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1,2년초
Ⅱ. 숙근초화
Ⅲ. 구근식물
Ⅳ. 관엽식물
Ⅴ. 다육식물
Ⅵ. 난초
Ⅶ. 화목, 관상수
Ⅱ. 숙근초화
Ⅲ. 구근식물
Ⅳ. 관엽식물
Ⅴ. 다육식물
Ⅵ. 난초
Ⅶ. 화목, 관상수
본문내용
등 뿌리 뻗음의 특성에 따라서 지생란, 착생란으로 분류한다.
지생란
특성 : 뿌리를 땅속에 뻗은 것으로 온대듸 음지나 초원에 많이 분포하며, 지나친 건조를 싫어한다.
꽃 : 동양란류, 심비디움, 파피오페딜름, 제비난초, 해오라비난초,타래난초 등
착생란
특성 : 기생란이라고도 하는데 뿌리를 수목의줄기나 바위표면 등에 펼치고 살며 재배할 때에도 흙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꽃 : 서양란류, 석곡, 풍란, 나도풍란 등
Ⅶ. 화목, 관상수
아름다운 꽃이 피는 목본식물을 말한다.
개화양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며 내한성이나 키의 크고 작음에 따라 온실화목, 관목
화목, 교목화목 등으로 분류된다.
온실화목
특성 : 열대 및 아열대 원산으로 노지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온실에서 재배하며 대부분 화분에 심어 실내 미화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꽃 : 수국, 아잘에아, 꽃치자, 꽃기린, 하와이무궁화, 익소라, 협죽도 등
관목화목
특성 : 키가 크고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는 화목으로서 대부분이 정원수로 이용된다.
꽃 : 장미, 무궁화, 진달래, 철쭉, 명자나무, 개나리, 라일락, 모란 등
교목화목
특성 : 키가 크며 가지가 위로 뻗는 화목을 말한다. 가정의 정원에 몇 그루씩 심어 즐길수가 있다.
꽃: 동백나무, 배롱나무, 꽃아그배나무, 박태기나무, 벚나무, 목련, 산수유, 매화, 산사나무, 이팝나무, 모과나무 등
관상수목
특성 : 잎, 줄기 또는 수목의 자태를 관상하는 목본식물이며 정원수나 조경 수목으로 많이 이용된다.
꽃 : 단풍나무. 회양목, 주목, 향나무, 느티나무, 사철나무, 은행나무, 호랑가시나무 등
지생란
특성 : 뿌리를 땅속에 뻗은 것으로 온대듸 음지나 초원에 많이 분포하며, 지나친 건조를 싫어한다.
꽃 : 동양란류, 심비디움, 파피오페딜름, 제비난초, 해오라비난초,타래난초 등
착생란
특성 : 기생란이라고도 하는데 뿌리를 수목의줄기나 바위표면 등에 펼치고 살며 재배할 때에도 흙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꽃 : 서양란류, 석곡, 풍란, 나도풍란 등
Ⅶ. 화목, 관상수
아름다운 꽃이 피는 목본식물을 말한다.
개화양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며 내한성이나 키의 크고 작음에 따라 온실화목, 관목
화목, 교목화목 등으로 분류된다.
온실화목
특성 : 열대 및 아열대 원산으로 노지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온실에서 재배하며 대부분 화분에 심어 실내 미화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꽃 : 수국, 아잘에아, 꽃치자, 꽃기린, 하와이무궁화, 익소라, 협죽도 등
관목화목
특성 : 키가 크고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는 화목으로서 대부분이 정원수로 이용된다.
꽃 : 장미, 무궁화, 진달래, 철쭉, 명자나무, 개나리, 라일락, 모란 등
교목화목
특성 : 키가 크며 가지가 위로 뻗는 화목을 말한다. 가정의 정원에 몇 그루씩 심어 즐길수가 있다.
꽃: 동백나무, 배롱나무, 꽃아그배나무, 박태기나무, 벚나무, 목련, 산수유, 매화, 산사나무, 이팝나무, 모과나무 등
관상수목
특성 : 잎, 줄기 또는 수목의 자태를 관상하는 목본식물이며 정원수나 조경 수목으로 많이 이용된다.
꽃 : 단풍나무. 회양목, 주목, 향나무, 느티나무, 사철나무, 은행나무, 호랑가시나무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