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브프라임이란?
1. 정 의
2. 특 징
Ⅱ. 서브프라임 발생배경
1. 서브프라임 사태 배경
2.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 규모
3. 서브프라임 사태 진행 경과 및 미국경제 침체
Ⅲ. 세계경제 전망
1. 정 의
2. 특 징
Ⅱ. 서브프라임 발생배경
1. 서브프라임 사태 배경
2.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 규모
3. 서브프라임 사태 진행 경과 및 미국경제 침체
Ⅲ. 세계경제 전망
본문내용
신흥국의 비중은 빠르게 증가
- 아시아 신흥국과 자원수출국의 비중 : 2002년 16% -> 2006년 20.3%
- 미국의 비중 : 2002년 31.9% -> 2006년 27.6%
④ 서브프라임 사태로 세계경제의 파수꾼을 자처하던 미국의 역할이 크게 위협받는 상황
- 모기지 관련 부실 해소에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세계의 소비시장으로서의 미국 의 역할이 한계에 봉착
- 후진국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신용경색의 진앙지가 미국이라는 점도 달러화를 기반으로 글로벌 유 동성을 공급했던 미국의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약화시킴
- 세계 기축통화로서 달러화의 위상이 빠르게 약화
⑤ 서브프라임 사태는 그 파장의 크기와 진앙지를 명확히 알 수 없는 만큼 금융·외환시장의 불안정성 이 일순간에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 금융불안이 커지면 저금리 자금을 공급해왔던 엔캐리 자금의 청산도 빨라지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급격히 축소
- 이는 또 다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확대시키고, 환율 변동성도 확대
⑥ 서브프라임 사태의 국내 전이 가능성에 대한 사전 대비
- 국내 금융기관의 경우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거의 없다 하더라도 국내 금융시 스템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체질
- 국제 자산가격의 급락 등에 대한 대비책을 철저히 강구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함으로써 유사시 부작용을 최소화
·국제금융시장은 물론 국내 부동산 대출시장 상황에 대한 일일 점검체제 등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통화당국은 주요국의 정책기조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고, 외환 정책은 변동 폭 축소에 초점
⑦ 중국 금융시장은 서브프라임 사태를 계기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되고 있지만, 이미 상당 수 준의 자산가격 버블이 형성
- 해외 투기성 자금의 급증, 부동산 가격급등, 부실채권 확대 등 중국경제의 잠재적 리스크 요인이 증가
- 미국경제가 부진한 상황에서 중국 위기가 터질 경우 세계경제 성장률은 2%로 급락
⑧ 리스크 헤지와 중국증시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등을 통해 중국자산가격 버블 붕괴에 따른 금융위기에 대비
⑨ 고성장세가 예상되는 자원수출국과 신흥시장에 대한 진출을 확대하는 한편, 내수역량을 강화
자료출저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산업은행경제연구소
금융감독원 「금융리스크 분석」
한국은행「미국 서브프라임 부실현황 및 향후 전망」
푸르덴셜자산운용 「www.prudentialfund.com」
- 아시아 신흥국과 자원수출국의 비중 : 2002년 16% -> 2006년 20.3%
- 미국의 비중 : 2002년 31.9% -> 2006년 27.6%
④ 서브프라임 사태로 세계경제의 파수꾼을 자처하던 미국의 역할이 크게 위협받는 상황
- 모기지 관련 부실 해소에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세계의 소비시장으로서의 미국 의 역할이 한계에 봉착
- 후진국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신용경색의 진앙지가 미국이라는 점도 달러화를 기반으로 글로벌 유 동성을 공급했던 미국의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약화시킴
- 세계 기축통화로서 달러화의 위상이 빠르게 약화
⑤ 서브프라임 사태는 그 파장의 크기와 진앙지를 명확히 알 수 없는 만큼 금융·외환시장의 불안정성 이 일순간에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 금융불안이 커지면 저금리 자금을 공급해왔던 엔캐리 자금의 청산도 빨라지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급격히 축소
- 이는 또 다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확대시키고, 환율 변동성도 확대
⑥ 서브프라임 사태의 국내 전이 가능성에 대한 사전 대비
- 국내 금융기관의 경우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거의 없다 하더라도 국내 금융시 스템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체질
- 국제 자산가격의 급락 등에 대한 대비책을 철저히 강구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함으로써 유사시 부작용을 최소화
·국제금융시장은 물론 국내 부동산 대출시장 상황에 대한 일일 점검체제 등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통화당국은 주요국의 정책기조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고, 외환 정책은 변동 폭 축소에 초점
⑦ 중국 금융시장은 서브프라임 사태를 계기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되고 있지만, 이미 상당 수 준의 자산가격 버블이 형성
- 해외 투기성 자금의 급증, 부동산 가격급등, 부실채권 확대 등 중국경제의 잠재적 리스크 요인이 증가
- 미국경제가 부진한 상황에서 중국 위기가 터질 경우 세계경제 성장률은 2%로 급락
⑧ 리스크 헤지와 중국증시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등을 통해 중국자산가격 버블 붕괴에 따른 금융위기에 대비
⑨ 고성장세가 예상되는 자원수출국과 신흥시장에 대한 진출을 확대하는 한편, 내수역량을 강화
자료출저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산업은행경제연구소
금융감독원 「금융리스크 분석」
한국은행「미국 서브프라임 부실현황 및 향후 전망」
푸르덴셜자산운용 「www.prudentialfund.com」
추천자료
외환위기의 전개과정과 외환위기의 교훈(경제위기, imf구제금융, 한국경제)
경제위기의 징후및 외환위기의 전개과정(IMF징후,금융위기한국경제)
(경제위기) 한국 경제 위기의 원인과 대응방안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점과 IMF경제위기와 경제개혁방향
[IMF][외환위기][금융위기][경제위기][국제통화기금][IMF외환위기][멕시코 IMF 금융위기]IMF...
IMF 경제위기와 現 경제위기의 공통점과 차이점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위기와 향후 전망 - 경제위기,재정위기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위기와 향후 전망 - 경제위기,재정위기 PPT자료
[아세안 경제위기극복] 아세안의 경제위기 극복 대처방안 분석
이스라엘 경제발전, 성공요인, 산업혁명, 성장 전략, 시장 정책, 경제위기 극복, 문제점, 전...
이스라엘의 경제발전, 성공요인, 산업혁명, 성장 전략, 시장 정책, 경제위기 극복, 문제점, ...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위기와 향후 전망 - 경제위기,재정위기 보고서
미국경제위기로 시작된 세계경제의위기 그리고 우리에게 미칠 영향과 대처방안
미국쇠퇴의 원인 경제위기와 그 출발점 - 미국쇠퇴의 원인,경제위기,군사비,다민족,실업율,산...
소개글