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문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문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작하면서 :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상의 어려움

Ⅱ. 본 론
1. 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문제 사례
1) 사례 1 (2008/03/15 경향신문)
2) 사례 2 (2008/03/15 대구인터넷뉴스)
2. 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문제와 원인
1) 가정 내의 의사소통 문제와 그 원인
2) 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어교육의 실태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실태를 중심으로 -
3. 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방안
1)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을 위한 지원방안
2) 정책적 지원방안
3) 이주여성 한국어 교육, 무엇이 우선순위가 되어야 하나?

Ⅲ. 맺음말 : 결혼이주여성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 참고문헌

본문내용

100명 이상의 일회성 대규모 교육을 상정하거나 주최 기관으로서의 원칙만 고수하거나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않는 것이다.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자격증을 가진 사람들의 한국어 교육처럼 “우리가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니 너희가 와라.” 는 식으로 임해서는 이주단체의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한다. 파트너 정신으로 임해야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주단체의 활동가들은 이미 한국어 교육에 임하고 있는 사람들이기에 그들이 현장에서 들인 시간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고 교육 시간 할당도 함축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한국어교육 교사 양성 시스템을 만든다면 이를 통해서 이주민에게는 보다 높은 질의 교육혜택을 받는 기회를 줌은 물론 민간단체도 활성화시킬 수 있고, 국가에서는 한국어 세계화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Ⅲ. 맺음말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주민 가정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새롭게 생기는 다양한 문제들과 그에 대한 대책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결혼이주 여성들의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의 부재로 인한 의사소통 문제가 모든 갈등상황의 원인으로써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은 질적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수준이며, 이에 대한 국가적 대응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대부분의 결혼이주 여성에 대한 한국어 교육은 종교단체나 민간시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현황과 문제에 대한 가장 정확한 데이터와 현장감을 갖고 있는 것 또한 그들이다. 그러나 정부의 종합대책에 의하면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향상을 위해서 교육부와 문화부가 주체가 되어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도기적으로 사회단체 등과 공동으로 한국어 문화적응 교실 운영 및 방문교육을 시범적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정부가 발표한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 및 사회적응지원을 위한 민 관의 교육현황을 보면 여성가족부가 지정한 전국 51개소의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와 전국 8개 시 도 및 관내 시, 군, 구에서 한국어교육 교육프로그램 운영할 예정인 가운데 전국에 있는 이주노동자센터, 이주여성인권센터 등 약 300여개소의 민간단체에서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을 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정책에서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과도기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읍, 면, 동 단위로 기존 한국어 교육기관과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등과 연계하여 한국어 및 문화적응 교육과정을 상시 운영한다는 것인데, 여기서 기존한국어교실이라 함은 한국어세계화재단,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지역 농협문화복지센터 등으로 명시하고 있다. 결국 이제까지 결혼이민자들을 위해 헌신해 온 민간단체들을 정부의 정책 파트너에서 배제할 셈이다. 결혼 이주여성의 언어문제는 단지 한국어 교육의 부재로 인한 의사소통의 문제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생활 전반의 문제와 더불어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과 함께 결혼이주 여성들의 삶을 함께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나갈 현장을 잘 아는 제너럴리스트의 확보가 필요하며, 지금까지 이 역할을 해왔던 민간단체와 종교단체를 체계적으로 교육시켜 그들의 현장감과 국가의 정책을 함께 운영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김상임. 2004. “상담사례를 통해 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3주년 심포지엄. 이주여성인권센터. 17-48.
설동훈ㆍ윤흥식. 2008. “여성결혼이미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 출신국가와 거주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 24(2): 109-133.
소강춘. 장미영, 조항범, 백두현, 이수라, 고은미, 장충덕.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지역별 한국어 교육실태 및 방문교육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송미경. 지승희. 2007.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 상담연구 130.
송성자. 1974. “국제결혼에 있어서의 부부갈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현정. 2003.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 한국남성과 필리핀 여성부부를 중심으로”. 초당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양철호ㆍ김영자ㆍ손순용ㆍ양선화ㆍ신봉관ㆍ조지현. 2003.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6(6): 127-149.
왕한석. 한건수. 양명희. 2005.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언어 및 문화 적응 실태연구: 전라북도 임실군 (및 순창군 남원시) 일원 사례보고서”. 서울: 국립국어원.
유명기. 1997.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문화,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과 이해”. 미래인력개발센터.
윤형숙. 2005.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8(2). 299-339.
이규삼. 1999.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한ㆍ일 국적가정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태옥.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가족과 사회적 지지망 연구: 영광지역 여성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혜경. 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지 28(1). 73-106.
임경혜. 2004.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주연. 2002. “한ㆍ일 국제결혼 가정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그 외 자료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3131811395&code=940202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 http://www.korean.go.kr/
대구인터넷 뉴스 : www.dginews.co.kr
통계청. 2003. 인구동태통계연보 (혼인ㆍ이혼편). http://kosis.nso.go.kr
한국세계화재단 홈페이지 : http://www.glokorean.org/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12.02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