로운 가사에 맞추어 놓은 곡으로 여기서는 평안의 기원이 확신에 넘친 찬미의 음악과 융합하여 드높은 기분을 고양시키면서 전곡을 맺는다.
3. 결론
Bach의 B단조 미사곡의 숭고한 특성과 광대한 영역을 알기 위해 4개로 분류하여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Kyrie는 모두 3곡으로 이루어져 있고, 삼위일체의 성부. 성자. 성신을 음악으로 해석해 보이려는 의도로 보여졌다. Gloria는 모두 8곡으로 Kyrie의 단조와 Gloria의 장조가 대비됨으로써 일체감 뿐 아니라 대비와 조화의 모든 양면을 보여주고 있다.또한 Credo는 그 구성에 있어서 형식의 극치와 정교한 대칭구조를 보여주고 있었다. Sanctus는 모두 3곡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징적으로 6성부 합창과 8성부 합창으로 되어있다.
Agnus Dei는 모두 2곡으로 작품 전체의 두드러진 특성이 푸가의 기법이며 성악곡의 양식에 있어서 가락의 구성이 기악적임을 볼 수 있었다.
B단조 미사곡은 가장 객관성에 충실하여 작곡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전형적인 의식용 음악으로 통치자와 그의 궁정 귀족들의 취향을 따르려는 의도가 완연하며, 동시에 모든 기독교도를 하나로 결집하기 위해 극도의 화려함과 웅장함을 과시한다. 이러한 음밀한 의도 때문에 가사 또한 Bach 자신의 내적인 감정을 내세웠다기 보다는 격식을 갖춘, 화려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 미사곡에는 프로테스탄트 (Bach에게서 프로테스탄트 신앙은 결코 그의 삶과 분리할 수 없는 부분이다.) 적인 주관주의와 가톨릭의 객관주의가 양립하고 있다. 실제로 제1부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Kyrie와 Eleison은 제1부 중간에 나오는 이중창인 Christe eleison 에 비해 일체감을 느끼고 환기시키려는 특성이 있다. 이것은 방대한 악곡의 일반적 특성이다. 그러나 Bach 만큼 완벽한 솜씨로 이렇게 웅장한 작품을 창조해 낸 예술가가 또 있을까. 이렇듯 B단조 미사는 가톨릭도 프로테스탄트도 초월한 범종교적인 태도로 엮어져, 뜻있는 후세 사람들에게 보내진 Bach의 유산이며, 또한 Bach의 B단조 미사곡은 가장 객관성에 충실하여 작곡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전형적인 의식용 음악으로 극도의 화려함과 웅장함을 과시한다.
참고문헌
권종렬 : <합창음악의 역사> 서울: 풍진출판사. 1984.
김두완 : <교회음악의 이해> 서울: 아가페 음악 선교원. 1983.
홍세원 : <교회음악의 역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Butt, J : 1991.
H.Ruilling : 1984.
곽상수 : <바하의 B단조 미사> 객석. 1986. 3月 4月
문지현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교육전공. ,미간행 2001.
제 4 부
"Agnus Dei"
Agnus Dei는 Kyrie와 유사성이 많다. 구속한 영혼의 고요한 노래로 서서히 없어지는 듯한 느낌을 가지며, Bach는 Agnus Dei의 명상적인 분위기를 강조하기 위하여 페르마타를 사용하였다. 이 페르마타는 B단조 미사에서 유일한 것이다.
제 23 곡 : Agnus Dei (하나님의 어린양)"하나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기도하듯이 고요하게 주님께 간구하는 내용이다. 영탄(詠嘆)적인 기분에 찬 알토의 아리아. 바이올린이 유니즌으로 오블리가토하고, 표정적인 감7화음이 많이 사용된다. 이 음악은 처음에 <칸타타 Auf! Su"ss entzu"ckende Gewalt 자, 감미로운 매력이여.> 제3곡에 붙여졌던 것으로, 나중에 <승천(昇天)제 오라토리오 BWV11>를 거쳐 이 미사에 전용되었다.
제 24 곡 : Dona nobis pacem (주여 평화를 주소서)이 곡은 4성부의 합창곡으로 이 미사의 마지막 곡이다. 하나님의 의를 평화롭게 나타낸 곡으로 Dona nobis pacem에서 하늘에서 내뿜는 듯 한 소리를 내는 트럼펫은 높으신 하나님의 평화를 상징하는 듯 하다. 제6곡의 음악을 그대로 새로운 가사에 맞추어 놓은 곡으로 여기서는 평안의 기원이 확신에 넘친 찬미의 음악과 융합하여 드높은 기분을 고양시키면서 전곡을 맺는다.
3. 결론
Bach의 B단조 미사곡의 숭고한 특성과 광대한 영역을 알기 위해 4개로 분류하여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Kyrie는 모두 3곡으로 이루어져 있고, 삼위일체의 성부. 성자. 성신을 음악으로 해석해 보이려는 의도로 보여졌다. Gloria는 모두 8곡으로 Kyrie의 단조와 Gloria의 장조가 대비됨으로써 일체감 뿐 아니라 대비와 조화의 모든 양면을 보여주고 있다.또한 Credo는 그 구성에 있어서 형식의 극치와 정교한 대칭구조를 보여주고 있었다. Sanctus는 모두 3곡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징적으로 6성부 합창과 8성부 합창으로 되어있다.
Agnus Dei는 모두 2곡으로 작품 전체의 두드러진 특성이 푸가의 기법이며 성악곡의 양식에 있어서 가락의 구성이 기악적임을 볼 수 있었다.
B단조 미사곡은 가장 객관성에 충실하여 작곡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전형적인 의식용 음악으로 통치자와 그의 궁정 귀족들의 취향을 따르려는 의도가 완연하며, 동시에 모든 기독교도를 하나로 결집하기 위해 극도의 화려함과 웅장함을 과시한다. 이러한 음밀한 의도 때문에 가사 또한 Bach 자신의 내적인 감정을 내세웠다기 보다는 격식을 갖춘, 화려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 미사곡에는 프로테스탄트 (Bach에게서 프로테스탄트 신앙은 결코 그의 삶과 분리할 수 없는 부분이다.) 적인 주관주의와 가톨릭의 객관주의가 양립하고 있다. 실제로 제1부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Kyrie와 Eleison은 제1부 중간에 나오는 이중창인 Christe eleison 에 비해 일체감을 느끼고 환기시키려는 특성이 있다. 이것은 방대한 악곡의 일반적 특성이다. 그러나 Bach 만큼 완벽한 솜씨로 이렇게 웅장한 작품을 창조해 낸 예술가가 또 있을까. 이렇듯 B단조 미사는 가톨릭도 프로테스탄트도 초월한 범종교적인 태도로 엮어져, 뜻있는 후세 사람들에게 보내진 Bach의 유산이며, 또한 Bach의 B단조 미사곡은 가장 객관성에 충실하여 작곡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전형적인 의식용 음악으로 극도의 화려함과 웅장함을 과시한다.
참고문헌
권종렬 : <합창음악의 역사> 서울: 풍진출판사. 1984.
김두완 : <교회음악의 이해> 서울: 아가페 음악 선교원. 1983.
홍세원 : <교회음악의 역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Butt, J :
H.Ruilling :
곽상수 : <바하의 B단조 미사> 객석. 1986. 3月 4月
문지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